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에 지원하고 싶은데,
석사 과정 지원하시는 분들 후기를 보니 (수학과 관련된 전공자 분들은 아님) 컨택하기 전 여러종류의 분야의 연구실에 연구참여를 하셨더라고요.
1. 학부생으로서 연구실적을 쌓고 싶은데 수학교육과 또는 수학과와 관련한 연구활동은 뭐가 있는 건지(또는 기업 인턴) 감이 잡히지가 않아서 글을 올려봅니다..
2. 지원하고 싶은 교수님의 논문을 찾아보니 초중고 수학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이 많아서..
블로그를 운영하여 해당 교수님의 논문 introduction 정도를 참고해 -에 관심이 있고, -문제점이 있으며 -해결방식으로 -방향과 -방식으로 연구를 하고 싶다 정도의 글을 정기적으로 기록하는 것도 방법이 될까요? (수학과 관련한 연구 활동이 너무 생각이 안나서 이런거라도 활동으로 기입해도 괜찮을지 여쭤봅니다..)
김박사넷이라는 곳을 오늘 처음 가입하고 글을 올려봅니다.
좀 더 자극받고 싶기도 해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진지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1.08.30
수학교육과면 교직 따러 가시려고요?
대댓글 7개
2021.08.30
학부생으로서 현재 교직이수에 선발된 상태라서요. 저는 교직이수 포기하더라도 대학원 진학에 필요한 스펙을 쌓고 싶습니다.
2021.08.30
석사 학위를 받는 것이 목적입니다.
진지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1.08.30
수학과는 나중에 취업이 힘들어서요, 교직 가능하실 때 해놓으시라고 추천드리고 싶네요. 글고 수교과는 수학연구랑은 거리가 멀거에요. 교육학에 관심을 두는 곳이라..
진지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1.08.30
수학은 (수교과든 수학과든) 학부생이 연구성과를 낸다는 것도 말도 안 되고.. 그래서.. 대학원 진학하신후 지도 교수님 지도 하에 연구 권장드려요.
2021.08.30
그럼 대학원 지원시 자기소개서와 학업계획서에 기입하는 연구,논문,보고서와 같은 것들은 많이 한정되어 있다는 말씀이신가요?
진지한 호르헤 보르헤스*
2021.08.30
수학쪽이면 학점 영어성적.. 더 나아가도 추천서 정도 외엔 스펙을 쌓기 힘들죠. 자기소개서 잘 써야하는건 당연하고요. 저라면 대학원 교과목(측도론 등)을 미리 공부햇다 정도면 긍정적으로 봐도, 학부때 연구를 햇다 하면 이상하다 생각할듯요
2021.08.30
답변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학부 때 교직이수 자격증을 미리 따놓는 것이 교육대학원 입학에 도움이 될 수 있을까요?
바보같은 스티븐 호킹*
2021.08.30
여기 계시면 그 다른 의미로 자극이 되실겁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1.08.30
반갑습니다. 저도 예전에 서울대 수교과 대학원 생각있어서 글 썼는데,, 사범대 대학원이라 그런지 정보가 별로 없더라구요 ㅋㅋ
대댓글 4개
2021.08.30
답변 감사합니다. 혹시 학부 때 교직이수 자격증을 따놓는 것이 교육대학원 입학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을까요?
2021.08.31
아 저는 학부가 PK라서... 교직이수를 주변에 한 사람도, 아니 할 수 있는 사람도 없어서 그건 잘 모르겠네요..
2021.08.31
아 근데 서울대 수교과 대학원은 일반대학원이고 교육대학원 아니예요. 제가 알기론 교사 자격증을 줄 수 있는 사람 숫자가 한정돼 있어서 자격증 있는 사람/없는 사람 티오가 나뉘어져 있는 걸로 알아서 전자면 아무래도 경쟁이 좀 덜하지 않을까 싶긴 하네요
2021.08.31
티오가 나누어져 있는건 몰랐네요. 조심스럽지만 제 성적대에 지원가능할까요,,?
9/1이 마지막 수강정정인데, 학부 때 교직이수를 하냐 안하냐 결정을 해야해서요,.
2021.08.30
대댓글 7개
2021.08.30
2021.08.30
2021.08.30
2021.08.30
2021.08.30
2021.08.30
2021.08.30
2021.08.30
2021.08.30
대댓글 4개
2021.08.30
2021.08.31
2021.08.31
2021.08.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