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국립대> 자대 석사 > 미국 TOP50 박사 많이 힘들까요
주변에서 학력 별론데도 유학 잘간 사람 보기 드문거 같아여 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Vladimir Prelog*
2020.12.24
부산 경북대 중에서는 저런 분들 가끔씩 보임
연구소에도 저런 테크 타신분 가끔씩 보이긴 함
2020.12.24
냉정하게 어렵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걸 해내시는 분들도 분명 존재합니다. 어찌보면 아웃라이어라고 볼 수도 있겠지요.
그냥 생각나는대로 한번 검색해보니
https://zdnet.co.kr/view/?no=20160427234020
선문대(학부)-연세대(석사)-CMU(박사) 케이스가 있네요.
2020.12.24
와..특이케이스지만 저런 소수의 분들이 용기 주네요 ㅠ
2020.12.24
미국에서 우리나라 학교에 대해 그렇게 잘 알것같나요? spkyk 과에 따라 ssh까지는 유학을 비교적 많이 가서 미국학교에 레퍼런스가 남아있겠지만, 그 이하 대학은 유학가는 케이스도 적고해서 미국학교에서 잘 모릅니다. 즉 님 학교랑 건동홍 같은 학교랑 미국 학교에서 인식이 별 차이 없다는거에요. 그니깐 학점을 수,차석 급으로 만들어 놓고 연구실적(논문)을 내면 top50안으로 가는건 문제 없습니다. 다만, 학점을 어찌저찌해서 수차석급으로 만들어놓았다 쳐도 연구실적은 아무나 못만듭니다. 하위권 대학으로 갈수록 유학 케이스가 적어지는 이유입니다. 학점이 좋아도 연구실적을 못냅니다. 이건 환경적인 문제도 있고(연구실이 없거나 거의 안돌아가는) 학생 능력의 차이도 큽니다. 본인이 능력이 있다면 환경을 석사로 개선해서 거기서 실적내면 갈수있습니다. 그게 아마 이제 위 댓글에서 말한 케이스겠죠. 근데 보통 하위권 학생들의 능력으로는 학석사때 연구실적 내기 쉽지 않죠. 학점은 당연히 잘받는다고 치고, 연구실적을 어떻게 낼지 치열하게 고민하시길 바랍니다.
Émile Zola*
2020.12.24
미국에서 한국에 관심있는 사람 빼곤 spk도 모릅니다.
글고 top50은 그렇게 어렵지않아요
Rita Harradence*
2020.12.24
분야마다 다름
Dario Fo*
2020.12.24
지방대 > SPK > 미국 탑이 일반적이죠
2020.12.24
일단 토플 GRE부터 공부해보시죠
John Fante*
2020.12.24
수학 CS 물리 경제 이런 전공 아니면 50권은 그닥 어렵지 않아요. 학점 4.4 찍고 연구 경력 좀 쌓으시면 됩니다.
IF : 1
2022.01.02
무슨 전공이신지 모르겠지만 전 지거국 출신 학부에 다이렉트 박사로 30위권대 프로그램 들어와서 박사하고 있습니다. 그냥 남들 말 무시하고 준비하세요. 위에 댓글 쓴 애들이 어드미션 주는 거 아닙니다.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0.12.24
2022.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