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제 3학년을 마치고 4학년으로 접어드는 공과대학 학부생입니다.
겨울방학 내에 관심있는 연구실에 컨택을 할 예정이고 몇 개의 연구실을 마음속으로 정해놓았습니다.
그래서 구글 스칼라를 통해 해당 교수님의 인용이 많이 되거나 최근에 나온 논문 또는 10~20페이지 분량의 아티클들을 읽어보고 메일을 쓰려 하는데, 이런 과정이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선배님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0.12.24
도움 많이 되죠
IF : 1
2020.12.24
교수가 좋아할듯. 알든 모르든 노력이 가상해서.
Robert Louis Stevenson*
2020.12.24
Otto Wallach,Sinclair Lewis// 답변 감사드려요!
그런데 10~20페이지 분량의 아티클도 논문이라고 말할 수 있나요?
2020.12.24
아티클이라는게 어떤걸 말하는건지 모르겠네요..논문을 영어로 말할때 research article이라고 많이 해요
Robert Louis Stevenson*
2020.12.24
Alfred Korzybski// 정식 논문은 아니고 분야별 journal 등에 실린 10~20페이지 내외의 글을 생각하며 말씀드렸습니다!
IF : 5
2020.12.24
Review paper같은거 말씀이신가...
Robert Louis Stevenson*
2020.12.25
Paul Cézanne//리뷰 페이퍼는 아니구요! 서론 본론 결론 모두 나와있고 연구 방법도 모두 나와 있는 paper를 말씀드린거에요. 다른 분들 말씀 들어보니 research article이 맞는 것 같아요. 아직 학부생이라, 논문이라고 하면 졸업논문처럼 분량이 거의 100페이지에 달한다고만 생각하고 있었나봐요!ㅠㅠ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0.12.25
2020.12.25
2020.12.25
2020.1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