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ist 학부생 다 합친거보다 한양대 학부생 1/5입니다
백날천날 떠들어도 인터넷에선 목소리 큰 쪽이 이기는 것처럼 보이죠
학부는 ssh 선호도가 더 높은게 일반적이고,
대학원은 yk 선호도랑 비슷한게 일반적입니다.
대학원은 ssh에서 ist 가는 경우는 많아도 역은 거의 없습니다.
yk와 ist는 자대생 입장에서 서로 굳이? 입니다.
타대생은 랩실보고 진학하면 됩니다.
ist 대학원 수준?
17 - 애인생기면 자위 안 하겠죠?
SKP학생인데, 왜들 그러고 사는지
10 - 교수님, 옮길 수 있을 때 옮기세요. 밤 늦게까지 불켜놓고 유튜브나 게임하거나 노가리나 까고 있겠죠. 아무리 가르치고 조언해도 학생들이 받아들이질 않으니 답이 없습니다. 가르침도 준비된 사람만 받을 자격이 되는구나 하는걸 깨달았습니다. 성인이고 무려 대학원씩이나 다니는 고학력자(?)들에게 무언가를 강제로 시킬 수도 없고요. 당근만 받아먹고 채찍은 그냥 피해버리면 그만이더라고요. 그렇다고 인건비를 줄이거나 안 주면 당연히 대학원 진학 자체를 안 할테고요. 노답입니다 교수님. 옮길 수 있을 때 옮기세요.
내가 꼰대가 되고 있는 건지, 아니면 내 학생들이 못난 것인지
17 - 되겠냐??
박사 3년만에 졸업
13 - 학계에서 이야기할땐 대학원을
일반 사람들에게 이야기할땐 학부를 얘기하죠
학교 어디 나오셨어요? 라고 물어보면 뭐라 답하나요?
8 - 당연히 교수들은 넴밸류 비슷하면 애 키우기 좋은 서울 가지 교수얘기가 왜 나옴..
ist 대학원 수준?
14 - 물론 교수님은 내심 싫었을수도 있었겠지만
「큰 실수」 「아주 무례한」 「불쾌한」 하고 난리칠 정도의 큰 일도 아닐듯...ㅋ
교수님께 큰 실수를 하였습니다,, 어떡하죠
7 - 개같이 굴리려면 젊은 사람이 들어와야 함.
하브넷 - 국립대 교수 채용 경력 점수 의문점 ㅋㅋㅋㅋ
8 - 그리고 교수들 이직 얘기도 곁들이는데 학생들이 학업 이외의 여건을 따지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한게 교수 이직입니다.
본인의 선호에 더해서 가족의 선호까지 더해야죠. 여기에 덧붙여 결정타는 자녀 초중등 교육. 연구 환경, 학생 수준, 경제적 조건만으로 결정되는 게 아니란 얘깁니다.
ist 대학원 수준?
11 - -----------정리--------------
학부 입결: y k s h u s g d
연구력/대학랭킹: y s k h u g d
인지도: y k s h s u g d
교수 정주여건: y k s h s u g d
ist 대학원 수준?
8 - 네 대체로 유니스트를 좀 더 위로 봅니다
ist도 다 같은 라인이 아닌건가요?
8 - 고등학생 입시 사이트도 아니고 이런글 올라오는 것도 어이가 없고 그 와중에 유니훌리들이 후다닥 유니가 더 좋다고 주장하는 것도 어이가 없고
ist도 다 같은 라인이 아닌건가요?
10 - ist 셋 다 도토리 키재기 비슷한 수준이에요. 세 학교간에 급간따지는건 처음 보네요. 성대 한양대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봅니다.
ist도 다 같은 라인이 아닌건가요?
8
신생랩이라 제가 잘 하고 있는지 모르겠네요
2023.02.07

사실 교수님께서 뭘 말씀하시는지도 알겠고, 자기가 뭘 하고있는지도 모르면서 일단 시키니깐 실험을 하는 옆 랩실 친구들을 보면 이게 맞는거같기도합니다.
근데 옆 랩실에서는 분주하게 밤새 실험하고 있는데 전 혼자 오피스에서 9 to 9으로 필요한 논문만 주구장창 읽으니 괜히 이래도 되나 불안해지는건 어쩔 수 없나봅니다 ㅠㅠ
그래도 논문 읽고 아이디어 내주니 학계에 없던 접근이라며 엄청 좋아하시며 이쪽으로 더 읽어보면 좋겠다며 논문 10개가량을 받으니
참 인정받는 것 같아 기분이 좋기도 하고, 또 또 논문인가 하며 슬프기도 하고 참 복잡하네요
실험이 하고싶어요...ㅠㅠ
-
66 6 7002
학부연구생의 고민 김GPT 26 16 20279-
76 33 11830
논문들을 잘 못 믿겠어요 어떡하죠? 김GPT 33 21 7632
데이터 조작 관련해서 고민이네요. 김GPT 2 5 1243
test 김GPT 12 8 3776
저자 선정은 교신의 권한인가요? 김GPT 9 24 2896-
40 25 5789
학부연구생인데 김GPT 3 5 2878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74 43 45528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88 91 42248-
229 30 87725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부 인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연생 무급
2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와 명예회손급 레전드 한줄평 떴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 - 꿈을 찾아 결국 대학원 때려쳤습니다
57 - <대학원에 입학하는 법>
1188 - 논문 1저자 투고 후 아예 제명 당했습니다.
147 - 교수님이 뒷담 하시는거 흔한가요?
22 - 실적 관련 현타오는점
4 - 내가 꼰대가 되고 있는 건지, 아니면 내 학생들이 못난 것인지
21 - 랩실 변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11 - 여자가 약자였다면 지금은 남자가 약자인 시대 남자의 경쟁력은 30대에 있어요
9 - 카이스트 QS 관련 업데이트 있나요?
2 - 하브넷 - 국립대 교수 채용 경력 점수 의문점 ㅋㅋㅋㅋ
8 - 젊은 석사/박사생 교수에게 휘둘리지 않길..
9 - ai, data 분야 연구실 추천받아요
3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성공적인 미국 대학원 유학, 그 첫번째 교육인 [김박사넷 유학교육 밋업]에 초대합니다
13 - 김박사넷 글로벌 연구자 인사이트 - UCLA 교수 무료 세미나
80 - 석졸 미박 고민입니다.
7 - Top 20, Top50
13 - 미국 다이렉트 박사과정
7 - ist 대학원 수준?
39 - 박사 3년만에 졸업
13 - CS 박사 실적 평가 부탁드립니다ㅠ
11 - 교수님께 큰 실수를 하였습니다,, 어떡하죠
15 - 인재절벽 내몰린 이공계: 석·박사 미달 사태…무너지는 연구 생태계
11 - 대학원생 업무 정당한지 불합리한건지...
8 - 연구능력 향상을 위한 초간단 알리올리오 레시피
6 - ist도 다 같은 라인이 아닌건가요?
8
2023.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