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 생명과학부 박사졸업 후

2021.06.16

10

3496

박사과정 졸업을 앞두고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고 있어요.

이 길을 먼저 가신 분들의 조언을 듣고 싶어서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교수직, 공기업, 대기업 등 각 분야의 장단점이 궁금해요.

저는 여성이라 출산과 육아도 병행해야 될 것 같아서 더 고민이네요...

실험하는 것과 data 분석 다 즐기면서 하고 있는데
미래를 생각하니 약전 고민하던 때가 생각이 나네요 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1.06.16

시비거는건 아니지만 제 지인 중에 31살에 박사까지 졸업하고 결국 의전원 들어갔습니다

대댓글 2개

2021.06.16

제 주변에도 그런 분이 있으시네요... 지금 만나는 분도 농담반 진담반으로 peet 해보는 것 어떠냐고도 하시고...

2021.06.16

박사는 디플로마고 약사는 라이센스니 후자가 압승이긴 한데 현 시점에서 딱 내년까지가 막차라... 기회비용이 너무 크지 않을까 싶네요
춤추는 쇼펜하우어*

2021.06.16

교수님들도 출산휴가가 있으신감? 갑자기 궁금하다!!!

대댓글 3개

2021.06.16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공기업과 공무원은 출산과 육아면에선 왕고
춤추는 쇼펜하우어*

2021.06.16

교수님들 중에 애기 낳는 교수님을 본적이 없댜....

IF : 5

2021.06.16

있음. 90일 출산전후휴가는 법적으로 보장되어 있음.

2021.06.16

생명과학 교수하고싶으면 평균 5년이상의 포닥기간이 필요하다는거 주변 둘러보면 알거고요.
출산육아의 관점에선 대기업도 천차만별이나 연봉 상위권 대기업의 경우 육아를 돈으로 커버하고 커리어 지장을 덜받고 갈수있다는거(근데 생명쪽 대기업이 이정도 주는진 모르겠음. 이모님 많이 비쌉니다), 공기업은 육아휴직쓰는데 부담이 덜하다는거? 근데 생명 박사가 갈수있는 공기업이 있나요? 그나마 공무원은 자리가 좀 있는편이던데.

2021.06.16

육휴나 육아 때문에 고민하시면 정출연이 최상 입니다. 그 다음이 대기업이고요. 교수는 육아휴가 제도가 있는 대학이 거의 없거니와 있어도 재임용 전에는 꽤 힘들어서 사실상 못한다고 봐요

대댓글 1개

2021.06.17

정출연은 TO가 많지 않다는 얘기를 들어서... 정출연 갈 수 있으면 제일 좋을 것 같긴 해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