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임용된 교수들이 자대 제외 인하아주~서성한에서 학부 혹은 학석이던데, 요즘 교수 임용시에 학벌보다 실적이 중요한가 보네요.
물론 대가랩 박사 출신들이긴 합시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1.12.12
근데 애초에 그게 당연하게 되어야하는거아닌가요? 당연히 학벌보다는 실적과 실력이 우선시되어야하는거 아닌가?
대댓글 2개
2021.12.12
당연하지 않은 현실을 많이 봐서요. 점점 좋아지고 있다는 느낌에 적어봤습니다. 답글 감사합니다.
2021.12.14
대체로 학벌이 실력을 반영하는 게 팩트니까..ㅋ
2021.12.12
뭔가 기쁜소식이네요. 다들 힘내시길바랍니다 화이팅
대댓글 1개
2021.12.12
화이팅합시다!
2021.12.12
입시를 준비하는사람들이야 학부차이가 커보이지만, 박사졸업하면 같은분야면 어떤논문을썼는지, 아니면 어떤 연구실/학교에서 학위를 받았는지를 보게 되죠. 학부가 어디든지간에 해외 대가랩출신에 좋은실적있는사람을 본인이 spk학석박이라고 무시하면 그사람은 그냥 실력에 열등감있는 사람이거나 그냥 성숙하지못한 사람..
그럼에도 교수임용시장에서는 아직도 실적외에도 어느 학부나왔는지, 어느학교에서 학위받았는지, 국박이면 해외 유명대학/대가랩 포닥경력있는지 이런것들을 무시못하는듯.
대댓글 1개
2021.12.12
공감합니다.
부지런한 아인슈타인
IF : 1
2021.12.13
한편으로는 대학도 점점 먹고사는걸 걱정해야하는 단계이기 때문에 국가과제에 도움이 될 교원들을 충원하기 때문일겁니다. 소위 말해서 과제 잘 따고 국제협력 잘하고 SCI 빨리,많이 쓰는 사람 찾는다.. 죠.
대댓글 2개
2021.12.13
맞습니다.
2021.12.14
생존은 대학도 예외가 아니군요.
기쁜 존 스튜어트 밀*
2021.12.13
어느과길래 그런가요..? 부산대 저희 학과는 방금 확인해보니 젊은 조교수/부교수 100% spkyk 학부 + 자대 출신이고 예외가 하나도 없네요. 과마다 크게 다른것 같습니다
2021.12.12
대댓글 2개
2021.12.12
2021.12.14
2021.12.12
대댓글 1개
2021.12.12
2021.12.12
대댓글 1개
2021.12.12
2021.12.13
대댓글 2개
2021.12.13
2021.12.14
2021.12.13
대댓글 1개
2021.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