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PhD 단 애들중에 딥러닝을 안하는 친구가 없네...요새 트렌드이겠거니 하지만서도 이건 좀 너무한거 아닌가
지오메트리랑 수학쪽으로 백그라운드가 좀 필요한 일이라서 그쪽 스킬도 있는지 보는데 거의 없다. 다들 딥러닝만 함.
진짜 큰돈 되는 딥러닝은 난이도가 넘사벽 인것 같고 그 외엔 그냥 노가다 수준인 것 같음
너네들 졸업할때 쯤 되면 이제 딥러닝 진짜 포화 아니야? 박사 중간쯤에 있는 친구들 잘 생각해봐. 딥러닝만 해선 힘들 것 같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9개
2022.05.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fundamental이 아닌 application만 하고 CV를 넣는다는건가용
대댓글 1개
열정적인 스티븐 호킹작성자*
2022.05.18
fundamental한 연구 실적에 넘사벽 자신 있는거 아니면 딥러닝만 하지말고 적절히 졸업할 시점에서 돈될만한 것 같이 섞어서 연구하는게 좋겠단 소리.
2022.05.18
ㅠㅠ 이제 막 컴터비전 석사 시작했는데 우울하네요... 분야 잘못 선택했나 싶고 ㅠㅠ
대댓글 3개
열정적인 스티븐 호킹작성자*
2022.05.18
컴터비전 자체는 아직 몇년간은 자리 많을 것 같아. 딥러닝만 할줄아는 컴터 비전 전공자가 문제 일 듯.
2022.05.19
탑컨퍼몇개 쓰면 잘하는사람됨. 실제로는 잘하지않더라도
논문많이쓰셈
2022.05.19
ㅋㅋㅋㅋㅋㅋ 탑컨퍼 몇개 쓰는게 보통 쉬운 일이 아닌거로 알고 있는데...
즐거운 앨런 튜링*
2022.05.18
근데 ai연구자면 원래 fundamental 연구하는거 아님?
대댓글 3개
즐거운 앨런 튜링*
2022.05.18
그리고 그 펀더멘탈 연구할때 수학 없이 탑컨퍼에 억셉이 될리가없는데
열정적인 스티븐 호킹작성자*
2022.05.18
일부 잘하는 친구들만 그런듯.
2022.05.19
CVPR 은 오히려 역행중인데 요즘은 복잡하게 이것저것 붙이는게 트렌드라서 fundamental 한 접근을 할 수 있는 영역은 넘어선지 오래임
너그러운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2.05.18
이상하네 우리도 사람 뽑으려고 공고 맨날 내는데 진짜 제대로된 사람 구하기 힘들던데..
대댓글 2개
열정적인 스티븐 호킹작성자*
2022.05.19
근데 나 같아도 실력 좀 있으면 해외로 갈 것 같음. 돈을 많이 주는 것도 아니고 근무 환경이 좋은 것도 아니고 한국이 좀 애매 모호하긴 함.
너그러운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2.05.19
그래서 해외 취업하기 제일 쉬운게 지금 딥러닝 하는거잖아 ㅋㅋ
아무리 배출인원이 많아져도 해외에서 다 흡수해주니 국내에선 사람 못구해서 안달..
2022.05.19
요즘 연봉 1억으로 실력 있는 ML 박사 못 구하죠.
3-40만불 오퍼도 흔한데요..
대댓글 1개
열정적인 스티븐 호킹작성자*
2022.05.19
ML 박사 구하는건 아니라..
능글맞은 그레이스 호퍼*
2022.05.19
우리나라 사람들이 뭐 인기있다하면 우루루 몰리는 경향이 있음. 자신만의 철학이 부재한데서 오는 현상
대댓글 4개
팔팔한 알베르 카뮈*
2022.05.19
음식점도 유행따라 우루루
대학원 전공도 유행따라 우루루
그러다가 나중에 안되면 정부탓 사회탓 남탓
2022.05.19
우리나라가 우루루 하는 경향이 있는건 맞지만 AI 분야는 세계적으로도 우루루 하는 추세라.. 주변보면 컴공 베이스 아닌 박사분들 중에도 AI 접목시키는 분들이 대다수더라구요
직설적인 존 케인즈*
2022.05.19
재료 쪽도 수학이용해서 펀더맨탈한 연구하는 그룹 잘 없음. 대다수가 중국과 미국. 어플리케이션 쪽은 한국인들 좀 보이던데.. 물론 주제는 배터리 같이 상당히 제한적. 한국 인더스트리가 전자, 배터리 쪽에 치우쳐진 것이 한 몫하겠지?
2022.05.19
요즘 ml 유행 아닌 나라가 있나요.
2022.05.19
카메라 센서 지오메트리쪽임? 흥미있는데 ㅋㅋ
대댓글 1개
열정적인 스티븐 호킹작성자*
2022.05.19
슬램+캘리브레이션+임베디드시스템이 메인이긴함ㅋ
칠칠맞은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2.05.19
그냥 내버려두세요 그것도 약육강식인데요
2022.05.19
딥러닝은 20년부터 학습에 이용하는 것으로 경력사항에서 좋지않아요. 삼성SDS 캠퍼스라고 들어 봤나요?
삼성그룹에서 이런 교육적인 사업을 하다가 없어진 것이 2000년도 예요. 공기업에서 삼성이 하다가 공기업에 안하는 이유를 아세요?
진짜 실력은 시스템을 코딩한 전문 경력사항예요.
예를 들어, 은행에 취업하면, 이 경력을 하게 됩니다.
IT정책대학원을 석사원서 접수시!
시스템 프로젝트 전문 분야를 기록해야 하고.
3년이상이어야 인정해줍니다.
중소 기업에서 시스템 경력을 쌓아야 인정받습니다.
정보통신 기술사 자격증을 참고하세요.
정보통신 감리사 자격증을 참고하세요.
대학.카이스트.등 대학교수들이 이런 경력이 없는 분들이 대부분예요
중소기업에서 부터 경력을 쌓아야 대기업에서도 네이버.카카오에서도 인정을 받아요.
석박사로 딥러닝은 초등교사들이 이용하는 수준예요
중소기업에서 코딩실력을 프로젝트 실력을 쌓으세요.
경력에 아무거나 쓰면 들통나요.
딥러닝이나 하고 왔다고 하면, 초딩이네?
합니다.
지금은 초등학교에서도 코딩을 가르쳐요.
대기업에서도 모든부서들이 컴퓨터실력을 원해요
게임만 하는 학생들이 전공보다 더 인정받아요
이게 우리나라 교육의 폐허예요.
예를들어, 미국학교를 나왔어도 uI디자이너들도 실력이 없으면 쫓아내요.
디즈니에 그 미대생? 남자 근무하다가 자립했다고 했던
오징어게임중 한 장면 미로찾기로 사회계층 표현한분
왜? 함께 동업한 함께 디즈니에서 나와서 왜? 해체됐는지 사실을 알아보세요.
하버드나온 한국인들 졸업한 사람 몇명이고?
지금 뭘 하고 사는지 아세요?
이것이 fact예요.
참고로 제가 ERP 시스템 이름을 만든 사람이예요.
삼성SDS에서 프로젝트할때 임직원 공모해서 제가 당선됐어요.
또 국제통상론 전공과목 만든 책 에디터예요. 교수님연구실에서 알바로 생활비 벌면서 만든 전공책예요.WTO 전공책이 없다고 교수님이람 함께 만든거예요.
대댓글 2개
2022.05.20
혹시 나는 솔로 영철이신가요?
2022.05.21
연세가..
2022.05.24
제가 현제 제조 대기업에서 근무중인데, 십년 조금 넘게 구조해석을 하였습니다. ML, DL과 진동해석이 서로 PREDICTIVE MAINTENANCE AND DIGITAL TWIN으로 융합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고, 박사진학을 고민하던 중, 중소 IT 기업에서 계약연봉 1억에 오퍼를 받았습니다. 대기업이지만 고전 제조업이라 1억은 언감생심이고, 아직 IT 업무 경력도 없는 저에게 1억을 제시해준 기업도 고마운데,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이직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네요. 이직하기로 마음 먹었지만....회사에서 저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한 것은 AI와 융합하기 위한 고전 역학 기반의 DOMAIN KNOWLEDGE 라고 생각합니다. 글 올리신대로, AI만 해서는 아무것도 안되는 거 같습니다. 오히려, 각 분야의 DOMAIN KNOWLEDGE가 AI와 결합될 때, 엄청난 시너지가 발생할 것이라 생각하는데, 문제는...고전 역학 베이스 업무 하시던 분들은 AI쪽에 그닥 관심이 없다는 것이죠. 대기업에서 정책적으로 DX다 뭐다 도입하려고 해도, 별반 반응이 없고요. 중소기업에서 3년 정도 경험 쌓은 다음에 IT 대기업으로 이직 계획을 꿈 꿉니다. 중간에 박사도 기회되면 가려고 하고요.
2022.05.18
대댓글 1개
2022.05.18
2022.05.18
대댓글 3개
2022.05.18
2022.05.19
2022.05.19
2022.05.18
대댓글 3개
2022.05.18
2022.05.18
2022.05.19
2022.05.18
대댓글 2개
2022.05.19
2022.05.19
2022.05.19
대댓글 1개
2022.05.19
2022.05.19
대댓글 4개
2022.05.19
2022.05.19
2022.05.19
2022.05.19
2022.05.19
대댓글 1개
2022.05.19
2022.05.19
2022.05.19
대댓글 2개
2022.05.20
2022.05.21
2022.05.24
2022.05.26
2022.0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