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석사에 대해 단지 캐쉬카우라고 부정적으로 보시는 분들이 많은 거 같은데 미박 진학할 때는 t20 cs 석사가 설카포 석사나 학사보다 훨씬 유리하지 않나요?
거기서 무급 리서치 보조라도 해서 연구실적 쌓고 거기 교수한테서 추천서 받고 미박 진학하는 게 훨씬 유리한 거 같던데. 다른 분야는 몰라도 적어도 cs는 그런 거 같더라고요.
그리고 컬럼비아나 유덥 cs 석사(유덥이 cs 석사가 있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정도면 충분히 좋은 거 아닌가요? 유덥은 아예 대놓고 탑10이고 컬럼비아도 아이비 중에서는 코넬 다음으로 괜찮은 거 같은데. 탑15 하면 반드시 들어가는 대학 중 하나고.
그리고 미국 학부도 유학생들은 캐쉬카우인 경우가 많아요. 유학생이 재정 보조 신청해도 어드미션에 불이익 없다고 하는(이것도 말이 많지만) 대학은 단 5개(하버드, 프린스턴, 예일, mit, amherst) 밖에 없고 나머지 대학들은 재정 보조 신청하면 입학 난이도 확 높아지죠. 시민권자나 영주권자도 재정 보조 신청해도 어드미션에 영향 없는 대학들(일명 니드 블라인드, 근데 이것도 진짜 니드 블라인드냐 아니냐 말이 많죠. 뭐 일단 니드 블라인드라 주장하는 모든 대학들이 완전한 니드 블라인드라 합시다.) 무척 많지만 그 대학들이 학비 전부를 완전히 커버해주냐는(fully meet the need) 또 다른 얘기라서요. 아예 집이 찢어지게 가난하면 full ride 가능한데(돈 한 푼 안 내고 다니는 거) 애매한 중산층이면 학자금 대출 받는 경우도 많아요. 재정보조 신청했는데. 괜히 미국 학자금 대출이 1.7조 달러가 넘는게 아니죠.
물론 학부가 거의 재정보조 없는 석사보다는 훨씬 상황이 낫지만 돈이 아예 안 든다고 단정짓기는 어렵습니다. 특히 유학생은요. 그렇다고 하더라도 학부 유학생 들 placement 보면 미박 잘 가잖아요. 즉, 단순히 돈이 많이든다고 석사 유학이 별로다? 그건 아닌 거 같아요. 캐쉬 카우 프로그램들 맞긴 하지만 집에 돈 많고 미박 생각 있으면 할 만하다 봅니다. 실제 cs phd 온 사람 중에 자기 나라에서 학부 마치고 미국 석사 후 미박 진학한 사람들 참 많더라구요. IIT 출신들도 이렇게 많이 하는데 IIT보다 cs에서 밀리는 설카포 혹은 그 이하 학부 출신들이 미국 석사 없이 다이렉트로 미박 가는 케이스가 흔할까요?
중요한 건 미국 석사생들도 대가들 밑에서 수업 듣고 그 밑에서 무급으로 리서치 도와주면서 열심히 실적 쌓고 탑스쿨 phd 가는 케이스들이 무척 많다는 거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2.01.23
그게 본인이 될 수 있는지 객관화가 필요하다는거지요. 다이렉트 박사를 안하고 석사를 힘들게 한다는 것부터가 이미 남들보다 한참 뒤쳐져서 시작한다는 건데요
대댓글 7개
2022.01.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석사를 거치는 게 2년 뒤쳐지는 게 맞기는 한데 cs phd 특히 요즘 경쟁이 정말 치열한 ai쪽에 설카포에서 탑4나 탑10 다이렉트 박사를 가는 케이스가 많이 있나요? 그렇게 따지면 설카포보다 미국 학부 top20에서 cs 마친 유학생들이 다이렉트 박사 가는데 훨씬 유리할 거 같은데..
2022.01.23
국내 석사후 미박 도전하는 학생들은 이미 그만한 역량이 있는 경우가 많고 떨어지더라도 석사후 취업, 국내 박사 진학 등에서 리스크가 거의 없습니다. 리스크 투성이인 미국석사를 가는건 좋은 선택이 아닌것 같네요
2022.01.23
당연히 미국 학부가 가장 유리하겠죠
낙천적인 에이다 러브레이스*
2022.01.23
다이렉트 박사 많지 않음. 적은 것도 아닌데 다이렉트로 오는 애들은 그만한 이력이 있음.
2022.01.23
한국에서 미국 다이렉트 박사 갈려면 SCI 논문이나 학점 아주 좋거나 해야되는데 대부분 한국학생한텐 불가능하죠.
집에 돈이 많으면 미국 석사 한다음 미국 박사하는게 좋죠.
바보같은 로버트 보일*
2022.01.23
아는 ML 하는 교수중에 국숭세단에서 학부 졸업 후 바로 탑 20위권 안에 간 사람 있음. 어떻게 간지 모르겠음.
2022.01.25
석사 먼저하고 PhD 하는게 왜 뒤쳐지는건지 궁금한뎁. 어차피 PhD 첫 1-2년차는 석사들이 듣는 grad courses 들 다 들어야하는데 수업들으면서 TA 한다고 가정하면 딱히 리서치 할 시간은 summer 밖에 없을텐데 석사2년 +PhD 4-6년이나 이나 direct PhD 6-8년이나 거기서 거기같은데. 오히려 저라면 석사로 붙은데중에 가장좋은데 가서 gpa 4.0 찍고 박사 좋은데로 지원할거 같은뎁. 석사하고 OPT+STEM OPT 로 3년 일하고 그때 PhD 정말 가고싶으면 가도 될거같고. PhD 중도 포기자 생각보다 많아서 딱히 석사 거쳐 간다고 뒤쳐지는게 아님. 그렇게 생각하면 지금 한국서 학사하고 군대하고 하면 24-26 살에 PhD 지원한단건데, 미국 PhD 1-2 년차 애들 나이보면 21-22 살 인데 그럼 걔네가 보기엔 도찐개찐 늦춰진거에요. 1-2년 늦는거 본인말고는 아무도 신경 안쓸거같은뎁
2022.01.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스트나, 서울대, 포스텍 중위랩 이상 , 상위권공대 인기랩에서 연구하는 원생들은 미박의 필요성을 크게 못느끼고 있는것 같더라고요...일부는 느끼겠지요....미국 현지 사정이나 다른점을 느끼고 싶은 사람들은 포닥하러는 적정수가 나가고 있는것으로 랩 서치 해보면 파악되요
대댓글 5개
2022.01.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국내에서도 충분히 연구할수있고 , 학위후 잘 풀린다는 계산이 깔려있는거죠, 일부분야는 갈 사람도 있는거고
탑스쿨은 당연히 다들 가고 싶어하긴 하지. 다만 그 아래 대학은 굳이 필요성을 못 느끼는게 맞고. 그래서 탑스쿨 트라이가 가능한 최상위권은 많이 유학 나가는데 그 아래는 잘 안 나감
2022.01.25
돈좋아하고 일도하고 하고 싶은것도 많이하고 가정주부가 꿈인 여자말고 자기 커리어 갖고 본인이랑 경력 3-5년차에 350-550k 두당 벌어서 일년 PreTax 연봉 1M 찍고 싶으면 미국서 석사하고 취업하고 그냥 한국서 좋은 학위갖고 자기 잘난 맛에 살고 싶으면 한국에 남고라고 말해주고싶어용
바보같은 로버트 보일*
2022.01.23
일단 카이스트 가서 거기 교수들 석사 어디서 했고 박사 어디서 했는지만 봐도 답이 나옴.
대댓글 4개
IF : 1
2022.01.23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현재 카이스트 ai교수중 박사때 ai해서 실적 많이 낸 경우가 더 드물지
대부분 딴거하다가 넘어온 케이스
바보같은 로버트 보일*
2022.01.23
Ai 문제가 아니라 교수들이 다들 석사 받고 박사 받았다는거지. 학부 졸업 후 바로 미국 박사로 간게 아니라..
2022.01.24
석사가 케시카우화 되고 다이렉트 박사가 많아진게 애초에 최근 트렌드임. 미국 교수도 원로 교수들은 석사가 없는 사람이 적은데 젊은 교수들부터는 석사 없는 사람들이 보임
2022.01.25
링틴보면 박사시작하고 중간에 석사 그냥 받은 애들 많던뎁. 한국 돌아갈거면 뭐 박사 어디서 한지가 중요할수도 있을거 같은데 미국에 남을거면 그냥 San Jose State PhD 해도 연봉 350-550k 찍을거 같은뎁 ㅋㅋㅋㅋ
IF : 1
2022.01.23
무급으로 리서치 참여해서 실적 쌓는것 (비용은 덤으로) vs 풀타임 연구해서 실적쌓기. 전자가 추천서는 유명 교수님한테 받을수 있긴 하겠지만 후배가 준비한다고 하면 무조건 후자 응원함.
대댓글 1개
IF : 1
2022.01.23
대가랩 리서치 '보조'해서 얼마나 실적 쌓을지도 의문이고, 석사 시작도 전에 연구참여를 할 수 있을지라도 불분명하고, 사실상 약간 내놓은 자식 느낌이라 연구에 얼마나 참여킬지 모르는데..
2022.01.24
석사 2년이 짧은데 그 사이에 성과를 내지 못하면 오히려 마이너스입니다. 미 석사든 국내 석사든 성과를 더 내기 위해 가는게 아니면 메리트가 없어요.
대댓글 3개
2022.01.24
내기 위해 -> 낼 자신이 있는 상태로
2022.01.25
학위가 더해졌는데 왜 마이너스가 되는거죠. 왜 다른 사람 인생을 함부로 규정하죠? 왜 맘대로 정체성을 규정하죠? 개코가 이센스 디스하는줄.
미국와서 공부하고 싶으면 미국에서 일도 해보고 싶다는 마음도 갖고 오는걸 추천합니다. 굳이 공부하러간 나라에서 일도 안해보고 돌아가면 아쉽지 않을까요.
미국에서 석사하면 미국에서 일한다는 전제하에 무조건 플러스입니다. 마이너스는 당신 통장.
2022.01.25
미국 온적도 없고 안살아본 아니면 왔다가 영어안되서 졸업 못하고 수료하고 가신분이 쓴거같은 느낌인데 이거
2023.03.25
미국 석사는 좋은 선택지입니다. 한국학부후 바로phd도 좋지만 미국석사가서 후에 취업이나 phd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그리고ㅋㅋ 한국 석사하고 미국 phd보다는 미국 석사후 미국 phd가 여러모로 좋아요 돈 그까짓거 얼마나 든다고.. 그것도 없으면..
2022.01.23
대댓글 7개
2022.01.23
2022.01.23
2022.01.23
2022.01.23
2022.01.23
2022.01.23
2022.01.25
2022.01.23
대댓글 5개
2022.01.23
2022.01.23
2022.01.23
2022.01.23
2022.01.25
2022.01.23
대댓글 4개
2022.01.23
2022.01.23
2022.01.24
2022.01.25
2022.01.23
대댓글 1개
2022.01.23
2022.01.24
대댓글 3개
2022.01.24
2022.01.25
2022.01.25
2023.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