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저자 인 논문여러개이신 분과
1저자인 논문 1개 가지는 분 중에서는
어떤 분을 더 선호하시나요?
(논문 난이도나 학회는 동일하다는 가정하에)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1.09.22
2,3저자 별 의미 없어요
대댓글 3개
2021.09.22
오 그렇군요.... 감사합니다!
2021.09.22
혹시 어느정도 하면 2저자인지 물어봐도 될까요? 개발에 도움이나 논문 작성 등에 어느정도인지 궁금합니다!
쑥스러운 제임스 와트*
2021.09.23
그냥 기여가 1저자보다 적고 3저자 보다 많은 사람이 2저자입니다. 기본적인 실험 준비 외엔 아무것도 하지 않은 사람 일수도 있고, 많은 기여를 했지만 1저자 보다는 적어서 밀린 경우도 있습니다.
2021.09.23
1저자 논문이 충분하면 공저자 논문이 없는 것보다는 좀 있는게 낫습니다. 교수 채용할 때 공동연구를 얼마나 잘 할지도 고려 대상이라서요. 예를 들면 1저자 10개에 공저자 0개보다는 1저자 9개에 공저자 10개가 낫겠죠. 교환 비율은 분야마다 상황마다 논문 평판의 분포마다 차이가 있겠습니다.
대댓글 2개
2021.09.23
이분 예시가 조금 극단적이지만, 공동연구가 몇개이상 있는게 좋은건 맞아요. 당연히 공저자보다 주저가 훨씬 가치있지만, 공저자가 의미 없다는것도 아니에요. 둘다 적당히있는게 가장좋아요.
2021.09.23
이 정도로 극단적인 예시면 틀린 말음 아니이긴 한데 웬만하면 그냥 1저자 가치가 공동저자 가치랑 비교할 게 아닌 게 맞음ㅋㅋ UFC로 본다면 KO(1저자) > 유효타(공동저자)
염세적인 카를 마르크스*
2021.09.23
최소 공1저는 되야 본인이 연구했다고 보지 2저자는 본인 연구가 아니에요 ㅋㅋ
어떤 논문의 2저자한테 그 논문에 대해 100% 이해하냐고 물어봐도 그렇지 않 확률을이 훨씬 높은 수준임...
2021.09.22
대댓글 3개
2021.09.22
2021.09.22
2021.09.23
2021.09.23
대댓글 2개
2021.09.23
2021.09.23
2021.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