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석사 연구원으로 4년 넘게 연구했는데, 인프라도 그렇고, 프로젝트의 규모도 그렇고, 다 좋은것 같다.
단, 엄마 아빠 못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0개
2025.01.22
국내 석사 거쳐서 미국 박사과정 온 사람들 충격받는 포인트:
1. 행정 업무가 없음. 직원들이 전부 처리해줌 2. 컴퓨팅 자원을 직원들이 관리해줌 3. 과제 제안서는 교수님 or 포닥분들만씀 4. RA/TA 맡은일만 시킴. 여기저기 불려다니는일없음 5. 대학원 수업 퀄리티가 좋아서그런지 청강생 바글바글
대댓글 5개
2025.01.23
조금 언급하자면 1. 제가 나온 학교(카이스트), 우리학과에서는 정말 대다수 연구실들이 공유해서라도 행정선생님을 두고있고 행정선생님들이 행정일들을 처리해줬음. 비슷한 경우가 많을수도있다고 봄 2. 개인적으로 디메리트라고 생각하는게 일처리 더럽게 늦음. 한국에서 한달안에 끝날 간단한 행정일(내가하면 일주일이면 할수있는)이 탑스쿨인데 지도교수가 쪼았음에도 8개월걸렸음. 3. 진리의 케바케. 포닥없는 랩들도 많고, 박사고년차가 쓰는경우도 많음. 쉽게말해서 오려고하는 포닥이 많기때문에 가능한일임. 4. 카이스트에서 TA오래하는동안 동일하게 맡을일만 시킴. 지도교수 수업 메인조교를 맡지않는이상 큰부담안됐음 5. 진리의 케바케
2025.01.23
국내도 국내 나름인게, 난 국내에서 박사했지만 5는 솔직히 아니었어도 1234는 전부 해당이었음. 1은 진짜 최소한만 요구했고, 3은 1년에 한두번씩 정말 일손 모자랄 때 같이 쓰는 정도? 물론 내 사례가 결코 일반적이지 않다는 건 알고 있지만, 요즘은 국내도 최상위권 대학들은 충분히 좋아지고 있다고 생각해
2025.01.25
박사의 목적이 독립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키우는 것인데 미국 박사의 장점이 과제 제안서나 행정 업무를 안해서라니 그릇이 보이네요. 특히 과제 제안서는 남의 돈을 받아오는 것인만큼 그 분야의 역사, 트렌드, 노벨티 있는 아이디어, 구현방법, 기대효과까지 모두 공부할 수 있는 최고의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지금 저 이유들 때문에 미국 박사가 장점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은 국내든 미국박사든 고민할 필요없습니다. 어차피 어딜가든 실력있는 연구원이 되기는 어려운 성격이기 때문이죠. 국내냐 국외냐 선택때문에 잘못되는거 아니니까 걱정 안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2025.01.28
님 과제 제안서 한 개도 똑바로 안써보신듯. 충격받는 포인트라했지 이 장점보고 미박온게 아닌데요. 이런 잡일 부심 부리는 박사과정들이 제일 문제임
2025.02.02
잡일 부심 부리는 사람은 처음보네... 과제 제안서랑 행정업무가 독립적인 연구 수행이랑 무슨 상관임?
2025.01.23
MIT 박사중인데 MIT에서도 랩바랩이지만.. 행정업무합니다..ㅜ MIT가 유독 행정업무량에 비해 어드민 직원 수가 부족해서.. 학생/포닥도 행정 좀 거드는 경우가 있슴다ㅜ
착한 프란츠 카프카*
2025.01.23
케바케
2025.01.23
케바케인걸 일반화에 웃고갑니다. 역설적으로 저게 장점이면 갈 이유가 없는거죠
2025.01.23
그건 어디든 마찬가지
2025.01.23
한국에 좋은데 많습니다.
2025.01.23
무조건 동의. 국내박사 ㄹㅇ 시간아까움
2025.01.24
공대는 좋은곳 많은데 수학은 설포카 아니면 나오는게 낫다고 보긴합니다. 교수님도 말씀하셨는데 설포카말고 제대로 시스템 구축된 곳이 거의 없음...
2025.01.26
일반화하기엔 무리라는 댓글들이 많네요.
네 계속 그렇게 생각하십쇼.
2025.01.27
미국이 다 좋은 건 아니에요
2025.01.27
미국이 정말 좋기는 한데 가족과 떨어지는 건 너무 힘든 거 같아요
2025.01.27
과거에는 맞았으나, 요즘은 한국에서 박사까지 끝내고 포닥을 가는 경우도 별다른 불이익은 없어보임.
특히, 한국에서 정말 연구 잘하는 교수님 연구실이라면, 인맥까지 고려하면, 한국박사가 더 유리할 수도 있음.
2025.01.22
대댓글 5개
2025.01.23
2025.01.23
2025.01.25
2025.01.28
2025.02.02
2025.01.23
2025.01.23
2025.01.23
2025.01.23
2025.01.23
2025.01.23
2025.01.24
2025.01.26
2025.01.27
2025.01.27
2025.01.27
대댓글 1개
2025.01.31
2025.01.31
2025.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