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런 고민은 진지한 관계가 된 다음에나 시작하세요.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26 - 걍 이미 김박사넷에서 연애상담하는 행위자체가 이성으로써 Red flag임다.....
미국 유학가서 미국인 여자랑 연애하신 분 계신가요?
19 - 외국인도 시켜라 행정일 다 짬맞고 개인 연구도 못하는데 랩실 외국인들 장학금 신청은 첫 번째로 제출하더라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25 - 남한테 피해에요 욕심있고 열정 있는거 알겠는데 본인 열정때문에 다른사람한테도 피해주면서까지 할필요는 없다고봅니다
연구실 숙식 꿀팁 알려주세요, [옷 관련]
8 - 우리 연구실은 개 ㅂㅅ이라서 연구실 과제계획서, 중간보고서, 결과보고서 전부 학생한테 떠넘김 학생은 그걸로 인건비 받는것도 아니고 통장 가져가서 달에 60받음(교수는 한달 60받으면 충분하지 않냐고함)
심지어 교수 개인과제도 학생한테 떠넘기고 지가 창업한 기업 과제까지 다 떠넘김 ㅋㅋㅋㅋ 그래놓고 선심쓰듯이 하는말이 너 이런경험 어디가서 해보겠냐 ㅇㅈㄹ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11 - 그럼 교수가 과제 보고서를 어케 씀ㅋㅋ 니가 교수라 생걱해봐라 시간이 있나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9 - 선긋는 정상적인 어른이라 님이 좋아할 가치가 있는 사람인거죠. 그거 사제지간인데, 헤벌쭉 하고 받아주는 천지분간 못하는 인간이면 님이 눈알을 빼서 씻고 다시 넣고 봐야되여. 좋아할 가치가 없는 종자임.
맘껏 좋아하세여. 어릴 땐 그래두 되여~ 어른이 알아서 단도리 해야 함.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0 - 근데 지금은 2년이 엄청 커 보이지만 자대 학부연구생부터 석사까지 이어서 하면서 경험도 쌓고 sci 주저자를 만들어서 더 좋은 학교 박사 진학하는 것도 괜찮은데요. 학부연구생 하다 나가면 그 방 출신이나 제자라고 하긴 어렵지요.
미국 박사 진학 희망자, 현재 랩 교수님께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까요?
6 - 영어는 잘 할 수록 좋습니다.
학생이 준비를 하지 않고 본 토익이 900을 못 넘으면 영어 실력이 박사 진학하기에 부족하다고 판단할 것 같습니다.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7 - 교수님이랑 너무 가까워지면 오히려 힘들어질 수도 있어요.. 적당한 거리 유지하는 게 정신건강에 좋음
그냥 멀리서 존경하는 마음으로만 보는게 젤 나은듯.. 괜히 가까워졌다가 환상 깨질 수도 있음
교수님은 멀리서 볼때가 가장 아름다운 존재임.. 경험담임ㅠㅠ 너무 가까워지지 마세요ㅠㅠ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6 - 다 지랄이네
지피티한테 번역해줘 하면 얼마나 편한데
언제 영어로 읽고 자빠짐?
영어는 따로 시간내서 공부보다는
영어가 뇌에서 언어적 자동화가 되게
훈련하세요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9 - 그니까 지금 학부생이신거죠? 그리고 본인은 k 출신인데 학벌 후려쳐지는 것 같아서 기분나쁜데, 대학원은 학벌은 또 서열화하는게 기분나쁘다는 건가요...?
대학원 진학해보시면 학부가 별로 안중요하다는게 무슨 말이신지 알 겁니다. 연구 잘하는 척도는 일반적으로 학부 서열 순도 아니고 학부에서 얼마나 잘 했는지도 아닙니다. 그냥 연구 그리고 대학원이라는 환경에서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에 대한 문제인거죠. 일반적으로 좋은 학교 나왔다고 꼭 연구실 에이스가 되지는 않습니다. 좋은 학교나오고 똑똑하면 잘 할 확률이 높긴 하겠죠. 하지만 이 당연한걸 겪어보시지 않았으니까 다른 분들이 하시는 말이 와 닿지 않는거라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중간에 k 가는 사람들의 풀이 어떻고... 그 사람들이 어떤 교육을 받고.. 이런걸 말하는 게 굉장히 편협한 사고를 가진 것 같아 보이네요. 본인도 다른 사람의 환경을 겪어보지 못했으면서 쉽게 판단하려는 것 같습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14 - 연구를 해보고나서 논문실적으로 보여주세요
저는 일반고 졸업, 수능 상위 0%대 출신이고 박사졸업한지 좀 된 사람인데, K 자부심이 넘쳐 보이네요. 대학원은 결국 실력, 실적으로 얘기하는건데 내세울게 SPK밖에 없는 사람이 되지 않길 바랍니다.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8
가을학기 대학원 컨택의 적절시기가 언제일까요? +)논문 작성하고 가면 늦을까요?
2022.01.05

대학원 생각중이고, 이번 봄에 졸업합니다. 컴공이고요.
대학원은 작년부터 생각중이었지만 연구실 컨택도 너무 늦었고 해서 가을학기를 준비중이었고, 작년 겨울 졸업예정이었지만 어차피 가을학기 입학할거, 졸업유예시켰습니다.
전 이쯤 슬슬 컨택 준비를 해야 하지 않나,,,,했는데 선배의 말로는 오히려 이르다고 하네요.
사실, 이르다면, 컨택하기전에 괜찮은 논문을 하나 투고 해볼생각입니다. 학부생때 SCI급 논문을 낸 선배가 있어 저도 도전해보고 싶습니다. 굉장히 어렵다는건 알지만,,. 이미 2주정도 전부터 목표 연구에 대해 공부하고 있긴 합니다.
개인적으로 도전하고 싶다는 이유도 있지만, 현실적인 이유를 붙이자면 목표로 하는 연구실이 있는데 성적이 3점 초반대로 영 좋지 않다는것이 이유입니다.
지난해에 국내, 국제학술대회에 논문을 각각 한편씩도 내보고, 특허도 써보고, 이것저것 많이 했는데 그간 썼던 논문도 만족스럽지도 않아 이번에 제대로 써서 좋은 결과가 나온다면 유리하지 않을까 하는 타산적인 이유도 있습니다.
고민은, 제가 생각한 대학원의 가을학기 입학할 연구실의 적절한 컨택 기간이 지금쯤이라고 생각했는데, 논문을 쓰고나면 늦지 않은가 하는 고민입니다.
1. 가을학기 대학원 입학을 목표로했을때, 적절한 연구실 컨택 시기는 언제쯤인가요? 시기가 두번으로 나뉜다고 들었던것도 같은데 잘 모르겠네요
2. 저는 논문 작성기한을 3월까지정도로 잡고있습니다.
언뜻 들었던 적절한시기가 그때였던것 같기도 하고요.
어차피 1학기때 할일도 없고, 목표 연구실은 인턴을 받지 않는것으로 알아서 지금 학부연구생으로서 있는 연구실에서 내내 연구 하고 싶어 연구기간을 좀 더 길게 잡고 싶은데 그러면 컨택일정에 맞추기 힘들까요?
3. 떨어졌던 연구실에 재도전하는 입장입니다.
지난번 면접에 교수님이 아쉽다고 말한 부분을 모조리 보충해서 공부해오고 있는데, 재도전이라면,,,,좀 안좋을까요? 너무 맘에 들었던 연구실이라 아쉬워서 이번에도 못가면 슬플것 같습니다
학부연구생 컨텍은 언제가 적기인가요? 김GPT 0 8 6866
일본 대학원 컨택 관련 질문드립니다. 김GPT 3 12 2298-
1 5 4413 -
1 6 4354 -
0 3 1480
내년전기 대학원 컨택 시기(+논문) 김GPT 0 4 2924
대학원 컨택 시기 관련 질문드립니다. 김GPT 0 3 5011
봄학기에 입학할 학생 컨택 시기 김GPT 0 0 5280-
1 2 4023 -
66 18 22507
저 미국 교수입니다 명예의전당 290 95 83387-
219 30 7975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27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9 - 돈은 벌고싶고 책임은 지기 싫은 지도교수님
12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2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4 - 연구실 숙식 꿀팁 알려주세요, [옷 관련]
14 - 안녕하세요. 포항공대 하계 인턴 관련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7 - 경북대 와 디지스트
8 - (긴 글) 공1저자 후배 어느 정도 챙겨줘야 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개인적인 감정이 좋지 않은 사람과 코워크하는 법도 궁금합니다.
5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6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11 - 중국인 욕하는 사람들 보면....
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일본 대학원 진학 질문
19 - 고체물리가 다음 AI가 정복할 영역같음
23 - 인아 라인에서 대학원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20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4 - 교수님이 절 싫어하시는 것 같아요
12 - 미국 박사 진학 희망자, 현재 랩 교수님께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까요?
15 -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27 - 적성 및 spk 진학 가능성 고민입니다.
17 - ㅈ소 신입사원의 고민
15 - 연구경험 없이 ai 대학원 진학
13 - 정규 교수가 아닌 사람이 수업하는데
12 - 네이처 사이언스 1저자는 어느정도 위상인가요?
19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14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 교수는 반드시 인성이 바른 사람을 만나야 합니다.
327 - 김박사넷에서 제일 보기 싫은 글
39 - 돈은 벌고싶고 책임은 지기 싫은 지도교수님
12 - 삼성디스플레이 산학장학생
10 - 국내 교직으로 돌아가기로 마음먹었습니다
42 - 대학원생이 행정일 하는게 그렇게 징징댈 일임?
34 - 연구실 숙식 꿀팁 알려주세요, [옷 관련]
14 - 안녕하세요. 포항공대 하계 인턴 관련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7 - 경북대 와 디지스트
8 - (긴 글) 공1저자 후배 어느 정도 챙겨줘야 하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 개인적인 감정이 좋지 않은 사람과 코워크하는 법도 궁금합니다.
5 - 계속 동기가 박사 들어갈 예정인데
6 - 브릭에 내가 있던 연구실 계속 올라오는데....
11 - 중국인 욕하는 사람들 보면....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일본 대학원 진학 질문
19 - 고체물리가 다음 AI가 정복할 영역같음
23 - 인아 라인에서 대학원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20 - 교수님이 너무 좋아요
14 - 교수님이 절 싫어하시는 것 같아요
12 - 미국 박사 진학 희망자, 현재 랩 교수님께 어떻게 말씀드려야 할까요?
15 - 영어 진짜 어느 정도 해야 할까요??
27 - 적성 및 spk 진학 가능성 고민입니다.
17 - ㅈ소 신입사원의 고민
15 - 연구경험 없이 ai 대학원 진학
13 - 정규 교수가 아닌 사람이 수업하는데
12 - 네이처 사이언스 1저자는 어느정도 위상인가요?
19 - 학부 수준에 따른 실력차
14
2022.01.05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