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 학석박vs 국숭세단 학사 카이스트 석사 스탠포드박사

젊은 하인리히 헤르츠*

2021.12.29

36

3644

과는 전화기컴이라 가정하고
이런식이여도

교수임용or정출연 갈때
전자가 갑인가요?

미국박사가 좋다는데

얼마나 좋은지 감이 안잡혀서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6개

2021.12.29

정출연 : 논문과 전공적합도가 더 중요. 학벌은 두 가지 비슷해보임
학교 : 스탠포드가 더 유리함. 다만, 국숭세단 이상 학교에서는 학부학벌을 이유로 거부당할 수 있음.

대댓글 6개

젊은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12.29

유니스트에 모 교수님 두분은 수원대랑 세종대 학부 출신이시던데 진짜 실력하나로 거절 당할걸 뛰어넘은 케이스인가요?

2021.12.29

당할 수 있다고 했지 무조건 당한다고 하진 않았음.
연구중심이면 그 가능성이 더 낮아짐.
젊은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12.29

대학 스타일에 따라 또 다르군요...! 감사드립니다.

2021.12.29

학부를 유난히 보는 특정학교들이 꽤있어요. 특히 예전에는 인서울 사립대들의 경우 이사회가 학부많이 검토했는데, 최근에는 비교적 그런것들이 많이 줄긴한것같아요. (이건 세계대학평가 순위등을 올리려면 실적이 필요해서 그런거일수도?) 그럼에도 학부가 서성한만 되도 여전히 그것갖고 태클거는 이사회들 많음..
윗분말대로 연구중심대학은 비교적 덜보는편이긴한듯.
즐거운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1.12.29

숭실대 출신 연세대 교수 있음. 스탠포드도 아니고 그보다 훨 아래지만 연세대 출신들이랑 같이 교수함.
덤덤한 카를 가우스*

2021.12.29

학벌이 두가지 비슷해보인다구요...!?

다른 분들도 그렇게 보시는지 궁금하네요..

저는 박사를 어디서 했는지가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학사를 어디서 했는지를 중요하게 보시는 분이 많으신거 같네요..

2021.12.29

요즘엔 스탠포드 박사라도 실적 안 좋으면, 임용 되서는 안 된다는 분위기라.. 비슷한 실적이거나 실적이 약간 모잘라면 해외박사가 커버하는데, 해외박사도 그렇게 만능키는 아님. 다만 극상위권 대학들은 아직도 해박을 훨씬 좋아함.

대댓글 1개

젊은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12.29

그렇군요...! 예전에는 해박이면 거의 교수됐다던데.. 시대가 달라졌나보네요...

2021.12.29

국숭세단 학사 카이스트 석사 스탠포드박사 이렇게 갈 수 있는 사람은 없음
스탠포드 박사 들어가기가 얼마나 어려운데
미국 대학원 대부분이 많은 인도인 중국인 학생과 경쟁해서 들어가는 곳임.

대댓글 6개

능글맞은 하인리히 헤르츠*

2021.12.29

카이스트 학석 나와도 스탠 어드미션 받기 매우 빡센데.. 국숭세단 학부는 좀.. 한국인 PI가 한국 인맥으로 뽑는거 아니면 불가능하다고 봐야죠?
즐거운 레온하르트 오일러*

2021.12.29

국숭세단 학사에 스탠포드는 못 봤지만 그 아래는 좀 봤음. 10위권이내 학교들. 근데 대부분 한국 안 들어오고 미국서 교수하더라.

2021.12.29

중국인 PI -> 대부분 중국인 뽑음
인도인 PI -> 대부분 인도인 뽑음
한국인 PI -> 미국시민권자 선호, 한국인 몇몇 뽑음.
젊은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12.29

유니스트 에너지공학과 ㅇㅎㅇ 교수님이 그 케이스 이시더라구요...!
젊은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12.29

아 다니보니 포닥이 스탠퍼드였네요 정정합니다!
능글맞은 하인리히 헤르츠*

2021.12.29

포닥은 학부학벌 아예 안보기때문에 가능한거고, 박사과정은 못들어본 한국 학부 출신이면 committee 선에서 대부분 걸러집니다.

2021.12.29

한국인 스탠 박사가 몇명이나 될거 같니, 서울대 학석박과 비교해서.

그리고 또 스탠에서 아무나 뽑을거 같음? 스탠 들어가는순간 서울대 및 모든 해외 탑스쿨과 비교해서 매력적이었던 켄디데있었다는 것임.

대댓글 1개

젊은 하인리히 헤르츠작성자*

2021.12.29

그렇군요...!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2021.12.29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디가 취업지가 될 지 몰라도 현장에서는 실력으로 인정 받는데 원하는 취업 할때까지는 학부, 대학원 모두 도움이 될때가 많긴 하지요..취업 전까지 실적이나 학벌도 보기 때문에
비관적인 닐스 보어*

2021.12.29

서울대서도 다이렉트 스탠 박사로는 일년에 대형 과에서 한명 갈까 말까에요(석사 없이 바로 입학하는거). 가서 실적 잘 뽑을수만 있다면 서울대 학석박 보다 낫죠. 근데 주변에 그런 경우 본적이 거의 없는거 같아요. 말씀 하신 ㅇㅎㅇ 교수님 경우는 K에서 박사하고 가셨습니다. K에서나 스탠에서나 워낙 실적이 좋았으니 유니로 돌아오셨죠. 그나이에 인용 상위 1% 과학자 선정되는게 쉬운건 아니니까요 (사실 가셨던 스탠 교수님이 워낙 대가셔서 거기서 졸업하는 사람들은 다 1%과학자 선정되긴하고 가서 그룹 평균 정도 하셨던 것 같네요. 근데 그 그룹 평균이 중&미 탑스쿨 교수입니다.). 참고로 카이스트에서 서울대로 옮기신 배터리로 이미 유명한 최 교수님 역시 그 그룹에서 포닥 하셨습니다.

대댓글 1개

비관적인 닐스 보어*

2021.12.29

현실적으로 국숭세단 학부에서 탑5급으로 박사로 입학하는게 쉬워보이지는 않고요. SPK에서 석박 후에 포닥으로 가는 케이스는 그 이하 에서도 생각보다 많이 보입니다.

IF : 1

2021.12.29

닥후 아닌가?
미박이 훨씬 더 가치있지

2021.12.29

요즘은 후자가 훨씬 유리합니다.
이건 전세계에서도 아마 그럴겁니다.
한국에서도 상위권 대학으로 갈수록 더 그럴 겁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시간이 갈수록 더 그럴겁니다.

사실 서울대가 스탠포드에 비교가 된다는 것이 그저 놀라울 따름 아닙니까?

대댓글 1개

2021.12.29

그쵸,,,이전에는 생각도 못할정도였는데 한국이 많이 올라온것도 없지는 않더라구요. 그래도 스탠은 탑오브탑급 미박이라,,,딱 설대는 걍 각분야별 미박 탑20급(분야마다 다르겟지만 재료,화공 기준으로 워싱턴대,uw-madison급...) 가냐마냐지 스탠은 탑3이고 거물들이 많으니 걍 가야죠,,,,

2021.12.29

서울대도 물론 좋은 명문 대학입니다.
그런데 노벨상 수십명 있는 대학과 서울대의 비교는 솔직히 너무 국내에서만 하는 것은 아닌지요?
우리도 이제 세계화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갈수록 학부의 중요성은 작아지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2021.12.29

저는 세계 대학평가 솔직히 않믿습니다.
어떤 평가를 보면 칼텍보다 서울대가 연구와 교육의 학문적 명성이 높게 나오던데 그리고 그 명성도가 평가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더라고요.
이런 것을 대체 어떻게 설명할지 누구 아시면 설명좀 해주세요.

2021.12.29

찾아보니 QS 평가에 따르면 서울대의 학문적 명성이 98.3이고 칼텍의 학문적 명성은 96.6입니다.
칼텍은 46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였습니다.
이 것을 설명하여 주세요.

2021.12.29

다시 찾아보니 칼텍의 학문적 명성이 96.7이네요. 여전히 서울대가 칼텍보다 학문적 명성이 높습니다.
그러니 이러한 평가에 따라서 서울대가 미국의 어떤 대학과 유사하다 그 예기도 전 못 믿겠어요.

2021.12.29

말씀드린 QS 평가에서 명성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정량적 평가에서는 사실 칼텍이 서울대를 완전히 앞도합니다.

2021.12.29

칼텍은 학문적 명성의 불리함을 극복하고 세계평가 6위를 하였네요. ㅎㅎㅎ

2021.12.29

그래서 제 결론은 이런 평가 나오면 그냥 정량평가만 보고 나머지 정성적 평가는 그냥 참고만 하는 것입니다.
정성적 평가가 아예 틀린 것은 아니겠지요.
그냥 정성적 평가는 참고만 하면 됩니다.
서울대가 칼텍보다 학문적 명성이 높네. 대단하네...

대댓글 1개

2022.01.01

혼자서 뭐하세요?
후회하는 아이작 뉴턴*

2022.01.01

질문을 하였는데 꿀먹은 벙어리임. 그 전까지는 반론을 펼치더니 갑자기 아예 반론 자체가 안나오는지 조용. 해피뉴이얼. 누구든지 답변을 해주기를.
후회하는 아이작 뉴턴*

2022.01.01

질문은 위를 보면 알 듯이 서울대가 학문적 명성에 있어서 칼텍을 앞서는 이유임. 칼텍은 작년 올해에도 3개의 노벨상을 수상함. 서울대도 좋은 명문대학임에도 비교가 안되는 것으로 보이기에 그런 평가가 가능한 이유를 알고자 함.
후회하는 아이작 뉴턴*

2022.01.01

미안. 칼텍 2020, 2021년 3명의 노벨상 수상자 배출하였고 총 46명 노벨상 수상자 배출함.

IF : 1

2022.01.02

도대체 이런 질문은 왜 올리는 걸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