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다이렉트 박사 현실적 가능성 문의

2025.10.29

1

123

안녕하세요 미국 유학 박사 과정을 준비하는 직장인 3년차입니다.
현재 27년 가을학기 미국 박사 진학과
PLAN B로서는 한국 석사 이후 박사 진학을 동심에 염두해 두고 있습니다.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후기를 접하고 있는데
합격자 분들의 논문 실적이 엄청 나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현실적인 가능성이 있는지 김바사넷 분들 의견이 궁금합니다.

학부 : 광명상가 화학공학과 4.07/4.5
인턴 경험 : 카이스트 나노종합기술원 FAB 인턴 경험 6개월
논문 실적 x :
영어 성적 : 성적 준비중 (TOEIC 950 opic AL 수준)
연구실적 : DRMA NAND 관련 반도체 공정 실적 5개
진학 하고 싶은 연구 분야 : MSE, CHE에서 반도체 신규 공정, 신규 소자 소재적 관점 해석, 박막 계측 연구

대략적 정략적 스펙을 보시고 의견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개

2025.10.29

제가 소자 레벨까지는 모르겠지만..
주변에 알고 지내던 반도체 회로설계 분야의 지인들에게 들어본 바에 따라, 회로 설계 정도의 로우 레벨 연구를 기준으로 말씀드려보자면
1) 회로설계는 미국인들에게는 비인기 분야인지라 주로 동아시아 학생들 (한국, 중국,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아) 이 랩 구성원의 대다수를 차지합니다
2) 반도체 기업에서의 실무경력을 굉장히 높게 쳐줍니다 (반도체 제조공정에서는 삼성/하이닉스/TSMC 가 세계 최고 아니겠습니까..ㅎㅎ 미국인 중에 이런 실무 경력 가지고 있는 애들이 얼마나 될까요?)

그래서 저는 충분히 도전해 볼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