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서접수 기간 : 2026. 9. 22.(월)10:00 ~ 10. 16.(목)17:00 ▶ 모집요강 공고 https://admission.ust.ac.kr/prog/entschGuideline/admission/sub02_01_01/list.do ====================================================================== 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스쿨 소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1985년에 설립된 국내 유일의 바이오 분야 정부출연 연구기관으로, 글로벌 바이오 원천연구 및 공공 인프라 지원을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국민의 삶과 국가 바이오경제 구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우수 연구인력, 첨단 장비와 시설을 기반으로 국가적 연구개발 수요에 대응하여 국내·외 연구거점 마련, 기초 원천 연구, 바이오 인프라 구축, 바이오 벤처 창업보육, 중소·중견기업 생태계 조성 등을 통해 우리나라 바이오 기술 혁신과 바이오 산업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 주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2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교원 : 167명, 학생 : 251명, 졸업생 : 581명 https://youtu.be/4VlSJiWpogw?si=98IBEByTHpLNL3kR
2. 세부 전공 소개
생명과학 1. 기능유전체학 기능유전체학은 유전자 기능규명에 필요한 제반기술을 습득하고 이를 활용함으로 생명체의 발생/분화 원리를 파악하고 다양한 인체질환과 연관된 유전자의 기전 규명하여 미래의학 실현에 기여한다. 2. 생명정보학 생명정보학(Bioinformatics, 생물정보학)은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융합하여 대용량 정보를 효율적으로 다룰 수 있는 지식을 연마하는 학문으로 향후 생명과학은 물론 정보 기반의 개인유전체 및 맞춤의료 시대의 핵심 연구분야이다. 3. 생체분자과학 생체분자과학은 인간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질환 치료제 및 진단법 개발을 위해 생물학과 화학의 통합적 이해에 기초하여 생체분자를 연구하는 분야로, 의약품(화합물/단백질의약품/천연물의약품 등) 및 진단법 개발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한다. 4. 단백체구조생물학 단백체 구조생물학은 단백체학과 구조생물학을 기반으로 분자 구조 규명에 필요한 첨단 생물학 분석기술을 습득하고, 다학제 간 연구를 통해 단백체 구조생물학 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생명공학 1. 나노바이오공학 나노바이오공학은 여러 학문을 통합적으로 적용하는 다학제적 연구와 교육을 바탕으로 나노기술(NT)에 기반한 바이오기술(BT) 및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을 통하여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신기술 분야로, 나노바이오소재, 나노생체분석, 바이오센서/칩, 나노메디슨 등의 이론 및 실기 교육을 통하여 우수 바이오융합기술 연구개발 인력을 양성함을 목표로 한다. 2. 바이오소재공학 바이오소재공학은 미세조류, 박테리아, 고세균 및 진균의 생리적 특성을 오믹스 분석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환경 보호 및 산업적 활용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유용 미생물 소재 발굴, 대사공학 기반 바이오소재 생산, 미생물 상호 작용을 활용한 생물 공정 개발 및 녹조/적조 제어 연구, 장내 미생물과 숙주 간 상호작용 규명, 이산화탄소 전환 및 탄소 감축 기술 개발 등을 연구한다. 3. 시스템생명공학 시스템생명공학은 생명체의 구조적-기능적 구성요소, 구동원리, 상호작용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바이오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고 활용하기 위한 이론과 실기를 학습하는 전공이다. 4. 응용바이오공학 응용바이오공학은 생명공학기술의 사업화에 관련된 연구역량을 터득하기 위하여 바이오기술을 바탕으로 현장중심의 의약품(천연/합성의약,단백질의약, m-RNA 백신 등)의 원천소재 및 생물화학소재의 연구개발, 생산공정개발, 유효성평가 기술개발분야의 전문가를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첨단바이오융합 첨단바이오융합 전공은 미래 개인맞춤형 정밀의료의 핵심인 유전자 및 세포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다. 첨단바이오 분야의 미래기술을 선도하고 혁신을 주도하며 의료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지식과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세포 및 유전자치료 산업에 기여하는 글로벌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한다. 3. 혜택 및 복지 안내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RIBB)에서 교육 및 연구 수행 - 교류학점제도를 이용한 타대학(KAIST, 충남대 등) 교류수업 수강 가능 - 근로계약 체결(4대보험가입) 및 졸업시 퇴직금 지급 - 연구 프로젝트 참여에 따른 인센티브 지급 - 연구 및 업무에 따른 활동비 지급 (국내외 출장비, 학회 등록비, 논문 투고료 등) - 연구원 내의 기숙사 또는 UST 기숙사 이용 가능
4. 입학 상담 문의 입학 및 대학원 생활에 대해 관심 있으시거나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아래의 메일로 문의바랍니다.
입학상담멘토 : (박사과정,수료) ssu92@kribb.re.kr KRIBB School 학사팀 : 042-860-4742, Kribbschool_ust@kribb.re.kr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