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박통합 기간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2021.08.12

9

2864

보통 통합은 6년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런데,,,궁금한것이


A, B 두명이 있을때

학업능력이나 지적인 측면에서 A >B 인데

석박통합 졸업 기한은 보통 6년으로 못박아두고 A=B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유가 뭔가요?? 지적능력과 졸업은 상관없는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밝은 닐스 보어*

2021.08.12

?? 보통 잘해서 실적 빨리 많이 내면 더 빨리 졸업합니다. 4년졸업까지 가능
짓궂은 앙투안 라부아지에

IF : 1

2021.08.12

같은 기간에 졸업했다고 다같은 박사가 아닙니다.
고등학교 모두 3년 다니지만 누군 1등급 받고 누군 9등급 받죠? 거의 그정도 스펙트럼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찌질한 카를 가우스*

2021.08.12

꼭 빨리 졸업한다고 좋은게 아님

IF : 1

2021.08.12

하나 다른 의견은 연구가 똑똑해서 잘하는게 아니어서 인 것도 있는 것 같아. 그냥 연구 잘하는 능력이 있는 것 같음.

다른 관점에서는 publication cycle에 관한건데, 특히 논문의 편수로 기준을 세우는 랩이라면 (예를 들어 우린 탑컨퍼 세편이면 졸업) 이런 경우에는 publication cycle을 따르다 보면 보통 우리는 acceptance rate가 10-20% 사이니까 6년 갈아 넣고 매 학기 한편씩 내고 떨어진거 보강하고 하다보면 대략 2년에 논문 한편 꼴로 탑컨퍼 나와서 졸업하는 듯.

박사라는게 똑똑한 사람한테 주는게 아니고 독립 연구자로서 일할 수 있는 사람한테 주는거잖아. 지적인 사고의 framework은 머리가 나빠도 노력하면 갖출 수 있는 것 같아.

대댓글 4개

허기진 마리 퀴리*

2021.08.12

CS라면 이건 현실적으로 아니지 않나요? 사이클 한두번 놓치면 트렌드 지나버리는데..

IF : 1

2021.08.12

CS도 분야가 많으니 ㅎㅎ 우리 쪽은 AI 만큼 미친듯 빠르진 않아. 우리는 문제에 대한 founding에 implication과 application에 대한 설득력이 중요한 분야라, 구현하고 실험 자체가 오래걸려서 1년 동안은 계속 트라이해볼만 함.

또 써서 떨어지면 보강해서 바로 몇개월 뒤에 내니까. 내 논문 중 하나는 1년동안 네번 굴러서 그 다음 해에 탑컨퍼 감.
허기진 마리 퀴리*

2021.08.12

아아 너무 AI 중심적으로 생각했던 거 같네요.
저희는 acceptance rate가 20%다 보니까 떨어지면 걍 학회 티어를 낮춰버리는데ㅠㅠ

IF : 1

2021.08.12

와우 터프하네요… 저희는 피드백을 보고 반영해서 탑을 노려볼만한 물건이다 싶으면 보강해서 다시 탑컨퍼를 노리고 사이즈 안나온다 싶으면 낮추는 식으로 하는 것 같아요. AI 연구자 분들 화이팅 ㅠㅠ 덕분에 좋은 연구를 많이 할 수 있었어요.
허기진 마리 퀴리*

2021.08.12

졸업 기한에는 아무 의미가 없어요. 오히려 잘 하는 사람이 아카데믹 포지션 찾느라 늦게 졸업하기도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