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 이공계 계열 3학년 재학중입니다. 일본 대학원 진학에 관심이 있어 찾아보니 이공계 계열은 교수님과 컨택을 하고 학부연구생을 거친 뒤 정식시험을 보고 입학하는 것 같더라고요.. 교수님과 컨택도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희망하는 연구실은 보통 6개월-1년간 학부연구생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1. 컨택은 언제 하는 게 좋을까요? (만약 컨택을 4-1 재학중에 하게 돼서 연구생으로 지내라는 연락을 받게 되면 일본으로 바로 넘어가야 하나요? 이럴 경우 한국 대학에서의 수업은 어떻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한국에서 졸업한 뒤 다음 학기부터 연구생으로 지내는 것이 대부분일까요..? 이 경우 학부 졸업-대학원 입학까지 연구생 기간(6개월-1년)간의 공백이 생기게 되는데 일본은 공백기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 것 같더라고요.. 대학원 입학 시 보통 어떤 식으로 입학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열심히 찾아보고는 있는데 아직 일본 대학원 관련 정보가 많지 않아서 기본적인 질문 드린 점 죄송합니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옹졸한 소크라테스*
2023.02.28
미국도 아니고 일본을 대체 왜..?
대댓글 6개
2023.03.01
분야에 따라 다른거죠. 열유체쪽이면 충분히 갈만한듯
2023.03.01
닉값하시네
오만한 임마누엘 칸트*
2023.03.01
이런 옹졸한 사람은 정말 학계에 안나왔으면....
옹졸한 소크라테스*
2023.03.01
?? 미국도아니고 일본을 왜가냐는게 옹졸이랑 뭔상관이냐 혹시 옹졸함의 뜻을 모름..?
요즘 일본 기초연구 제외하고 선도분야 죽쑤는건 유명하고, 유학생 지원도 예전해 비해 많이 감소에 비자도 빡세졌는데 대체 왜 일본을 가겠다는건지 몰라서 썼더니 별 수준떨어지는 것들이 답글다네
오만한 임마누엘 칸트*
2023.03.04
일본이 죽쓴다는 얘기는 세상사람들이 비웃겠네... 혹시 국뽕 유튜브 같은것만 보세요? 한국이 삼성전자가 잘나가니깐 뭐 다 가진거같고 그래요? ㅋㅋ 반도체 말고 한국이 전자전기산업에서 대체 뭔 기술이 일본보다 앞서나요? 유학생 지원? 제가 지금 일본에서 유학 중인데 예전 선배들하고 비교했을 때 장학금하고 펠로우쉽 수가 2배는 늘었는데요? 저 비자 받을 때 빡센게 하나도 없었고 학교에서 다 처리해준 서류 갖다가 대사관에 제출하고 하루만에 비자 나왔는데 뭐가 빡세대요? 일본을 무지성으로 비난하는 사람들 보면, 일본 유학경험은 1도 없으면서 한국에서 국뽕유튜브만 보고 방구석에서 비난글만 써내려가던데, 님이 딱 그 케이스가 맞네요
옹졸한 소크라테스*
2023.03.04
내가 일본 top3로 1년 포닥하고 미국에서 2년 더하고 한국에서 잡 구했는데 면접에서 여러번 받은 질문이 왜 바로 미국 안가고 일본갔냐는 얘기였다
진짜 국뽕 유튜브 보냐 이딴소리 하는거보면 본인 시야 수준이 상당히 의심스럽고 솔직히말해서 좀 역겨운데... 전자전기산업에서 대체 뭔 기술이 일본보다 앞서냐고?
지금 논문 선도분야를 얘기하는데 대체 기술얘기가 왜나오는건지..? 문해력이 좀.. 문제가 있나? 요즘 일본에서 나오는 논문들 방향을 모르는 수준인것같은데 응용분야 탑티어 저널들 들어가서 일본 몇편내는지나 확인해보길 바람
경험1도없다 이딴 뇌피셜 질질 써내리는거 보니 수준이 너무 떨어져서 상대하기도 싫네
2023.02.28
학교/입시/교수마다 다 다를듯 합니다. 바로 석사로 갈 수도 있을거구요. 다만 문부성 거쳐서 가시려면 연구생이 필수라고 보시면 되고 일단 연구실 학교를 정해서 입시요강보고 컨택해보는게 빠릅니다
2023.03.01
최근에 동경대를 보니까, 재학생의 경우에 4학년 1학기 말경인 6개월 전에 교수추천서 2부, GRE, 토플 제출하여 대학원 입시를 치루더군요. 4학년 2학기에는 전공하려는 분야 해당 교수실에서 인턴하더군요. 대학마다 약간 다를 수 있겠네요.
대댓글 1개
2023.03.22
동경대 포함 일본은 거진 전부 4학년 1,2학기 연구실에 있으면서 논문씁니다. 3학년까지 빡세게 수업 듣고 4학년은 연구실이 주가 되고요. 대학원 입시의 경우 과마다 다릅니다만 많은 공대 학과에서 추천서/GRE 이런거 없이 본과 출제한 시험 보고 드갑니다. (토플은 영어대체가능)
2023.03.03
가족이 일본 대학에 있습니다. 이것 또한 진리의 랩바랩 교바교인데, 인턴을 하는 이유가 일본에서 공대생은 왠만하면 학부연구생을 하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일본 학부를 나오신게 아니라서 언어문제+연구생파악+시험준비도움 이유가. 큰데 능력 어필이 가능하다면 학부 동안 한국에서 다 하시고 넘어가셔도 됩니다. 연구생 필수라고 하면 졸업하고 올거라고 예상할겁니다. 상위권 대학은 문부성장학금 문제도 있고…. 그리고 장학금은 문부성장학금이 제일 적은 액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국가장학금은 베트남/중국쪽에 밀어주는 추세라 힘들고 기업장학금은 최소 15만엔 가능해요. 문부성에 너무 목매달지 마시길. 일본 대학원은 첫째도 시험성적 둘째도 시험성적임을 명심하시길
대댓글 1개
2023.03.22
넵 보충설명드리면 왠만하면이 아니라 4학년 때 연구실 소속되어 1년 연구하는게 필수과목입니다.
2023.02.28
대댓글 6개
2023.03.01
2023.03.01
2023.03.01
2023.03.01
2023.03.04
2023.03.04
2023.02.28
2023.03.01
대댓글 1개
2023.03.22
2023.03.03
대댓글 1개
2023.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