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셋팅 중인 SPK, 셋팅이 된 SSH

2021.09.22

14

2730

고민이 많습니다.
두 학교의 연구실 모두 생명분야 쪽입니다.

얼마전 SPK의 S에서
이번 하반기에 새로 연구교수님이 오셔서 새로운 분야를 셋팅중인 연구실과 좋은 면담을 했습니다.
연구실 내의 다른 분야는 이미 한참전에 셋팅이 완료된 연구실입니다.
내년 하반기 입학을 권유하셨고 그전까지는 인턴으로 경험을 쌓아보는 것 어떠냐라고 하셔서 좋다고 하였습니다.

또 S 'S' H의 S에서는
면담시에 좋은 분위기였고 내년 전반기 입학을 권유하셨습니다.
11월에 나와서 인턴을 하는 것 괜찮냐고 권해주시는 등 많이 챙겨주시는 기분을 받았습니다.

지금은 일단 석사과정 진학을 목표로 하고있으나 연구하는 생활이 맘에든다면 박사과정도 고려중 입니다.
과로 보면 조금 더 전문화 된 분야로 배울수있는 곳은 SPK의 S이나 연구실내에 새로운 연구분야임에 망설여지고
SSH의 S는 사회에 나오게 된다면 여러 관련된 분야가 많기는 하지만 석사 전공 그대로 살려가기는 어려울것 같아서 고민됩니다.

여러 선배 연구원님들의 조언이 궁금합니다.
많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얌전한 피타고라스*

2021.09.22

저도 생명쪽이고, 석사2기인데 전반적으로 두루 아니 분야 알려주면 제가 아는 정보 공유드릴게요

대댓글 4개

2021.09.22

전자는 바이오인포, 후자는 의공학 입니다
얌전한 피타고라스*

2021.09.23

S 바이오인포 vs S 의공학이요...? 바이오인포 압승입니다..; ㅠ

2021.09.23

아 그정도 인가요.....? 글에있는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해도 압승인가요?
얌전한 피타고라스*

2021.09.23

의공학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를 하는지는 모르겠으나, 연구주제나 미래가능성이나 versability로 쳐도 bioinfo가 압승임

2021.09.22

전자는 바이오인포이고 후자는 의공학입니다
조용한 찰스 다윈*

2021.09.22

서울대 바이오인포 강추.
분야도 학교도 압승

대댓글 2개

2021.09.23

글에써있는 상황까지 고려해도 압승일까요....?
조용한 찰스 다윈*

2021.09.23

NBA VS KBA 올스타팀이 붙어도 이것보단 더 압승하지는 못함

2021.09.22

바이오인포에서 새로운 분야 세팅하는 건 다른 분야에 비하면 세팅 축에도 못 드는 편이예요. 장비나 기본기는 기존 랩것을 그대로 쓸 수 있는 환경이면 딱히 단점도 없을 것 같네요. 굳이 억지로 단점을 찾자면 같이 공부하거나 연구할 학생이 부족하다는 것, 지도교수가 잘 아는 분야가 아니라 관심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것 정도..

대댓글 1개

2021.09.23

장비관련은 이미 완벽히 구축된 랩입니다. 세팅에대한 걱정은 크게 할필요가 없던건가요...?

2021.09.2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장비세팅도 되어있고 wet lab아니라서 초반 세팅시간 별로 들지도 않네. 석사할것도 아니면 무조건 전자임.
신생랩 석사 비추하는경우는 바이오/화학 분야처럼 실험많이 하는 wet lab인 경우 세팅기간 3~4년이니 석사로 가면 얻는거없고 실험못하고 잡무만하다가 나오게되니 비추하는거. 또다른 신생랩 단점은 교수님이랑 너무 다이렉트라 교수인성에따라 대학원생활이 너무 영향받음.
겁먹은 로버트 보일*

2021.09.23

depends on your 학부
조용한 게오르크 헤겔*

2021.09.23

연구교수도 학생을 받나?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