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논문에서 인용

2021.07.09

14

2419

논문이란게 어떠한 주제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글로 쓰는 거잖아요?

항상 궁금한게.. 다른 논문들 인용을 많이 해야하는 건가요?

이거땜에 스트레스 너무 받네요.. ㅠㅠ

내가 하고 싶은 말이 있는데.. 똑같은 말을 한 논문이 있는지 다 찾아보고 인용을 해야하나요..
다 못찾을 수도 있잖아요? 인용안하고.. 그냥 쓰면 안되는 것인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2021.07.09

어떠한 주장을 하면 그에 대한 근거가 필요하죠.
물론 논문에서 다루는 연구 결과는 실험을 통해 증명을 하였겠지만, 그 전에 나오는 서론이나 방법론에 대해서는 단순히 말뿐인걸 수 도 있자나요.
그래서 그에 대한 근거로 인용을 해야 하구요.
만약에 어떠한 방법론 혹은 어떠한 부분을 특정 논문에서 인용을 했다면 당연히 참고문헌에 넣어야 하구요.

대댓글 1개

2021.07.09

주장하고싶은 말이 있으면, 그 주장에 관해 다루고 그 논문 결과와 본인 주장과 일치하면 인용달면 됩니다. 동일한 단어 있는지가 중요한건 아니에요. 논문내에서 다룬 실험 결과와 본인이 말하고싶은 주장과 일치만 하면 돼요.
무기력한 비트겐슈타인*

2021.07.09

그냥 무지성으로 인용 다 달면 됩니다. 오히려 무슨 주장을 하든 인용만 제대로 하면 눈치 안보고 쓸 수 있으니까 좋은거죠.

대댓글 4개

2021.07.09

혹시 제대로 된 저널에 퍼블리쉬는 해봤나요. 에디터 중에서 논문인용된것도 자세히보는 분들도 많습니다. 저또한 리뷰할때 어느정도 논문들 제목이랑 비교해서 확인하고요. 어느 연구실에서 대학원과정하시는지는 모르지만, 이딴소리 하시는거면 본인 지도교수랑 연구실 욕보이는겁니다. 생각좀 하고 말하시길

2021.07.09

태크니컬 페이퍼는 주저자로 8편은 써봤고, 그중 NCS 자매지나 AM 정도에도 3편 작성했습니다. 리뷰페이퍼도 작성해봤고요. 리뷰페이퍼에서도 조차 인용 무지성으로 달면 욕먹어요. 본인 이름이랑 교수 이름걸고 논문쓰는건데 참.. 생각하는게 한심하네여
무기력한 비트겐슈타인*

2021.07.09

님 실적 안물어봤는데 뭐 어쩌라는거죠..? 인용 똑바로 하고 자기 주장하라는 말인데 이해가 안되세여?
무기력한 비트겐슈타인*

2021.07.09

무지성으로 하란 말이 인용을 아무렇게나 달라는 말이 아니고. 자기주장이랑 겹치는 이전 논문이 있을까봐 전전긍긍하지말고 인용을 시원하게 달라는 뜻인데요? 급발진 제밋군요 ㅋㅋㅋㅋㅋ

2021.07.09

인용하기 싫으면 하고 싶은 말에 대한 근거를 직접 실험해서 데이터넣던가 시뮬레이션을 하던가 계산을 해서 넣으면 됩니다.
근거없는 하고싶은 말만 많으면 리젝이죠.

2021.07.09

자기 관심분야 논문들 많이 읽다보면 자동으로 어떤 내용은 어느 논문에 있었지, 이쪽 관련은 어떤 학교에 어떤 교수가 잘하지 이러면서 금방금방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저는 논문을 읽은 후에는 독후감처럼 내가 나중에 쓸 수도 있겠다 싶은 건 미리 라인바이라인 따두고 책갈피해 놓습니다. 그렇게 Notion에 따로 정리해두고요. 처음에는 고된 과정이지만 나중에는 재산이 됩니다. 물론 아예 모르는 분야에 진입할 때에는 이 과정을 다시 거쳐야합니다만, 이 경우에는 효율적으로 서치하는 역량을 기르는 방법 밖에 없습니다.

2021.07.09

그게 어렵다면 아직 그 주제에 대해 논문을 쓸 정도로 공부가 안됐다는 것

대댓글 1개

2021.07.09

그게 맞는것 같습니다.. ㅠㅠ 교수님이 특정 주제를 던져주고..
어찌어찌해서 결과는 좋게 나왔는데.. 이걸 논문으로 쓰려니 돌아버리겠네요..

2021.07.09

경험상 20개이상 달면 크게 인용갖고 뭐라하지는 않습니다. 간혹 리뷰어가 인용이 부족한것같다 혹은 ~관련 인용을 추가하라고 말하면 그때다시면 됩니다. 대놓고 어떤 저널 이름쓰고 이거 괜찮은논문이니 참고해라 라고 말하면서 본인/지인 저널 인용을 강요하는 경우도 허다하고요. 참고로 저는 평균적으로 25~30개정도 달긴합니다. 원래 introduction이 논문에서 의외로 제일 쓰기 어려워요.

2021.07.11

연구를 했다는건 그냥 실험만했다는게 아니고 다른사람들은 어떻게 했는지, 내 실험은 다른사람들 실험과 무슨 차이가 있는건지를 증명했다는겁니다. 혼자 실험하고 비교도없이 실험결과만 써놓을거면 초등학생도 쓸 수 있습니다. 남들이 다 해놨던 실험 또 한 결과겠지만요.

대댓글 1개

2021.07.11

다른사람들은 이렇게 실험했는데 이런게 부족해보여서 이런 실험을 했고 이런 결과가 더 좋아졌다.
라고 쓰게 되면 관련 연구를 최대한 많이 찾아볼수록 가치있는 논문이 되겠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