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sci논문 개재하신 선생님들 질문입니다!

2021.04.11

18

4680

게재료 다 자비 부담하신걸까요?
주저자는 저 교신저자 교수님과 2.3 저자 석사1 박사1 입니다.

제가 처음이고 위 선배들도 없이 처음 해보니
좀 무지합니다..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1.04.11

게재비용은 저자 수에 상관없이 말 그대로 게재시 비용이구요.
교수님이 교신저자로 들어가시는게 맞다면 연구실비로 처리하는게 맞지요.
저희 연구실은 모두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4.11

그런건가요? 교수님 교신저자로 들어 갔습니다만..연구실이 있긴한데 아직 신생랩이라 예산이 없는지 연구비가 없는것 같은데 이런경우도 있나요?

IF : 5

2021.04.11

게재료가 갑자기 늘었다고 얘기하는게 상당히 수상.....하긴 합니다만 옵션에 따라 달라질 순 있습니다. 하드카피 저널 몇 부 제공이라던지 오픈억세스라던지.... 근데 영 수상하네요.

대댓글 3개

2021.04.11

여러상황이 있겠지만서.. 윗 선배들도 없고 신임교수님이라 답답하네요..

IF : 5

2021.04.11

저라면 같은 과 다른 방 학생들한테 어떻게 하는지 물어보고, 모르는 척하고 랩 내 논문 출판 시 프로토콜을 잡아가는 쪽으로 접근해보겠습니다. 교수도 원생시절이 있었을텐데 솔직히 좀 많이 수상해요.

2021.04.12

저희과가 이번에 다 신임교수님으로 탈바꿈되셔서 또 타랩실 선생님들은 국내학회만 게재하신터라 정말 난감합니다..
시끄러운 가브리엘 마르케스*

2021.04.11

mdpi면 원래 게재료 비싸긴 함 한화 200정도였던가 근데 보통 게재료는 연구비로 처리할 텐데

대댓글 1개

2021.04.11

저도 그게 의문입니다..보통 랩실을 교수님이 만드셨으면 연구비 지원이 안나오나요? 교수님 실적연구에 자료서치 자료정리 에 지금도 다른 선생님들 학위논문과 관련된 논문진행중인데..학회에 다 교신저자나 공동저자로 쓰시거든요..
배고픈 마키아벨리*

2021.04.11

ㅋㅋㅋ 연구비가 없으면 뭐 그럴수도있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그걸 사비로 처리하라는건 이해가 안되네요. 제대로 인식이 박힌 교수면 당연히 본인돈으로 낸다고 하지 않나요.
나한테 중요한 실적이지만, 차후에 너희들한테도 도움되는거니 너희들도 내야된다는 논리인가..
개인적으로는 납득하기 어렵습니다. 연구비가 아직 없고, 본인사비로 전부 내겠다면 뭐라할 사람이 있을까요.

대댓글 3개

배고픈 마키아벨리*

2021.04.11

그외에, 처음에 교수님이 150으로 말한 이유는 모르지만, MDPI처럼 open access인 저널들은 대부분 게재료가 비쌉니다. 그래서 MDPI가 저널 급도 비교적 낮으면서 돈장사 한다고 욕먹는거기도 하고요.
MDPI는 안내봐서 모르지만, 다른 OA저널에 낼때도 1950달러인가? 그랬던것 감안하면 원래 그정도하는게 맞는것같아요.
아니면 본인(혹은 교수)가 낼때 여러가지 옵션 다 선택했을수도있는데, 가격차이가 100정도 올라갈일은 없다고 봅니다.

2021.04.12

교수님이 석사논문지도를 잘해주셨습니다.. 신임으로 오셔서 열정도 넘치셨거 ssci 논문 번역은 거진 교수님께서 다하셨어요. 그래서 인지 학위논문이 제게 아니라는 느낌도 들구요..물론 지도하에 제가 다했지만 애착이 강하셨다고 생각을 합니다. 근데 다른 학교 선생님들이 왜 니가 내? 라는 소리를 듣고 이게 아닌가라는 생각에 글을 적었는데 지금 좀 멘붕이네요..ㅠㅠ

2021.04.12

네 저도 홈피가서 게재비 확인을 했는데 240이더라구요.. 근데 처음에 말씀하셨을때 가격이 백씩차이나니 여러사람이 있어 그런건가?라는 생각을 ㅎㅎ
배고픈 마키아벨리*

2021.04.12

학생이 내는건 이해못합니다. 저도 신생랩에서 시작했고, 석사첫논문을 굳이 비교하면 mdpi sensors정도되는 곳에 제출했습니다.
번역이라.. 저도 첫논문이라 당연히 미숙했고 선배가 없었기에, 인트로덕션은 거의 교수님이 다 작성해주셨습니다. 당연히 연구비로 처리했고요.
지금은 많이 안정화되서 제가 박사과정 끝나갈때고 제 부사수인 석사과정학생들 논문쓰면 제가 거의 일일이 다봐줍니다. 첫논문(주저자)는 미숙해서 교수든 선배가 봐줘야되는건 너무 당연한거에요.
애착이 강하시다뇨. 본인 실적을 위해서 급한거고, 교수도 정말많은곳에 논문을 써봤을텐데 mdpi저널에 애착이 강할사람은 없을겁니다. 오히려 석사때 처움 주저자로 쓴 논문인 본인한테는 애착이 있겠죠.
다른사람이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제가 경험하고 교수님께 배워온 바로는 상당히 비정상적입니다. 교수봉급과 학생봉급의 차이를 감안할때 더더욱 이해가 안되고요. 하이브래인넷에 같은글 올려도, 현직에 있는 사람중 이사항을 이해할 사람은 단연코 적다고 생각합니다.(지도교수와의 관계를 감안할때 올리는건 비추합니다. 높은확률로 적어도 하이브리인넷은 모니터링 하실것같습니다.)

대댓글 2개

배고픈 마키아벨리*

2021.04.12

어쨋든 연구비가 없는 환경일수는 있습니다. 근데 그걸 주저자라는 이유때문에 학생이 낸다? 이건 절대 이해불가능입니다. 이내용은 제가 지금 지도교수님께 여쭈어봐도 백퍼센트 그걸 학생이 왜내냐, 지도교수가 내야지. 라는 말씀을 하실겁니다.
뭐, 백번 양보해서 지금 지도교수가 특정나라에서 학위를 하셨고, 해당 나라에서는 연구비가 없을경우 주저자가 내는게 당연했던 문화라면.. 그렇게 생각하실수도 있을까 추측해봅니다.

2021.04.12

S대 석사까지하시고 미국가셔서 다시 석박사를 하시고 한국으로 오셨습니다. 미국 유학시 ssci에 투고를 하셨다고..하는데 선생님 말씀처럼 특정문화 경험일지언정..아 멘붕의 연속이네요..ㅠㅠ

IF : 2

2021.04.12

저도 이번 해에 ssci 게재했어요. MDPI 저널이고 금액이 좀 상당했는데.. 교수님께서 연구비로 처리해주셨고, 같은 과에 연구비가 없는 방인 경우에는 저자들이 각자 나눠서 냈습니다. 저자가 3명이면 3분의 1, 4명이면 4분의 1 이렇게요. 아니면 교수님께서 사비(?)로 내시는 경우도 있는데 학교에서 논문게재료를 연구활동비? 연구보조비? 같은 식으로 교수님께 지급되는 경우도 있는 걸로 알고 있어요. 알아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1.04.13

저희는 교수님 포함 4명인데 3명에서 나눠 내기로 했습니다.. 아직까진 그런 언급을 하지않으셔서..이후 어떻게 되는지는 교수님이 말씀하셔야 알것 같네요..

2021.05.05

사비로 내는 경우는 못봤습니다.
보통 교수님이 내거나 연구비로 처리하거나 그렇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