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된지 반년된 조교수 입니다.. 학생들에게 9시에는 출근해라.. 그리고 6시에는 최근해라 라고 하고 지켜봤는데, 10시 넘어서 오는 경우가 허다하고 몇시에 집에가는지는 제가 따로 확인해보지는 않았지만 아마 전에 가는 경우도 많은것 같습니다...
다른 학생들이 계시는 연구실에서는 어떤가요? 학생들 출퇴근 관리는 교수님들이 꼼꼼하게 살피시나요?
저때는 완전 자율이었는데, 이게 맞는지 어떤지 모르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3.10.20
저도 10시가 출근 시간인데 그냥 랩미팅을 10시에 합니다. 적어도 일주일에 개별 미팅 전체 미팅 이렇게 두번은 제시간에 올수밖에 없게 하니 애들도 습관이 되는 것 같더라구요
2023.10.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렇게 시간 보내면 대체 2년뒤에 뭐가 남을까...
2023.10.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초보 석사과정들일텐데 일주일에 논문 한 편이나 제대로 읽고 소화할 수 있을까..? 학문 후속 세대가 심히 걱정된다.
2023.10.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유럽인데 자율이어도 예의상 9시에는 다들 출근합니다.
2023.10.20
저는 출퇴근 자율이라 10시 근처로 적당히 출근하고 밤 11시 12시 사이 쯤 퇴근합니다.
IF : 1
2023.10.20
아무래도 관리를 하기는 해야겠네요 ㅠ 답변 감사합니다!!
2023.10.2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ㅋㅋ 꼭 듣기싫은 소리 써놓은면 찔리는 놈들이 열심히 비추주더라.
2023.10.20
미국인데 집에서 하거나 도서관으로 출근합니다 실험 필요할때만 연구실가고요 사무실 따로 있지만 아예 안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어차피 내야하는 결과물이 빡세기 때문에요
무기력한 알베르 카뮈*
2023.10.21
아침에 미팅 잡아버리시는게 나을듯하네요 ㅋㅋㅋ
2023.10.21
저는 완전자율 출퇴근하라 했고 휴가도 원하면 다 보냅니다. 하지만 연구 업무량이 많다보니 대부분 알아서 늦게 가고 주말에도 필요하면 나와서 일하는 분위기입니다. 물론 일찍와서 시계보다가 일찍가는 친구들도 있는데 장시간 집중해서 일하는 학생들에 비해 데이터 퀄리티가 차이가 나고 성장속도도 느리기에 그런 친구들은 조금씩 포기하게 됩니다.
밥먹는 시간도 놓치고 열심히 하는 학생들 보면 딱하기도 하고 기특해서 밥도 자주 사주고 지도도 꼼꼼하게 해줬더니 대부분 열심히 하는 연구실 문화가 되는 것 같습니다.
2023.10.23
말로 하면 학생들은 안들어요. 9시마다 티타임 가지자하면서 조회를 하시던지, 랩스터디시간을 만드신다던지 하면서 강제적으로 오게 만들어야 됩니다. 아니면 랩에 기강잡는 시니어가 딱 중심잡아주던지요.
2023.10.20
2023.10.20
2023.10.20
2023.10.20
2023.10.20
2023.10.20
2023.10.20
2023.10.20
2023.10.21
2023.10.21
2023.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