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고도로 발달하는건 그 지능의 희소성도 점점 줄어든다는건데 천재, 엘리트입장에서 기분이 딱히 좋진 않을듯
예전엔 본인이 뭐 수식 하나 증명하면 "오 김천재님 대단하신데요?" "와 김천재님 역시 대한민국의 미래세요" 이러면서 박수 짝짝 쳐줬는데
근 미래엔 "AI가 김천재님보더 더 뛰어난 해답을 내놨는데요? 이게 더 좋은것 같은데?" 이러는게 그냥 일상다반사가 될텐데
천재들 입장에서는 기분 잡칠수밖에 없지 예전엔 본인이 말한마디만해도 다들 주머니에 노트 꺼내서 받아적기 바빳는데 지금은 전부 ai한테만 관삼있으니
그림 일러스트레이터들이 그림 인공지능 별로 안반기는것도 비슷한 맥락인듯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8개
2025.05.30
BEST누가 꺼려함? ㅋㅋㅋ
2025.05.30
ㅋㅋㅋ 그런 면이 없잖아 있는데 그래도 도메인별로 AI 발전시키는 연구자들은 있어야 하니까 어쩔 수 없지뭐
2025.05.30
누가 꺼려함? ㅋㅋㅋ
2025.05.30
천재가 아니라 수재라고 바꾸면 맞는 말인듯
2025.05.30
ai가 인간의 인정욕구를 빼앗기 때문에 꺼려하나는건 신박한 생각이네 ai보다 더 똑똑한 여러 사람이 ai를 만드는 거임 사람이 더 똑똑해야 자기보다 덜 똑똑한 무언가를 만들수 있지 지금 나온 똑똑한 ai도 더 똑똑한 어떤 인간이 만든 결과임 그리고 ai가 아무리 발전해도 더 발전해야 할 부분이 더 있어서 계속해서 똑똑한 사람들은 부족한 부분 발전을 위해 계속 필요함 ai는 앞으로 더 많이 발전해야함
대댓글 1개
2025.05.30
근 미래에는 AI가 인간의 지능을 초월하는 순간이 올텐데 그렇게 되면 AI가 AI를 발전시킬듯 그리고 ai를 발전시키는 천재란것도 결국 엔지니어에 국한된 직업군이고
2025.05.30
이세돌이 거의 똑같은 얘기를 했었음. 예전엔 자기가 수를 내면 사범님이 깊은 뜻이 있겠지라고 말했었는데 AI 이후에는 몇점짜리 수인지 평가받는다고
대댓글 1개
2025.05.30
네 제가 하는 말이 딱 그거임
2025.05.30
시대를 못따라가는 틀딱마인드
2025.05.30
공감은 되는데, 실제로 천재?들이나 머리 좋은 사람들은 남들보다 세상 변화에 빨리 적응하고 AI를 활용해서 보통 사람들이 AI를 쓰는거보다 더 우위의 퍼포먼스를 내겠죠
2025.05.30
자기가 갖고 있는 걸 뺏기면 누구나 화가 나지. 근데 천재니까 화가 나는 거고 평범한 사람들은 아무런 감정 없이 눈을 뜨고도 멍하니 보고만 있겠지
2025.05.30
농기계가 생겼을 때 힘센 농부들이 화를 냈을까?
대댓글 3개
2025.05.31
농기계가 아니라 농사 자체를 자율적으로 하는 자동농사시스템이 나온거 아님?
2025.06.03
계산기가 등장했을 때 산수 천재들은??
2025.07.30
그거 비슷한 실제사례가 러다이트 아닌가요?
2025.05.30
실제로는 그 소수의 천재의 효율이 몇 배로 끌어올려지면서 그 소수의 천재 말고는 다 버려집니다. 번역때도 그랬고, 그림때도 그랬고, 코딩때도 그랬어요.
대댓글 1개
2025.06.03
번역, 그림, 코딩에 ai가 등장하면 천재를 쓰지말고 더 값싼 인력쓰면 되지않을까여.
2025.05.31
AI가 내놓은 출력이 좋은 결과물인지 아닌지는 어차피 범재는 모름
2025.05.31
어중간한 범부들이 문제인거고 천재는 수요 있을거 같은데요??
2025.05.31
교수님들도 다 AI쓰라고 하시는 데 내가 볼땐 교수님들이 더 우월하심.
2025.05.31
결국 사람의 가치는 아이디어와 질문, 그리고 그것을 실행에 옮기는 능력이 중요해지는듯. 완전하게 이론중심의 학문분야 하는 사람들은 그럴수 있다고 생각함
2025.06.01
오 김천재님 대단하신데요?" "와 김천재님 역시 대한민국의 미래세요" 이러면서 박수 짝짝 ㅋㅋㅋㅋ 이건 뭐 초딩이냐
2025.06.01
선생님 같은 사람들이 계속 그렇게 생각해 줬으면 좋겠어요ㅎㅎ
2025.06.02
대학원생들한텐 생각보다 더 심각한 문제임 ㅋㅋ
90%의 평범한 박사과정생들의 가치가 알바 수준으로 가는거죠. 4년 5년 재학하면서 논문도 안쓰고 연구실에 죽치고 있는 분들.. 적어도 예전엔 전공 분야 한해선 대우라도 해줬지만 지금은 일반인이 인공지능 돌려보면 더 좋은 대답 얻음.
자꾸 ai가 창의성 없다고 딸치는데 내가 볼땐 평균적인 대학원생들은 교과서 기본 개념조차고 구멍이 많아요 ㅋㅋ 미박처럼 퀄을 치는 것도 아니고 그냥 짬만 찬 알바임
대댓글 1개
2025.06.03
정확하십니다 제가 말하고 싶은게 딱 이거
2025.06.02
풉ㅋ
2025.06.05
현재 AI는 결국 패턴을 익히고 패턴에 따른 다음 경우를 계산하는 기계임. NASA의 표현을 빌리자면 인간만큼 뛰어난 비선형 계산 능력을 지닌 존재는 현존하지 않으며, 때문에 AGI가 나오지 않는 이상 AI가 천재를 대체할 것이라고 보기 어려움.
수재는 패턴을 잘 찾는 것이 능력이기에 AI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들 수 있겠지만, 범재보다 AI 활용 능력이 뛰어나고, AI의 활용처가 다양해 당분간은 걱정 없이 살 수 있음.
작성자가 걱정하는 수준은 기껏해야 범재들이 바보들에게 받는 대우가 변하는 것을 걱정하는 수준임. 천재는 AI보다 뛰어난 결과물을 내놓고, 수재는 AI를 잘 활용한 결과물을 내놓을 것이기 때문에, 다른 이유로 꺼린다면 모를까 AI와 비교 당해지는 것 때문에 꺼리는 사람은 범재 수준을 벗어나기 힘듬.
2025.06.14
AI를 써보기만 하신 분인 듯.. 지능에 대해서도 너무 단편적으로 생각하고 있음. 무엇을 하고싶은 지 정하는 건 인간의 몫임. AI는 원래 있었던 요소를 굉장히 빨리 습득할 뿐이지 진정으로 창의하진 못함. 미술만 봐도 무엇을 그릴 지, 어떤 가치를 부여할 지 정하는 건 사람이지 AI가 아님..요새 ai가 너무 거창하게 받아들여지는 듯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30
대댓글 1개
2025.05.30
2025.05.30
대댓글 1개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30
2025.05.30
대댓글 3개
2025.05.31
2025.06.03
2025.07.30
2025.05.30
대댓글 1개
2025.06.03
2025.05.31
2025.05.31
2025.05.31
2025.05.31
2025.06.01
2025.06.01
2025.06.02
대댓글 1개
2025.06.03
2025.06.02
2025.06.05
2025.06.14
대댓글 1개
2025.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