뭔가 돈 낭비하는거 같고
돈이 어디론가 새는 느낌
공대나 자연대 석박 출신이 대통령 한번 했으면...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침착한 르네 데카르트*
2022.05.04
뭘 관심이 없어 별로 임팩트도 없는 알앤디에 세금 줄줄 새고있는데 한국보다 연구자가 세금으로 꿀빨기 좋은나라 없을듯
대댓글 1개
2022.05.05
덧붙이자면 이공계 출신이 뭘 알아야 정치를 하지.. 거기 전공인 사람들을 어떻게 이기나
호탕한 그레고어 멘델*
2022.05.04
나라에서 관심이 없는게 아니라 예전에는 이공계 인재를 유치할 필요가 있었는데 지금은 가만히 놔둬도 다 이공계 가려고 해서 그럼
2022.05.04
오히려 과하게 많은 돈이 계속 들어와서 대학원생은 처리하느라 죽어나감.. 진짜 이공계에 돈들어오는거 보면 나라에 돈이 없는게 아니라는걸 많이 느끼는데
대댓글 2개
2022.05.04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써야 할 곳에 못쓰는게 문제임 ㄹㅇ
2022.05.04
다들 그렇게 생각하나보네요 저도 동감합니다. 국가대표 인공지능 프로젝트가 이번에 과제비 삭감됐습니다.... 가만히 앉아서 돈받아가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눈먼돈 사업비들만 잘 막아도 우리나라 연구비 자체는 풍부하다고생각합니다.
2022.05.04
제조업으로 먹고 사는 나라인데 어찌 관심이 없겠습니까? 국가적 관심도 많고, 지원도 많은 편이지요. 전체 경제 규모 대비 연구비 지원이 제일 많은 나라중 하나입니다. 믿거나 말거나, 이공계를 가는 학생도 많은 편인 것 같습니다. 제가 예전에 유학할 때 보면, 체감상 미적분 듣는 학생 셋 중 하나는 (미국으로 치면) 의전원 지망이었습니다.
참고로 공대 출신이 심심찮게 대통령 하는 나라가 바로 옆에 있습니다. 중국이라고...
2022.05.04
다른 분야는 관심 받는 줄 아는가? ㅋㅋ 인문, 사회과학, 자연과학, 공학 중에서 가장 국가적으로 관심 받고 돈 받는게 공대인거 같은데 ㅋㅋ 그나마 공대는 해외 대학이랑 비벼볼 랩이랑 과들도 하나둘씩 생겼는데 자연대 포함 다른 분야들은 초토화 상태임 (참고로 본인도 공대생 아닌 입장에서 말하는것임). 인문사회는 미박 100위권도 서울대보다 나을 만큼 (일단 잡일이랑 펀딩이랑 상하관계 봐도) 연구 환경이 답이 없고 , 애초에 통폐합 당하는 곳들도 많은데...
그냥 굳이 말하자면 '당장 수익 생기는 것 말고 학문 자체에 관심이 없다'는게 더 정확할거 같다. 그나마 공대는 산업에 관련이 되어 있으니까 그나마 관심 받는거고, 이론물리 같은 자연과학이나 산업에 바로바로 적용 시키기 힘든 분야들은 팽당하는거고. 그러니까 네가 말한거랑 반대로 오히려 한국에선 그나마 관심 받는 공대생이라는걸 감사하게 생각해야 함 ㅋㅋ
대댓글 2개
2022.05.04
즉, "뭔가 돈 낭비하는거 같고 돈이 어디론가 새는 느낌"이라면 어디로 돈이 새는지, 왜 필요한데 못쓰는지 확인해봐야지. 공대라서 그나마 그런 돈이라도 생기는거지, 관심을 못받아서 낭비할 돈조차, 어디로 샐 돈조차 못받는 과들이 수두룩해.
2022.05.05
제가 하고 싶은 말 그대로 해주심. 감사합니다.
2022.05.04
자연과학에 관심이 없지
2022.05.04
RnD 투자 금액 자체도 미국 중국 일본 독일 한국 이던데 국가 규모 생각해보면 충분히 많지않나요 차라리 과제를 잘게 쪼개놓는게 문제같다면 문제..
대댓글 1개
2022.05.04
그리고 한국 이공계 대기업 연봉도 높더만, 옆에 일본이랑 봐도 오히려 우리가 높아보이고 다른 나라 세율 비교해보면 독일보다도 손에 남는건 많을듯? ( 삼전 현대 하닉 네카라쿠베 )
2022.05.04
RnD 투자 금액이 많으면 뭐합니까 제대로 쓰지를 못하는데.. 인적자원관리도 안되고 인프라투자도 안되고 그러다보니 이상한데로 눈먼 연구비만 줄줄 새고... 연구활동이 제일 활발하고 실적 잘 뽑는 포닥연구원 비율이 낮은것만 봐도 투자금액 대비 효율이 잘 나오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있음... 물론 바이오에서 다른 분야는 잘 모릅니다
2022.05.04
이번정부에서 학생 연구참여 제한을 상한에서 하한으로 바꿨는데, 그래서 몇몇 대학 산단에서 과제 참여 인건비 기준이 바뀔수 있었죠. 개인기초 연구비 금액도 상한되었고요. 과학 자문위에서 정권초에 했던 일입니다. 이번에 공학, 과학 출신들이 인사위에 많이 들어갔으니 현장에 도움이 될걸 많이 추진해주었으면 합니다. 입법이나 제도는 부처 공무원들이 하는거라 의견 조사 같은거 온라인으로 할 기회가 있으면 계속 보내는게 필요합니다. 부처에선 아이디어가 없어서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생각보다 반영될 여지들이 많아요. 물론 아직도 외국에 비하면 부족한데 그간 변화된 폭을 보면 긍정적인 부분도 있습니다.
2022.05.04
대댓글 1개
2022.05.05
2022.05.04
2022.05.04
대댓글 2개
2022.05.04
2022.05.04
2022.05.04
2022.05.04
대댓글 2개
2022.05.04
2022.05.05
2022.05.04
2022.05.04
대댓글 1개
2022.05.04
2022.05.04
2022.05.04
2023.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