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아직 고졸 학부생인데 석박사 하시는분들 논문 몇편정도 읽으세요?

2021.08.07

10

3060

이제 논문 좀 보기 시작한지 한달 조금 더 지나서 그런가 많이 적응된것 같은데도 느린 것 같네요
주당 통상 2편에서 많으면 3편 정도 보는 것 같은데 석박사 하시는 분들은 석박사 하면서 몇편정도 보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려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1.08.07

읽는다는 개념을 뭐에두는지에따라 달라요. 적당히 훑어보는거면 솔직히 하나보는데 얼마안걸리는데, 그걸 과연 읽었다고 할수있을지.. 어떤논문이든 정말 제대로읽으려면 시간을 써야됩니다. 물론 익숙한분야면 좀더 술술 읽히고, 아는내용들은 좀 넘기면서 보니까 많이 유리하겠죠.

2021.08.07

의도를 이해하면서 읽기 시작한건 박사과정때부터했네요..
크리티컬하게 연관있는 논문만 그렇게 읽어요.
대충 러프하게 읽는건 1주일에 서너개?
엉뚱한 한나 아렌트*

2021.08.07

1년에 300개 정도 읽습니다

IF : 5

2021.08.07

아 이런게 있구나? 하고 skimming하는건 하루에 5~10편? (구글스칼라 키워드 업데이트 알림으로 받아서 봤음)
각잡고 읽는건 일주일에 서너편정도 됐던거 같습니다

2021.08.08

저는 프로그래밍쪽 연구여서, 각 잡고 논문 하나 읽고나서 code implementation까지 하면, 보통 하루에 논문 하나 정도를 높은 수준으로 이해하게 됩니다. 일주일에 2~3편 정도네요.

2021.08.08

하루에 한 두개는 읽어야지.... (중복 포함)
열정적인 프랜시스 베이컨*

2021.08.08

critical하게 읽는건 주 2개정도 abstract정도나 주요 figure훑는건 셀 수 없음

2021.08.08

주당 몇 편은 시간이 안날 때도 있어서 불규칙적입니다.
박사과정 6년동안 전력으로 심도있게 읽은 논문은 많아야 200편 정도될거같네요.
저는 실험을 아주 깔짝했던 bioinformatics 전공인데 대학원생이 논문만 읽고하는건 아니고 분자생물학실험처럼 실험대에서 노동하게되면 그날 힘 다빠집니다.
그래서 한번 논문들을 한번 훝고 집중할걸 잡은 후 짬짬히 읽는거죠.

2021.08.08

더 열심히 해 볼게요 감사합니다 :D

2021.08.09

석사 박사 총 6년동안 3-4000편 정도 읽음.
석사때는 1번에서 많게는 2-3번 읽으면서 논문 전체나 실험적인 부분을 이해하는데 포커스.
석사때 많이 읽어보면 요령이 생기고 점점 더 빨리 읽게 됨. 박사때부터는 내용 이해뿐 아니라 이 논문이 왜 이 저널에 실릴 수 있었는지 좀 더 파악하며 읽음. 이후에는 점점 더 특정 저널에 실리게 된 이유나 본연구의 중요성을 파악하는 것을 중점으로 읽음.. 실험 내용은 동분야에 속해있는 논문의 특성상 이해하는데 크게 어려움이 없기에. 현재는 보통 abstract - intro - result 정도만 읽음. 세부 분야 이외에 좀 더 넓게 읽기를 권장함.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