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물리학과는 정말 힘든가요?

2019.08.02

25

32250

고체실험 분야에서 Yk에서 박사따도 현실적으로 취직이나 임용부분에 있어서 많이 힘든 편인가요? 주위에서 물리 박사 따봐야 서울대 나와도 학원선생님한다고 하던대.. 제가 아무 것도 모르는 학부생이라서..대학원 진학 전에 너무 불안해서 여기에 질문 올려봅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Stéphane Mallarmé*

2019.08.02

YK는 커녕 S대학부에 MIT 프린스턴 박사따도 교수자리 못 잡고들 있음
Henri Bergson*

2019.08.02

고체실험은 자리 많습니다. 빔라인같은덴 오히려 사람을 못구해서 문제. 임용은 애초에 뽑는 숫자 자체가 너무 적어서 실력은 기본이고 운도 따라줘야 합니다. 그걸 목표로 하면 평생 불행하게 살듯 하네요. 게다가 이제 학령인구도 급감하고 대학도 많이 없어질건 확실하구요.

2019.08.02

실적없는 물박사나 졸업 학교 고민할듯
박사는 실적이에요. 논문만 잘 나오면 제주대나 연고대나...

2019.08.02

임용까지는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고체실험 분야는 취직 잘되나요? 요즘 많이 어려워졌다고 들었는대..
Henri Bergson*

2019.08.02

어려워졌다는게 통계적 근거가 있는 말인가요? 요새 정세가 어쩌네 경제가 어쩌네 이런말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어디서 주워들은거 자기들끼리 퍼뜨리는거니 그냥 거르시면 됩니다. 학부생이시면 졸업한 선배들 보면 대충 감 오지 않나요. 적어도 근10년간 경기가 어렵니 취업난이니 이런 얘기 매번 나와도 이공계 대학 나와서 전공 적당히 하면 삼성 등 대기업 잘 갑니다. 진짜 근본없이 놀다가 졸업하면 자동으로 뭐가 될줄 아는 애들이 취직 못하는건 당연하죠.

2019.08.02

아 그렇군요.. 괜한 걱정이었나봅니다
Stéphane Mallarmé*

2019.08.03

물리학과는 이공계가 아니고
회사가면 전공이랑 전혀 관계없는 일 할텐데 박사할 이유가 없음
Henrik Dam*

2019.08.03

임용이 힘든게 'yk에서 박사따도'가 아니고 'yk에서 박사따서' 아닌가요?

2019.08.03

물리학과가 이공계가 아니란 소리는 뭔 소리입니까.. 지금까지 '이'가 무슨 뜻인지도 모르고 쓰셨나요..
아마도 회사가면 전혀 다른 일을 할수도 있겠지만 그래도 일단 진학하려는 분야 고체물리 실험 분야입니다.

2019.08.03

임용은 그냥 다 힘들다고 들어서 생각 안하고 있고요. 장 궁금한건 취직이에요. Yk라고 더 취직이 힘든게 있나요? 위에 분들은 실적 위주라고 말씀하기는거 같은데..

2019.08.03

공대라면 카서포에서 박사 학위 따도 취직이 용이한데....물리학과 라면 서울대 박사라도 좀 힘들지 않을까요?
최소 해외 명문대나 카이스트에서는 박사 학위 받아야...

대댓글 2개

열정적인 비트겐슈타인*

2023.01.31

카훌은 진리다 병신새끼 ㅋㅋ

2023.02.03

ㄹㅇ 카훌 극혐
Henrik Dam*

2019.08.03

고체실험분야에서 PS물리학과 대학원과 YK물리학과 대학원은 이무래도 차이가 크죠..ㅠ

2019.08.03

흠 사실 제가 학교 간의 차이를 알고 싶은건 아니였던거라 ㅠㅠ 논란의 여지도 있고.. 구체적으로 제 고민을 말씀드리면, 고체 실험분야가 그나마 산업적으로 수요가 있다고 하는데 사실 반도체 연구를 제외하고 기초 물성에 대한 연구라면 제가 보기에 어디에도 정확히 직무가 일치사는 곳이 없을 것 같아서요. 반도체가 아닌 고체 (저차원물질 나노물질 강상관계물질 등등) 실험 랩실이래도 산업에서 수요가 있을까요? 혹시 최근 츼업 현황을 알수있을까요?

2019.08.04

근데 사실 산업 수요 예측하는건 누구나 다 어려운일 아닐까요? 아직 학부생이시면 못해도 6~10년 후의 미래를 보고 정해야하는 건데.. 그래서 보통은 그냥 하다가 적절히 취업할 수 있는 분야로 맞추거나 운이 좋거나라고 하던데요;; 지금 현재 핫한 AI분야도 누구는 몇년 후면 달라진다고 보고 누구는 계속 잘 나갈거라 말합니다.

2019.08.04

근데 다만 확실히 말할 수 있는건 공학계열이 아니고 자연계열이면 취업에 있어 불리해져오는건 사실입니다. 물리 테크 타다가 공학쪽으로 바꾸는 경우도 많습니다.
Stéphane Mallarmé*

2019.08.04

일반적으로 이공계=공대 한정이고 순수과학 연구하는 자연대는 이공계에 넣지 않음
양쪽 커리어패스가 엄청나게 차이나기 때문임
그리고 국내 산업에서 수요 사실상 없다고 봐도 됨

물리 학부나와서 전공바꿔 교수하는 사람들 SKP에 많음
Henrik Dam*

2019.08.04

이공계가 이학+공학인데 윗님 무슨말씀이신지.. 순수과학이 이학입니다

2019.08.04

말라르메 님이 말하는게 좀 와닿지가 않아서 말씀드립니다. 애초에 어느 곳에 가도 이공계라는 표현을 이학계열과 공학계열을 통칭하는 말로 쓰지 공학계열을 따로 부르는 말로 쓰나요? 국가에서 쓰는 통계를 보나 일반적으로 대화에서 쓰는 용어를 보나 이공계는 그냥 이+공 통칭입니다. 공대만 말할거면 공학계열이라는 말을 쓰지..

2019.08.04

물리학과가 아무래도 전공 특성상 산업에 있어 직무가 정확히 일치하는 부분이 없을거라는건 저도 압니다. 그래서 제가 불안한 것이기도 하고요. 하지만 그럼에도 저기 윗문이 말씀하신 것처럼 고체실험 분야는 자리가 많다고 하니 그 부분에 대해서 여쭤보고 싶은건데. 말라르메 님은 아예 물리학에 산업 수요가 0이라고 하시니, 솔직히 잘 알지도 못하는데 그냥 말씀하시는 것 같은 느낌이 드네요. 고체실험 분야로 박사 따서 삼전 하닉에 취직하신 분들 예전에 많이 봤어요.. 근데 요즘 반도체 싸이클이 뒤집히면서 학부 취직도 같자기 살얼음판이 되어서 박사 취직 자리도 막히지 않았나 궁금했던거에요. 원래 산업수요가 0인게 아니라 불황때 연구인력이 가장 먼저 잘려나간다는걸 아니까 그 상황에서 물리학과의 입지를 알고 싶은겁니다.
Stéphane Mallarmé*

2019.08.04

주위에 자연대출신 널려있습니다 글쓴이보단 많이 압니다
삼전 하닉은 원래 전공 안 따지고 학벌좋으면 대충 뽑습니다 가서 전공을 못 살릴 뿐이죠

2019.11.03

윗분들 뭔 헛소리입니까
물리학 출신들 입자이론 전공만 아니면
삼성 엘지 학석박 상관없이 잘도갑니다
모르면 말을말지 아는척은...
ㅡ물리학 출신ㅡ

대댓글 1개

2024.02.05

그건 님이 학벌이 좋아서일듯

2020.06.27

말라르메님 생각이 있는 건지. 이공계가 공대라는 무식한 얘기는 태어나서 처음 들어봅니다. 미국 물리학 박사따고 국립연구소에서 포닥중인데 바로 윗분 말씀처럼 입자이론이 아닌이상 다 취직해서 잘삽니다. 말라르메님의 근간없는 헛소리는 그냥 제끼시면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