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졸업 실적 관련 ㅜㅜ

속편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06.12

7

2769

IEEE 엑세스 6편 vs. Elsevier 2편 vs. IEEE Transaction 1편...

어떠한게 더 좋은가요? 실적 측면에서?

비교가 너무 극단적이긴 한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IF : 2

2022.06.13

1이 최악, 2랑 3은 논문평판이나 if에 따라 다름

대댓글 3개

속편한 어니스트 헤밍웨이작성자*

2022.06.13

IEEE Access도 약탈적 저널이라는 분도 계서서 ㅜㅜ

2022.06.13

저랑 같은 고민을 하시고 계시네요 ㅠㅠㅠ 가장 좋은거는 IEEE Transaction 같은데 여기서 실패하면 리스크가 너무 커서 ㅠㅠㅠㅠ 3 도전이 굉장히 좋은 시도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상하게 ELSEVIER가 IF가 낮은곳이 있어요 예를 들어 ELSEVIER의 어느 Security는 IF가 2.7 이거든요... 이럴경우 Access 보다 낮아서.... ㅠㅠ 고민 많으실텐데 화이팅하세요!

IF : 2

2022.06.13

IEEE Access는 Transaction이나 Elsevier꺼 하나는 쓰고 나서 쓰시는게 좋아요.
IEEE Access나 MDPI계열같이 빠르고 쉽게 accept되는 저널만 많이 쓸 경우 부정적인 선입견 생겨서 오히려 안좋다고 봅니다.
만약 학계로 가고 싶다면 탑티어 저널 하나는 필요하니 Transaction 급 저널 하나는 꼭 쓰시구요. 기업으로 갈거면 Elsevier 저널로도 충분합니다.

2022.06.13

트랜잭션은 리뷰 프로세스 몇 년 걸리지 않나요?

2022.06.13

Elsevier나, Transaction 종류별로 천차 만별이라..
그냥 간단하게 JCR 상위 10%로 생각하고 개인적인 말씀드리겠습니다
(Transaction중에 상위 10%안되는 저널도 많으며 Elsevier에 있는 수 많은 낮은 저널보단 Access가 더 높다고 생각됩니다.)

상위 10% 두편 > Access 6편 >> 상위 10% 1편
이라고 생각합니다.

우선 Access 6편은 석사과정동안 말이 안되니 박사과정이라고 가정하고 말하겠습니다.

JCR 상위 10%로를 내더라도 1편으로는 언제나 부족합니다. 다니는 대학의 '졸업요건or장학요건or연구실내부기준'을 채울 수나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다만 상위 10% 2편을 낸다면 말이 달라진다고 생각합니다. 주저 2편에 + 공저 몇개 하면 평균적으로 좋은 실적입니다. Access 6편도 쉽지는 않습니다만, 대표 논문이라고 할만한게 애매해 지기 때문에 상위 10% 2편이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언제나 본인이 자신있게 말하는 대표논문은 하나 있어야한다고 봅니다)

2022.06.13

transation도 윗분말대로 종류별 천차만별이긴하죠.. 사람마다 주관적인 해석이 될테니 저도
TR 중 탑저널 (TRO) >> access 6편 > TR적당한 저널(TMECH, TIE) 1편 으로 생각할듯해요.
뭐 분야마다 TMECH TIE쓰기어려운곳은 다르게 생각할수도있겠죠.
access도 막좋은저널은아니지만 그래도 그냥저냥 괜찮은 저널이긴한데, 솔직히 박사 주논문으로는 부족함이 크긴하죠.
논외로 access 6편이면 게재료가 얼마입니까.. ㅎㅎ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