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그럼 석사 학위 없이 4년 공부하고 박사 학위 취득인가여?
Gustav Kirchhoff*
2021.02.16
구글에 다이렉트 박사라고 검색을 해보세요.. 게시글 수십개나오던데.. 그리고 4년보다는 오래걸림니다.
2021.02.16
5년 정도
2021.02.16
박사 과정에 석사 포함임.
Jonas Salk*
2021.02.16
오마이갓
2021.02.16
Jonas Salk / 한국처럼 학부 > 석사 > 박사처럼 학부랑 박사 이어주는 개념이 아니고, 미국 석사는 느낌이 많이 다릅니다. 학부 학점 높으시면 무조건 다이렉트로 미국 박사 가는거 강추합니다.
Michel Foucault*
2021.02.16
석사는 연구실소속이아니라 그냥 수업듣는거로 합격이 쉽지만 펀딩안나와서 말하신대로 돈이 엄청 깨져요.
친구도 top20대학 다이렉트 박사랑 top5대학 석사(박사지원했는데, 석사는 붙여주겠다고 옴) 붙어서 고민하다가 박사로감..
집에 돈있으면 어떻게든 생돈써서라도 석사부터하고 박사로 가는것도 괜찮을수도 있다고 봐요. 유학하는 애들 보면 잘은 모르지만 연구실에서 연 3~5만달러정도 받고다니는것같던데요.
Jonas Salk*
2021.02.16
학부, 학점이 높아야 된다고 하는데 보통 어느정도 되야 갈수 있나요? 중앙대 4.3인데 가능한가요?
2021.02.16
근데 다이렉트박사 입시경쟁자는 물량으로 밀어붙이는 인도, 중국애들임. 걔들 스펙이 장난아님. 학점 실적 gre sop도 탄탄하고 집안도 좋아서 첫학기 돈내고서라도 미국대학원유학 가려는 애들이 많음. 미국 교수입장에선 얘네들한테 픽하지 학점 딸랑하나 있는 한국학생은 뒷전일 확률높음.
그래서 한국유학생들이 바보가 아니라서 국석사를하고 박사유학을 가는게아님. 1. 실적을 보여줘야 그나마 미국 교수들 눈길을 잡을수있고, 2. 본인이 연구체질이 맞는지 확인할수있고, 3. 혹시 한국 리턴시 국내 인맥을 형성할 수 있음.
그리고 미박학위 기간은 미리 정해질수없음. 혹독한 퀄시험을 끝내야 그때부터 미박 시작이기때문에
Michel Foucault*
2021.02.16
그거야 어느정도 수준을 잡느냐에 따라 다르죠. 유학간 친구들 경험담 들어보면 사실 극단적으로 서울대빼고 다른대학들을 아예 모르는 교수들도 많습니다. 다만, 구글을 통해서 한국내 대학중 대충 어느정도수준 학교인지 찾아보겠죠.
김박사넷은 뭐 top100이랑 spk랑 비교하는데, 예전에 비해서 국내연구진의 수준도 상당히 많이 올라와있습니다. spk가 미국탑 몇만큼 좋다라고 말하는것도 분야마다 상이하고, QS랭킹을 신뢰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적어도 제 주변에서 연고대든 spk든 top40위권 이하로 간 케이스는 정말 한번도 못봤습니다. (물론 인맥풀이 좁아주변에서 top3간 경우도 못봤지만요.)
여튼 저는 미박을 높게 쳐주는것도, 미국의 좋은대학을 나온 박사의 능력을 인정해주는거지, 그냥 미국대학원 나왔다고 가산점이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적당한 라인의 학교들과 spk를 병행해서 준비해보세요.
참고로 다이렉트 박사 지원하실 경우 인턴하면서 어떻게든 공저자라도 올리시면 매우 유리합니다. GRA나 토플부터 준비하시고, 연구실적까지 쌓고 생각하세요.. 주변에 본인은 유학갈거라고 떠벌리면서 석사로 자대랩실 간애들 많이 봤으나, 그중 20%정도만 실제로 열심히준비해서 유학가고(대부분 이런애들은 학부학점도 좋았던애들) 나머지는 그냥 어중이 떠중이로 자대박사중입니다.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6
2021.02.17
2021.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