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임용과 그에 대한 평가에 대해서

진지한 로버트 보일*

2021.02.23

2

2647

아래 비슷한 글들이 몇개 있어 몇 자 적어 보는데,

교수 임용은 회사지원이나, 고시랑은 달라서,
1만명이 100개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게 아니라, 100명이 1개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것임. 즉 합격자들의 표본에 의지해서 실력을 정량화 하기기 힘든 점이 있음. 따라서 생각보다 우연에 의한 요소로 결정되는게 정말 많고, 세부분야, 타이밍 등등 연구 외적인 요소 역시 매우매우 크게 작용함.

그 사람의 실적/커리어가 정말 실력인지, 아니면 운과 타이밍에 영향을 많이 받은 건지 알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일단 독립적인 연구할 기회를 줘 보고 잘하는지 못하는지 봐서 재임용-정년보장이 이뤄지는 방식을 사용함.

외국, 특히 미국은 이게 상당히 혹독하고, 중도탈락자들이 많음.

그러나 한국 교수사회는 이전까지, 임용=정년 보장 의 공식이 성립했었기 때문에, 이런 필터링 과정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던게 사실이고, 일단 임용만 되면 그 이후에는 뭐 앵간하면 계속 가니까, 또 교수사회가 폐쇄적이어서 그 사람이 교수되서 잘하는지 못하는지 판단할 기준도 정보도 없었기 때문에, 임용 되면 뭐 대단한가보다 하고 넘어가던것도 사실임.

최근에야 재임용 기준 빡세지고 있고, 이런 사이트도 생기면서, 임용 이후 교수들의 행보에 대한 정보가 일반인들, 특히 학생들에게도 공개가 되기 시작했고, 이런건 매우 좋은 순기능이라고 생각함. 가장 중요한 점은, 화장빨로 통과한 교수인지, 아니면 진정 실력자인지에 대한 구분이 명확해 지고 있다는 것. 최상위대학, 연구중심으로 갈 수록 이런 점은 점점 명백해짐. (연구보다는 교육 중심의 학교는 아직도 별로 상관없고. 차라리 이런 대학이 교수입장에서는 속 편할 수도 있음.)

연구중심대학이라면, 요즘 교수 임용은, 예선 통과인거 같고, 그 이후가 진짜 실력이 드러나는 과정임.
어린 나이에, 예선 통과 해도 계속 조교수로만 머물거나, 심지어 재임용 안돼서 나가는 경우도 꽤 있고.

한국은 에이지즘이 너무 심하고, 소년등과식의 성공(어린나이에 빨리빨리 하는것)을 너무 지향하는게 큰데,
너무 그런거에 좌우되지 않고 내실을 키우는데 신경 쓰는게 좋을 것 같음.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밝은 호르헤 보르헤스*

2021.02.24

동감합니다. 특히 학령인구가 줄어드는 현 상황에서는 더욱 맞는 말이죠. 교수하기는 피곤하지만..

2021.02.26

그쵸 미국은 상대적으로 임용이 쉬운 반면에 재임용 평가가 빡세서 중간에 나가리 되는 경우들이 있죠. 어차피 임용되기 전엔 독립된 연구자로서의 퍼포먼스를 보여줄 기회가 없기 때문에 제대로된 평가를 할 수 없는 상태라서 미국처럼 일단 가능성있으면 뽑아보고 독립된 연구자로서 잘 할수있는지 몇년 지켜본 다음에 본선에 갈지말지 평가하는 것도 좋은 방법인 것 같아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