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이곳에 혹시 현직 연구자 계십니까?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2.05.16

12

2017

안녕하세요 저는 학부를 졸업하고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교수나 연구원을 진로로 하지 않았지만
논문쓰는게 좋아서 학부 때는 학부연구생으로 SCI급 논문도 써봤습니다.

교수나 연구원의 진로를 희망하지 않는건 변함이 없지만 논문은 쓰고 싶습니다.
연구 자체를 좋아합니다. 그리고 나중에 미국 MBA나 이직을 생각중인데 입학에 논문실적이 도움이 될 듯합니다.

논문을 쓰고 싶은데.. 문제는 대학원생이 아니라는 겁니다.
그래서 과거 학부연구생 때 모교 지도교수님께 부탁을 드렸는데
연구분야가 너무 안맞습니다. 이게 지도교수님 곁을 떠난 이유이기도 한데,
연구분야가 서로 안맞다보니까 잘 안됩니다.
그렇다고 연구분야가 맞는 다른 학교 교수님한테 일면식도 없는데 도와달라고 할 수도 없습니다.

결과적으로 저혼자라도 쓰고 싶은데 제가 학교 소속이 아닌데다가 학부졸업생인데
논문 제출자격이 되는지.. 실제로 퍼블리싱은 가능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KCI, SCI 둘다 경험이 있기 때문에 퍼블리싱 절차는 잘 압니다.
SCI급 논문에 도전했다가 학교소속도 아닌 학사가 괘씸하게 단독연구를 한다고 거절당할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능글맞은 미셸 푸코 *

2022.05.16

안될건 없는데, 자칫잘못하다가 한동훈 딸 꼴 나는 수가 있음..

대댓글 1개

우아한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2.05.16

걔는 논문이 아니라 일기라던데ㅋㅋㅋㅋ 나도 IEEE에 일기쓰고싶다!

2022.05.16

현재 소속된 기관으로 소속기관으로 쓰면 될 듯 싶습니다.
소속 기관에 논문 작성하는데 소속기관으로 사용되는지 허락을 구해야할 듯 싶습니다.
기업이라면 오픈 억세스를 제외한 나머지 논문들 다 구독안되어있을 텐데 인용은 어떻게 하실건지, 좀 애매해보이네요.
학사라고 해서 굳이 단독 연구안된다고 생각은 안합니다.
다만, 대학원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논문 작성에 힘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논문 투고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교수님께서 도와주는 것과 도와주지 않은 것은 생각보다 큰 차이가 납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전 투고 경험을 바탕으로 무조건 잘할 수 있다는 오만한 생각은 버리시기 바랍니다.
이전에는 지도교수님이 신경써주셔서 몰랐던 부분도 이제 본인 스스로 해야 되기 때문입니다.

대댓글 3개

우아한 공자*

2022.05.16

테클이 목적이 아니고, 다른 이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알려주려고 합니다.

“ 기업이라면 오픈 억세스를 제외한 나머지 논문들 다 구독안되어있을 텐데 인용은 어떻게 하실건지, 좀 애매해보이네요.”

이건 아니에요. 저희 회사만 해도 모든 ACS, Elsevier 구독 중입니다.

2022.05.16

제 분야는 IT쪽이라 학부 취업된 상황이면 대부분 프로그램 개발만 하느라 타 분야를 고려하지 못했네요.
분야에 따라서 구독하는 경우를 고려하지 못했네요.
회사에서 저널 구독 중이라면 다행이겠네요.

2022.05.16

저희도 nejm, jama 등 임상 연구지 다 구독 중에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2022.05.16

박사따시고 하늘의 별따기라는 교수직도 뚫은 분들이 심사하는 필드에 와서, 석사도 진학하기 싫어하는 데, 논문을 내고 싶다는 건 약간의 무리수같습니다.
직장이 좋으시고 여유가 있으시면 파트타임 석사과정을 많이들 하시는데, 직접 실험에 참여해보시면서 논문을 쓰는 법을 차근차근 배우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대댓글 2개

우아한 공자*

2022.05.16

박사받고 꼭 교수가 되지 않더라도 심사할 수 있습니다. 저도 그렇구요

2022.05.16

요즘 ml 분야는 석사 1년차도 리뷰해요

2022.05.16

현재 소속된 기관과 상의가 필요합니다.
혹시 논문 내용이 현업과 연관이 있는 내용이라면, 영업비밀 침해 등의 부차적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세심한 정약용

IF : 1

2022.05.16

교신저자 없이 단독저자로 쓰시려는 생각이시면 쉽지않다는게 결론입니다.
선배 연구자에게 부탁을 해서 교신저자로 지도해달라고 하심이 좋아 보입니다.

2022.05.24

저희 회사에 회사 소속으로 sci급 논문을 계속 내시는 분이 있습니다. 석사 졸업생이신걸로 아는데, 업무는 연구소가 아니라 설계입니다. 본인 부서에는 일 안하고 연구만 한다고 욕을 먹긴하고 있습니다만...sci논문을 다수 내셨고요, 현재 REVIEWER 입니다. 본인의지만 있으면 충분할 거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