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그쪽 조직에 지방대 박사 들어왔다고 생각해봐 안짜증나는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60
- 님이 실적 더 쌓아서 교수 이런 쪽으로 빠지셨어야죠. 님이 고만고만하니까 같은 조직에서 일하는 거죠.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74
- 너 같은 애도 뽑은거 보면….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81
- 교수도 아닌 박사과정 주제에 뭔 권한으로ㅋㅋㅋㅋ
그냥 무시하세요
계속 그렇게 주제 파악 못하면 교수님께 면담하세요
랩실 박사님이 나가달라고 합니다.
65
- 박사님이 아니라 박사과정 학생이지요?
그 분한테는 그런 말 할 권한도 없고
석사 2학기면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게 정상입니다.
깔끔하게 무시하세요
랩실 박사님이 나가달라고 합니다.
49
교수 창업의 문제와 겸직을 금하는 이유
2022.04.19
10
12297

창업하시는 모든 교수님을 문제 삼는 것이 아니라 주관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임을 말씀드립니다.
사실상 교수님들의 창업은 이미 주위에서 공공연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는 과학적인 지식과 기술을 기반하는 차별점을 경쟁력으로 여깁니다.
문제는 여기서부터 시작합니다.
창업의 바탕이 되는 과학적인 기술에 대한 연구,
처음 시작은 연구였을지 모릅니다.
하지만 새로운 연구 분야의 개척, 분석 기술의 향상을 위하여 행해왔던 연구 성과가 좋은 경우
욕심이라도 생기는 건지 논문을 위해, 혹은 졸업을 위해 해온 연구 내용이 회사 창업의 기반이 됩니다.
졸업하면 창업한 회사로 취직하면 된다는 식의 뉘앙스는 학위 과정생들의 싱숭생숭한 마음을 더욱 들쑤십니다.
박차고 나가자니 학위 과정에 투자한 시간이 아깝고,
계속 있자니 내가 하는게 연구인지 스타트업 회사 일인지 모르겠고,
졸업을 생각하자니 그 뒤는 교수님을 등지고 취업 준비를 하거나 교수님 회사로 끌려들어가는 극단적인 결말이 상상됩니다.
그렇게 갈등하는 동안 교수님은 결국 창업을 합니다.
그러고는 비밀유지 서약서를 작성하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입학한 후 한 가지 주제로 연구한 경우, 논문 주제가 회사 기밀이 되어버립니다.
졸업이 막막해지는 와중에 교수님의 비밀유지 서약서 언급은 결국 졸업을 인질 삼은 강요와 다름이 없게 느껴집니다.
원칙적으로 교내에서 교수가 창업을 할 때 겸직을 금합니다.
창업을 하시는 교수님들 중에는 회사에 집중하기 위하여 휴직을 하시는 분도 계시죠.
하지만, 겸직이 불가능하다는 원칙을 넘어 학교의 허락을 받는다면 허용이 됩니다.
학교 입장에서는 겸직으로 인하여 손해 볼 일이 없다고 생각해서인지,
그것 또한 이득이라고 생각하는건지 알수는 없지만 이미 많은 교수님들은 겸직을 하고 있습니다.
학교가 겸직을 인정하면 문제는 더 심각해집니다.
우선, 지도 교수의 의미가 무색해집니다.
겸직을 하면서 지도에도 최선을 다하시는 분들도 물론 있겠죠.
하지만 제가 직접 경험하는 교수님은 그렇지가 않습니다.
회사의, 회사에 의한, 회사를 위한 연구가 시작됩니다.
모든 연구 과제, 연구비, 사소한 행정 처리 마저 집중되곤 합니다.
교수님이 논문을 지도 할 수 있는 여력과 시간은 점점 줄어들고,
회사일이 잘 안풀리면 감정 쓰레기통이 되기 일쑤입니다.
지도 교수와 학생인지 대표님과 사원인지 그 경계가 헷갈리고 불분명해집니다.
인건비를 지급해도 문제고 지급하지 않아도 문제입니다.
회사 일을 하는데 인건비를 지급하지 않는 것은 대학원생의 노동을 헐값에 사들이는 것이고,
인건비를 지급하면 또 그것을 명분삼아 회사일을 정당화 시킵니다.
교수 창업과 그 겸직으로 인해 가장 큰 어려움을 겪는 사람은 아무래도 대학원생일 수밖에 없습니다.
본인의 연구 성과를 가지고 창업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로 인해 파생되는 문제를 방지 할 수 있는 방법은 너무도 빈약한 것이 현실입니다.
직위를 이용한 착취는 폭력입니다.
제발 그만해주세요.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109
72
21668
김GPT
교수라는 직업64
18
15774
김GPT
학벌논란 이해안가는게31
57
14494
-
108
10
15348
김GPT
'한국교수의 단상' 글에 대한 아쉬움13
31
5253
김GPT
연구 욕심있는 교수32
20
6867
김GPT
교수라는 직업5
5
5372
김GPT
한국 미래의 대학원28
6
5301
김GPT
교수 못하는거 맞음8
4
5575
명예의전당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109
72
21668
명예의전당
주저자 논문을 써보고 싶은 학부 저학년들에게100
18
20008
명예의전당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99
97
5485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 김박사넷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new!)
792
-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47
-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43
- 랩실 박사님이 나가달라고 합니다.
38
- 조선비즈 ‘위기의 포스텍’ 온라인 기사에 대한 대학의 입장을 알려드립니다.
39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4.19
대댓글 1개
2022.04.19
2022.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