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까지는 아무생각없이 대학원 진학에 생각이 있었는데 선배한테 대학원 공부는 그냥 우직하게 하는거라는 조언을 듣고 고민중에 있습니다.
제가 판단하기로는 저는 규칙을 찾고 분류하여 저만의 패턴과 문제 풀이 알고리즘을 만드는데 상당한 재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기들한테 사파라는 소리를 상당히 자주 듣고 교수님들도 독특하다는 말씀을 자주 하십니다.
그래서 학점도 벼락치기로 조금씩 하는데도 4점대 초반의 학점을 유지중에 있습니다.
공부방법 자체가 독학반 강의 반으로 정보들을 조합하여 풀이하는거라 선배님의 조언이 조금 걱정이 됩니다. 교수님이 가르치는대로 공부하면 제가 이해도 못하고 공부도 안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지라..
이러한 성향인데 대학원 생활이 적성에 맞거나 제가 버틸 수 있을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3개
달리는 요하네스 케플러*
2021.10.26
대학원 가서 본인이 재능있다는 그 자신감이 제일 먼저 박살나겠네요. 원래 그런 곳입니다.
2021.10.26
좋은데? 분류하는 거 좋음.
그것도 능력이지
2021.10.26
잘 못할 것 같아용
2021.10.26
혹시 그냥 궁금해서 그러는데 수학과 과목들 성적도 좋으신가요? 예를 들면 해석학 같은...
대댓글 1개
2021.10.26
넹 역학이랑 공학이 좋아요
2021.10.26
흥미있는 분야의 논문을 읽어보면서 고민해보세요 !
2021.10.26
ㄱㄱ
2021.10.26
현재 인서울 상위권 대학에 재학중입니다.
이전까지는 아무생각없이 대학원 진학에 생각이 있었는데 선배한테 대학원 공부는 그냥 우직하게 하는거라는 조언을 듣고 고민중에 있습니다.
제가 판단하기로는 저는 규칙을 찾고 분류하여 저만의 패턴과 문제 풀이 알고리즘을 만드는데 상당한 재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기들한테 사파라는 소리를 상당히 자주 듣고 교수님들도 독특하다는 말씀을 자주 하십니다.
그래서 학점도 벼락치기로 조금씩 하는데도 4점대 초반의 학점을 유지중에 있습니다.
공부방법 자체가 독학반 강의 반으로 정보들을 조합하여 풀이하는거라 선배님의 조언이 조금 걱정이 됩니다. 교수님이 가르치는대로 공부하면 제가 이해도 못하고 공부도 안되고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지라..
이러한 성향인데 대학원 생활이 적성에 맞거나 제가 버틸 수 있을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대댓글 1개
2021.10.26
대학원 가셔서 이 자신감 변치말고 연구하세요. 자만심이 아니라 자신감이 되면 좋겠네요
2021.10.2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무슨 학과인지 모르겠으나 그런 공부로는 이론 연구실은 가지마세요. 서울대 갈만한 머리로 노력까지 겸비해야지 이론 연구를 할 수 있는데, 인서울 상위권 수준의 학교 공과대학에서 문제 좀 잘 풀어서 성적 잘 받는 거론 한참 부족한 수준입니다.. 뭐 이론이 아닌 실험 위주라면 노력만 하면 되니.. 그런데 깊이 공부하지 않고 문제 풀이 위주라면 언젠가 밑천이 들어날 수 밖에 없을 것 같아요.
2021.10.26
애매하네..
대댓글 1개
2021.10.27
솔직히 전혀 애매할 게 없는 글임. 글쓴이 말이 사실이면 타고난 재능이 어느 정도 있는 게 맞음.
2021.10.26
잘할듯 ㅋㅋㅋㅋ 여기 애들이 좀 열등감이 좀 많음
대댓글 1개
2021.10.27
댓글들이 필요 이상으로 부정적이긴 한 듯. 솔직히 이 글에 나타난 글쓴이 성향만 보고 연구 커리어를 예상하는 건 섣부른 일이지만, 구라가 아니라면 똑똑한 친구인 거는 맞음. 데이타 해석하는 거 잘 할 듯.
2021.10.26
잘 할 것 같음. 여러 소스에서 중요한 정보, 필요한 정보를 적절히 잘 찾는 능력이 있어 보입니다. 대학원은 이곳저곳에서 정보를 잘 찾고 잘 정리하는 게 중요합니다. (예제 문제가 아닌 정답이 없는 문제를 푸는 곳이라서)
씩씩한 쇼펜하우어*
2021.10.27
나쁘지 않은데? 원래 연구는 이런 사람이 잘함..
2021.10.27
잘할듯 원래 센스가 중요함
2021.10.27
재능은 있는것 같은데 우직함이 좀 많이 필요하죠. 시험공부 벼락치기하는 성실함이면 힘들수도 있음... 그부분 때문에 대부분 대학원 컨택시 학점이 중요하게 작용하는거고.
연구할때 극복할수 없는 큰 벽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을텐데 우직하게 몇개월이고 밤새 붙잡고 늘어지는 그런 끈기가 있어야 해요
2021.10.27
진짜 참신한 아이디어는 독창적인 창의성에 기반을 해서 노력을 안하더라도 잘 내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해서, 아이디어의 입증을 위해서 수 많은 대학원생이 연구실에 틀어박혀서 연구활동을 하고 있죠.
아마 본인이 학부 수준에서 과제내면 만점받고 존나 창의적이었어 재능충인가? 이런생각 할 수 있죠.
근데 학부와 대학원은 다릅니다. 대학원은 위에서 설명한 연구 활동을 입증하기 위해서 끊임 없는 ablation study를 할 수 있는 우직함을 필수로 합니다.
대다수의 저런 자기 정신적승리의 태도를 가지고 노력없이 대학원에 임할 경우, 본인의 주장이나 생각이 틀렸을 때 맨탈이 나가서 방황하는 대학원 후배, 선배들 많이 봤습니다.
결론적으로 작성자가 생각하는 본인만의 센스, 태도 + 우직함이 더해졌을 때 진정한 괴수가 됩니다.
2021.10.27
잘할것같은데요?? 머리도 충분히 좋고. 근데 생각보다 대학원은 멘탈이 안좋아지는 곳이라서 지도교수님 잘 컨택하시길
2021.10.27
잘할 것 같은데 대신 연구가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 못할때 잡을 멘탈과 근성만 더욱 갖추면 될듯
2021.10.28
자유로운 성향이시면 유학가세요. 출근 시간 제한이 있는 연구실은 들어본 적이 없고 (많은 교수들이 오직 아이디어와 결과만 봅니다), 당근 연구실 선배들 눈치도 볼 필요도 없고요.
2021.10.26
2021.10.26
2021.10.26
2021.10.26
대댓글 1개
2021.10.26
2021.10.26
2021.10.26
2021.10.26
대댓글 1개
2021.10.26
2021.10.26
2021.10.26
대댓글 1개
2021.10.27
2021.10.26
대댓글 1개
2021.10.27
2021.10.26
2021.10.27
2021.10.27
2021.10.27
2021.10.27
2021.10.27
2021.10.27
2021.10.28
2021.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