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박 유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석사생입니다.
주변에서 미박에 대한 정보를 얻기가 어려워 경험자 분들께 조언을 부탁드리고자 글을 작성합니다.
석사를 마친 후 osu, uiuc, ut 대학교들의 전자공학 및 재료공학과에 지원해보려고 생각 중인데, 학점 및 토플 점수가 기준 점수를 충족할 때 논문 실적이 일반적으로 어느정도 되어야 할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4개
순수한 존 폰 노이만*
2022.10.04
논문 개수 보다 학점과 추천서가 더 중요합니다. 다박은 논문 하나도 없는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대댓글 16개
2022.10.04
해커스 같은 곳 후기글을 보면 전부 sci 논문이 2~3개씩 있는 분들이어서 요즘 걱정이 많았는데 다행이네요 ㅎㅎ 정보 감사합니다.
2022.10.04
앗 근데 다이렉트 박사는 아니고 현재 석사과정 밟고 있습니다 석사 학위 취득 후에 박사과정 유학 계획 중입니다
겁먹은 장자크 루소*
2022.10.05
박사 뽑을 때 공부잘할 사람을 뽑는게 아니라 연구잘할 사람을 뽑는건데 상식적으로 학점이 논문보다 중요할 수가 있나
순수한 존 폰 노이만*
2022.10.05
누가 논문보다 학점이 더 중요하댔나요? 논문 개수보다 학점이 중요하댔지. 학점 낮고 개쓸데없는 논문 많은 석사 보다 S대 수석인 학부생이 훨씬 유학 잘갑니다. 그리고 학부, 석사때 나온 논문 지도교수가 다 해줬다고 생각해서 신뢰 안하는 교수도 많습니다 ㅎㅎ
겁먹은 장자크 루소*
2022.10.05
은근슬쩍 쓰잘데기 없는 논문의 갯수였다고 말바꾸는 클라스 ㅋㅋ
겁먹은 장자크 루소*
2022.10.05
좋은 논문이면 논문 갯수가 안중요할리가 있나. "상식"적으로
순수한 존 폰 노이만*
2022.10.05
맨 처음 댓글부터 논문 개수라고 써져있는데요.댓글 혹시 눈이 안좋으신가요? 그리고 한국에 논문 개수만 많고 실적은 안좋은 랩들 널렸는데요? ㅋㅋㅋ
순수한 존 폰 노이만*
2022.10.05
논문 개수랑 좋은 연구하는거랑은 아무 상관없습니다. 특히 유학 준비하는 학부생이나 석사생이면 상관관계가 0에 가깝습니다.
겁먹은 장자크 루소*
2022.10.05
학점보다 논문 실적이 중요한 건 자명한데 굳이 안좋은 학교 출신에서 안좋은 논문 많이 쓰는 경우랑 좋은 학교에서 학점 잘받는 경우를 비교하는건 누가 봐도 의도가 뻔한데요? 알면서 모르는 척하시는건가요?
겁먹은 장자크 루소*
2022.10.05
상관관계가 없긴요. 본인외에 답변 달아주시는 분들 모두가 재료과는 좋은 논문 들고 오는 경우가 많아서 중요하다고 하시는데 눈이 나쁜건 본인이신 듯.
겁먹은 장자크 루소*
2022.10.05
아 그리고 본인 댓글에 달린 비추 갯수도 좀 세어보시구요. 눈이 나빠서 안보이시나?
순수한 존 폰 노이만*
2022.10.05
비추는 님 같은 사람이 달았을거니까 상관 없구요ㅋㅋㅋ. 댓글을 처음부터 잘 읽어보세요. "논문 개수 보다 학점과 추천서가 더 중요합니다." 논문 갯수가 중요하지 않다고 처음부터 써놨는데 혹시 한국어를 잘 못하시는건지 뭐가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 연구 건승하시길 빕니다.^^
겁먹은 장자크 루소*
2022.10.05
겁먹은 장자크 루소*
2022.10.05
한글 공부는 본인이 하셔야 하겠네요. 본문은 누가봐도 박사 유학시 논문의 중요성을 묻는 글인데 논문 갯수는 안중요하다는 댓글달았다고 틀린말 아니라고 우기시면 ㅋㅋ (왜요 차라리 2저자보다 1저자가 중요합니다라는 댓글도 다시지 ㅋㅋ) 다른 분들 말씀처럼 재료라는 전공 고려하면 논문 갯수가 안중요한 것도 아니고 오히려 없으면 불리할 수도 있네요.
2022.10.05
재료면 실적주의 가장 심한 분야인데. 당장 미박나가는 애들 중에 1저자 10점 짜리는 최소로 들고 나가는데. 본인분야도 아닌데 왜 거짓 정보로 선동하는거지? 재료쪽에서 논문 없이 나간 사람이 어딧음.
호탕한 쿠르트 괴델*
2022.10.06
추천서는 그렇다치는데, 말하는 추천서는 일반적인게 아닌 대가의 추천서 및 영향력있는 인재의 추천서에 한에서 중요하거고, 대부분은 지도교수 및 상사에게 추천서를 요청할텐데? 그리고, 학점이 더 중요한건 뭔소리인지... 논문이 없는 사람이 합격한 경우도 많지만, 논문이 있는 경우가 압도적으로 많은걸요..
2022.10.04
논문이 없어도 갈 수 있다는 거지 좋은 논문 하나 가지고 있으면 당연히 도움 많이 됩니다. 그리고 논문의 개수 보다는 퀄리티가 중요합니다.
2022.10.04
석사 졸업자는 논문 아예 없으면 문제가 됩니다. 다만 꼭 대단한 저널 논문이 있을 필요 까지도 없고 학회논문이라도 있으면 좋습니다. 논문이 없으면 평가할 때 2년 또한 뭐했냐고 생각하거든요
깐깐한 버트런드 러셀*
2022.10.05
재료공학쪽 미국 내 10-20위 사이 대학에 있는 친구 교수에게 들었는데 박사과정 지원자 중에 논문 실적 없는 애 찾기가 어렵다고 하긴 하더군요.
2022.10.05
재료쪽에서 논문없이 나가는 석사들 거의 없구요 20위권 지원하시는거면 10점 이상 논문 하나는 들고 가는게 맞습니다. 당장 작년에 제 후배도 jmca 1저자 한편 기타 공저자 논문 두세개들고도 목표로 하던 곳은 못가고 50위권 근처갔습니다.
생각보다 재료쪽은 실적 좋은 친구들이 많아서 빡세게 해야 되요.
2022.10.05
재료는 논문이 잘 나오는 분야라 박 지원시 논문이 하나도 없으면 경쟁력이 떨어지긴 하겠네요...
징징대는 알렉산더 벨*
2022.10.05
갯수 보다는 하나 좋은게 중요하던데.
2022.10.05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1저자 논문 하나 정도는 써야 긍정적으로 심사받을 수 있음
그거 아니면 학부 때 수석차석 졸업이었거나..
참고로 저는 1저자 논문 두개로 미박 진학했는데, 이후에 지도교수가 퍼포먼스 보고 뽑았다는 이야기를 들었음
2022.10.04
대댓글 16개
2022.10.04
2022.10.04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6
2022.10.04
2022.10.04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
2022.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