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미국 학부 나오는 게 미국 대학원 진학에 과연 유리할까요?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2.05.30

21

1889

CS phd 기준으로 미국 학부 나오는 게 과연 미국 대학원 진학에 유리할까요?

일단 MIT, Stanford, Princeton, CMU, Harvard, Cornell, Caltech은 무조건 빚 내서라도 붙여주면 가는 게 맞기는 한데 그 밑에 대학을 생각해보죠.

버클리는 CS 에서 알아주기는 하지만 일단 학생 수가 너무 많죠. CS 전공자가 EECS랑 L&S 합쳐서 일년에 졸업하는 사람이 이천명 가까이 된다고 하죠... 이런 환경에서 Pieter Abbeel이나 Sergey Levine 같이 유명한 교수님 랩에서 인턴하는 게 가능할까요? 물론 극소수의 뛰어난 학생들이 좋은 랩에서 인턴하고 탑4 phd 진학하기는 하지만 그런 식으로 따지면 서울대나 카이스트도 그런 학생들 있죠. 참고로 버클리 인공지능 강의는 한 번에 수강생이 700명이 넘습니다...

버클리도 이 지경인데 그 밑에 조텍, 미시간, 일리노이, 오스틴, 샌디에고, 엘에이 같은 대학들은 말할 것도 없죠. 솔직히 이런 대학들은 학비 무료라고 해도 오히려 인원 수 조절되는 설대나 카이스트 가는게 낫다고 봅니다.

그리고 컬럼비아는 아이비에 사립대인데도 학부생이 참 많더라구요. 버나드에 GS 까지 있어서. 사실상 이름만 사립대인거 같다는...

무튼 요지는 과연 미국 학부 유학이 영주권이나 시민권 없는, 대학원 진학이 목표인 유학생에게 나쁘지 않은 선택이냐 하면 저는 개인적으로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일단 연구실적 뛰어나고 소수정예인 대학들은 영주권도 없는 외국인이 들어가기 무척 힘들고 그 밑에 버클리부터 조텍, 일리노이, 오스틴같은 대학들은 학생이 너무 많아서 랩 인턴을 하기가 정말 힘들고 그냥 그저 그런 랩 인턴하면 설카 대가랩에서 하는 것만 못합니다. 그 밑에 대학들은 뭐 말할 것도 없고. 미국 교수 추천서가 결정적이다 하는 건 대가 기준이고 그저 그런 랩 미국 교수 추천서는 설카 대가 추천서만 못합니다. 문제는 주립대는 그저 그런 랩 들어가기더 어렵다는 거...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덤덤한 미셸 푸코 *

2022.05.30

궁금한데,

“누적 신고횟수가 20개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떻게 이 타이틀 다셨음?
덤덤한 미셸 푸코 *

2022.05.30

비슷한 글과 관련된 답변

1. 미국 대학원 진학 시 미국 학부 나오는 게 유리한 것보다
https://phdkim.net/amp/board/free/26664/

2. 카이스트 한 학기 다니다 조텍 붙어서 미국 왔는데 미박 유학이 목표면 잘한 선택이겠죠?
https://phdkim.net/amp/board/free/27633/

“안녕하세요 카이스트 한 학기 다니다 조텍 붙어서 카이스트 자퇴하고 조텍 갔는데 ml phd가 목표면 잘한 선택일까요?”


2022.05.30

해외 학부가 유리하다는건 자대 랩에서 인턴을 할 수 있기 때문이 아니라 학계 입지가 있는 미국 교수한테 추천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예요

대댓글 7개

2022.05.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근데 그런 입지 있는 교수님 랩 인턴하는 게 학생들 엄청 많은 주립대에서 경쟁 심한 분야들(대표적으로 인공지능)의 경우 엄청 힘든 게 문제죠.. 그거 고려하면 과연 설카보다 버클리 조텍 이런 대학들이 더 나은가도 의문이고..

2022.05.30

추천서는 친하면 써주는건데 뭔소리예요

2022.05.31

네…?? 추천서를 친하면 써줘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2022.05.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미국에서는 친해도 뭘 같이 한 게 없으면 좋은 추천서 안 나옵니다. 미국교수들은 이런 쪽에서 매우 철저합니다. 한국교수님들처럼 그저그런 제자들도 잘 되라고 모든추천항목 풀점수로 주고 그런 짓 안 하죠. 그래서 커미티에서 같은 레벨의 추천서일 때 미국교수 추천서를 더 쳐주는 거구요. 이때 더 쳐준다는게 같은 추천레벨일때 더 쳐준다는겁니다.. 그저그런 레벨이면 처음부터 평가대상도 안 되구요.

ML쪽은 학부생 때도 아웃풋 내기 좋아서 무실적+미국교수추천서보다 유실적+한국교수추천서가 훨씬 낫습니다

2022.05.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유실적 미국 교수추천서 vs 유실적 한국 교수 추천서 하면 어디가 낫나요? 근데 미국 대형 주립은 워낙 학생이 많아서 랩 들어가기 엄청 힘들지 않나요?

2022.05.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당연히 실적있으면 미국이 훨씬 좋죠
미국탑티어 주립이면 중간정도하는 랩만 가도 설카포 상위랩실이랑 비슷하거나 더 좋습니다

2022.05.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조텍이나 미시간 정도면 ML 기준 탑티어인가요?

2022.05.30

님이 한국인이라 SKP가 좋아보이는거지, 솔직히 님이 미국 대학 교수인데 본인 나라에서 나름 네임드 있는 Georgia Tech, UCLA 같은 학교 출신 안 뽑고 (이해를 돕기위해) 싱가포르 NUS나 홍콩과기대 학생들 뽑을 것 같음? 영어도 훨씬 잘하고 (차라이 싱가포르나 홍콩은 영어라도 잘하지, 한국 대학은 그 장점도 없음) 미국 대학 시스템에 이미 맞춰진 친구들인데 굳이 그 애들 몇천명, 몇만명 제쳐두고 뽑을 이유는 없음

대댓글 3개

2022.05.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칭화랑 북경대 출신 엄청 많던데요... 유학생 4년 미국 산 거 가지고 영어가 얼마나 차이 날 지도 의문이고...

2022.05.30

CS에서 미국내 중국인, 인도인 인맥은 하늘을 찌릅니다. 칭화대, 인도 IIT가 그래서 잘 입학하는 거고 한국 같은 경우는 순전히 실력으로 뚫는건데 그 사람이 본인이 될거라고 생각하는 거 자체가 모순

2023.03.26

탑대학들에 ucla 조텍보다 중국,인도 대학출신이 훨씬 많습니다

2022.05.30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래서 미박이 대접 받는 것이죠. 이렇게 어려운 걸 해내니. 미박 아무나 하는 거 아닙니다. ㅎㅎ

2022.05.30

병먹금
팔팔한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2.05.30

카이 전산+전자학과 인원 무제한이라 100명 훨씬 넘는데요? 인원수 조절 되는건 설대랑 포공 (18년전)만이고 카이는 학과 무제한으로 고를 수 있음. 카이 전자+전산 학부생 200명 중에서 인기랩 인턴하는건 쉽나? ㅋㅋㅋ

2022.05.30

중국인교수들이 중국인 학생 선호해서 많이 뽑는겁니다

IF : 2

2022.05.30

제가 직접 저희 분야 미국 교수들에게서 들은 얘기는 미국 학부를 선호하는 이유는 익숙해서 입니다. 미국 대학 시스템이 비슷해서 GRE가 좀 낮아도 학부성적과 추천서를 읽으면 학생의 실력이 가늠이 되지만 다른 나라 학교의 성적과 교수 추천서는 익숙하지 않아 가늠이 안돼서 GRE같은 객관적 지표가 더 중요해진다라는 얘기를 한 4-5명의 미국 교수에게서 직접 들었습니다. 그래서 미국 학부출신이면 GRE는 좀 못봐도 되지만 다른 나라 학생인 경우에는 GRE는 확실하고 객관적 지표가 더 중요해진다고 했습니다. 물론 또 아는 한국 교수의 추천서라면 또 케바케이겠죠.

대댓글 1개

2022.05.3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 그래서 조금 랭킹이 낮은 대학이더라도 미국 학부 출신이 다른 나라 학부 출신보다 미국 대학원 입시에 유리한 거 군요..

2022.05.30

어후 ucsd가 설대보다 탑스쿨가기 쉽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