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 기사 읽은거 맞음?
결국 연공서열 중심의 호봉제 개선하고
직급과 직무 우선주의인 직무급제 시행해서 정년 늘려도 경영부담 안되게 바꾸고 실력과 직무에따라 임금 더 받게 바꾸겠다는 기사인데 저걸보고
석사=박사라고 결론내는거임?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8 - 기사댓글이나 유투브댓글이나
제목만 읽고 욕하는게 요즘 대부분인데
심지어 봇댓글이 난무하고 죽은 인터넷 이론도 도는 요즘 세상에 그런걸 믿으시나요?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2 - 분야가 달라서 우린 학부생이 논문 썻다고 하면 그냥 의미 없는 거 하면서 시간 때우다가 논문에 저자라고 할수도 없는 n저자로 이름 넣어줬구나 싶음 그래서 큰 의미가 없음 학부생이 논문 썻으면 대단하다 보다 그냥 그런 갑다 함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17 - 팩트는 MDPI 들고 석사졸업해도 잘한거임 ㅋㅋ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5 - 환경주의자 LGBT 이런거 좋아하시나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1 - AI를 연구하고 있긴 하지만 동의합니다 과학 기술 발전 과정 중 소외된 부문들에 대해 눈을 돌릴 때가 되지 않았나 싶습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8 - 동의합니다... 언젠가부터는 필요에 의한 발전이 아니라 작성자님 말씀처럼 '발전을 위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어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3 - 정말 공감합니다. 과학기술을 연구하는 사람 입장에서 인문학적인 지식도 많이 알아야되는거 같아요. 뭐든 “왜”가 빠진 발전은 결국 파멸을 불러 올거라고 생각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1 - 개인의 입장에서 변화가 위기로 느껴지는것도 자연스러운 일이지요. 하지만 인류의 과학/기술적 진보수준이 지금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기후, 식량, 질병 위기등에 비추어볼 때 지속가능한 구조를 만들기 위한 충분한 기술이 있다고 볼수는 없어요. 현대에 부각되는 문제들은 대부분 진보의 부작용으로 인한 것이지만, 더이상은 문제로 여겨지지 않는 과거에 제기된 문제들에 비추어볼 때 여러 방면에서 진보는 여전히 필요합니다.
어떤 진보가 더 중요한가에 대해서는 위 댓글들처럼 다양한 방향성에 대한 성찰이 있어야하고, 실제로 많은 기술이 그러한 성찰 위에서 개발되지요.
자본주의와 혁신은 이러한 진보를 달성하는 방법들 중 알려진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이죠. 효율성이 전부는 아니니까 다양한 목소리가 필요한 것이겠고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3 - 과학기술이 발전해온 양상을 살펴보자면, 사실 과학에 인류 전체의 복지나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이 가미된 건 극히 최근 들어서의 일이 아닌가 싶습니다. 당장 칼세이건의 저서 코스모스에서도, 고대 과학자들이 인류의 안녕을 고민했다는 언급은 없었죠. 때문에 인간이 과학이라는 행위를 하는 가장 본질적인 이유는 미지에 대한 탐구와 이해 그 자체에 가깝다고 봅니다. 오히려, 이 당시 사람들의 행복과 심신의 안정을 위해 힘썼던 사람들은 종교인이 아니었을까 해요.
고대를 지나, 인류사의 여러 시점에 과학자들이 등장하죠. 데카르트, 오일러, 뉴턴,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 수많은 사람들이 과학의 발전에 기여하지만, 그것은 인류의 행복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학문적 호기심과 성취욕에 의한 업적으로 보입니다.
중세를 넘어 근대로 오면, 과학이 인류 전체를 위한 학문이라는 교과서적인 말에 의구심을 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방직기의 자동화를 필두로 이루어진 산업 혁명은 인도를 영국의 식민지로 전락시켰고, 이후의 극적인 산업화는 러다이트 운동이 촉발될 정도로 노동자들을 곤궁하게 했죠. 그런가하면 하버 보슈라는 인간은 살상용 독가스를 만들고는 노벨상을 받았습니다.
물론 인류의 발전을 위해 개발된 기술들도 다수 있지만, 그러한 예시들이 인류가 과학을 연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성을 대변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최근에는 오히려 누군가의 이권을 위해 추구되는 경향이 강하죠. 기술 자체는 가치중립적이라는 말들도 많이 합니다만, 이는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에 따라 담기는 의미가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고 봅니다. 애초에, 어떠한 문맥도 없이 고유한 의미를 갖는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건 그냥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2 - 깨시민인척 하지만 본인의 능력 부실을 저주하며 빠르게 발전하는 세상을 저주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많다는 점 잘 알았습니다.
부족한 것은 잘못이 아닙니다. 비슷한 사람들과 즐겁게 살아가시면 됩니다. 다만 이상한 신념을 구구절절 설파하며 정상인들의 노력하는 사회를 병들게 하지말아주세요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12 - 출연연같은데는 잘모르지만 일반적인 기업에서는 정반대인거같은데요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10 - 요즘은 학부만 놓고 보면 SK YKP가 맞죠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2
일본 연구생 컨택 확답 후 답장
2025.04.21

그런데 제가 현재 한 군데 면담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입니다.
면담을 기다리는 곳은 석사로 바로 진학해야 하는 상태이고,
교수님께 확답을 받은 곳은 연구생 진학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제가 좀 진학이 늦은 편이기도 하고, 일본 특성상 1년 후 취업이 내정되기 때문에, 연구생으로 6개월 지내며 연구실 및 생활에 적응하고 빨리 연구 테마를 잡고 시작해야 할 것 같아 연구생을 꼭 하고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석사 면담이 예정된 곳이 현재 연구생으로 확답을 받은 곳보다 연구 규모나 수준이 조금 큰 편이지만, 내년 4월에야 입학이 가능해서 1년간 유의미한 성과를 내기가 어려울 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확답을 받은 연구실의 교수님께, 제가 다른 연구실도 알아보고 있기 때문에, 아직 결정하지 못했다. 하지만 연구생으로 들어갈 수 있는 곳이 거의 없고, 나는 연구생 과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해 귀 연구실 진학에 긍정적인 입장이다. 라고 답장을 드렸습니다.
그리고 바로 한 시간 즈음 뒤에 신청 상황, 잘 이해했습니다. 라고 답신이 왔습니다.
교수님께서 입학에 필요한 서류를 곧 보내주겠다고 하셨어서, 서류를 보내주시기 전에 다른 연구실도 고민 중이라는 것을 말씀 드리는 게 예의이지 않나 싶어서 말씀 드렸지만, 혹시 실례였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주위 지인들은 그냥 서류 받아서 내고 입학 전에 취소하는 게 안전하지 않았겠느냐는 의견이 많아, 혹시 진학하신 분들이나 비슷한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35 48 8620
일본 연구생 확답 후 답장 김GPT 0 3 870-
0 3 789
학부연구생 1달하고 그만두기 김GPT 0 13 2804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생 교수 컨택 김GPT 0 5 9057
교수님 vs 학교 김GPT 0 18 3801-
0 7 762
태양전지 연구실 석사 진학 김GPT 0 9 1229
지도교수가 미치는 영향이 큰가요? 김GPT 5 6 3520-
163 33 45595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명예의전당 1163 77 214690
내 석사생활 참 많은일들이 있엇네요^^ 명예의전당 194 34 62485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30 - 상처 입은 지방대 출신 분들께 드리는 글
271 - 김박사넷좀 그만해라
21 - 요즘 학부연구생들은 예의가 없네요
41 - 댓글 많이 달린 글 보고 든 생각인데 ㅋㅋㅋㅋ...
28 - 좋은 논문을 적게 내는 연구실
7 - 제가 머리가 좋진 않지만 갈리레오 갈리레이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겠어요
8 - AI 탑티어 논문은 솔직히
3 - 다들 책으로 공부도 하시면서 연구하시나요?
3 - 번아웃 교수님
5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7 - GPT가 학부생 대학원생 수준을 끌어올린다
6 - 중앙대 화공 4.12 → KU-KIST 석사과정 합격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유학 고민
56 - 이 법이 시행되면 박사학위들고 대기업가면 손해네요
26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32 - ssh 자대 생 많이 없는
11 - 지거국 석사 월급..
8 - 포스텍과 연고대 학부 입결 차이
13 - 못하면서 열정적인 게 제일 끔찍한 폐급이라던데
11 - 지도교수님이랑 말이 1도 안통해요.
12 - 반도체 회로설계를 희망하는 아무것도 모르는 2학년 학생 질문 받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8 - 집단 지성이 필요해요!! (지도 교수 범죄자 됨)
9 - 개꿀박사 이게 맞는걸까요?
8 - 창원대학교 ㄱㄱ 공학부 박 ㅁ ㄱ 교수는 도대체 ...
8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17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