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 그런다고 해서 여자를 얻는것도 아님
여초랩에 들어가면 안되는 이유
32 - 병신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73 - 우선 '상명대 수준' 이라는 말이 특히 해당 대학과, 유사한 인지도의 대학 출신들에게 큰 상처로 다가올 수 있다는 것을 말씀드립니다.
입시 성적이 좋지 않아 랭킹 높은 대학에 입학하지 못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후 부단한 노력으로 훌륭한 강의와 연구를 수행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게 말이 안된다' 라는 말로 그런 분들까지 싸잡아 모욕하고 계십니다.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59 - 잠시나마 공포를 느끼셨으리라 생각하니 짜릿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야호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58 - 저야 그분과 개인적인 감정 섞일 일이 없으니 남 일처럼 (실제로도 남 일이지요) 건조하게 대할 수 있지만, 작성자 분은 감정 상할만한 일이 많으셨던 모양이니 마냥 좋게 말하실 수야 없겠지요.
하지만 '지잡대 전문대 출신을 개무시하면서 학벌 콤플렉스를 해소하기 위해 현재 서울대 강사 신분을 과도하게 드러내려고 하는' 것이 거북스러운데, 그 사람이 심지어 '고작 상명대 출신이면서 감히 서울대 교단에 서려고 한다' 는 식의 비난은 자가당착적으로 보입니다.
물론 그 분의 여러 단점을 직접 보시면서 윗사람 대우를 해야 하는 입장에서 제가 알지 못하는 다양한 고초가 있으시겠지만, 사람은 가끔 누군가를 싫어하기 때문에 더 싫어할 이유를 찾기도 하니까요. 아무쪼록 단점과 싫은점은 잘 구분하여 감정적 거리를 두는 것이 스트레스는 줄이고 건강한 인간관계의 시작이 아닌가 합니다.
세부 상황을 모르는 입장에서 과도한 참견의 말은 이만 줄이겠습니다.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46 - 학생 신분때는 그냥 성적이나 실적이 좋으면 어는정도 앞길이 보입니다. 그러나, 사회로 진출하게 되면 여러가지 사항들이 고려 대상이 됩니다. 입사 당락의 키를 쥐고 있는건 회사측 입니다. 심하게 표현하면 사기업의 경우 회사 마음대로 해도 된다는 이야기 입니다. 그게 사회 입니다. 님을 필요로 하는 회사가 반드시 있을겁니다. 인내를 가지시고 계속해서 지원해 보시기 바랍니다.
확실히 취업에서 석사 실적은 의미없나봐요
23 - 통계는 잘 봐야함. 박사과정 한 사람이 결혼 안 하는게 아니라 주로 결혼 안(못?) 할 사람이 박사과정을 하는거임.
박사과정 분들 존경합니다
22 - 그만해 미친놈아
박사과정 분들 존경합니다
37 - 해외라는곳이 다를수있지만, 미국은 보통 PI미팅 - 합격통보 - PI가 cover letter 공유 - HR팀을 통해서 DS서류발급 이 방식이 가장 많은듯 합니다.
PI를 통해서 합격 연락을 못받았는데, HR팀을 통해서 진행되는 사항은 제 주변에 한해서는 못들어봤습니다.
여튼 이런 사항은 나중에 잡 구하실때도 동일하게 생기는데, 저라면 A를 통해서 정확한 상황을 물어보고 시간적 여유가 있을경우에는 B를 시도해볼듯 합니다. 그게 아니면, B에게 A의 상황을 전하면서 "난 너랑 더 연구하고싶은데, A에서 합격통보를 받았고 빨리 결정해야된다. 혹시 결정을 빨리 내려줄수있냐" 라고 말하는건 미국내에서는 정말 일반적인 경우입니다.
저도 포닥을갈때도 운좋게 두군데가 동시에 됐어서 비슷한 방식으로 했고 (저또한 먼저 통보나온곳 말고 나중에 통보받은곳으로 갔었습니다만, 저런식으로 잘 해결해서 먼저 오퍼준 교수와도 친하게 지냅니다) 그 이후에 잡마켓에서 잡 구할때도 동일한 방식으로 했습니다.
쓸데없이 상황 안물어보고 혼자서 질질끌다가 이도저도 아닌 상황되고 욕은 욕대로 먹는게 가장 안좋은선택지고, 미국내에서는 그런 협상등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상황 확실히 물어보고 서로 상황 공유하는게 좋다고 봅니다.
포닥 오퍼메일 받고 거절하면...
17 - 왜 공부하고 연구하고 실험하라는 이야기가 희생이 되고 전체주의가 되고 파시즘이 될까요?
학생들이 졸업 후 학문적으로 인정받게 하려면 그만한 학문적 소양과 퀄리티를 함양하고 졸업시켜야 하겠죠. 오히려 자격 없는 학생을 시간 채웠다고 돈만 받고 졸업시키는게 학문의 질을 떨어뜨리는 거겠죠
이공계는 잘 돌아가고 있으니 걱정 마시길…인문계열에나 해당될 법한 이야기를 일반화해서 쓰지 마십쇼 없어보입니다
학술적 파시즘이 보이는게 걱정됩니다.
12 - 바쁘면 버스 탄다는게 말이여 방구여?
바뻐도 자기연구 자기가 스스로해야지
버스타고 쩔받고 싶다고 당당하게 쓰냐
항상 이런식임 착취 당한다고 소리지르는 애들
고상한척 해도 까보면 결국 “해줘”임
여긴 희한한게 애들 착취하지 말자하면
13 - 이동할때 택시탄다는걸 잘못 표현했네요.
쓴분은 버스 자주 타셨나봅니다??
여긴 희한한게 애들 착취하지 말자하면
13 - 오징어심리학과는 님처럼 온라인에서 분위기 파악못하고 나대는대 심지어 노잼인 그런 오징어를 연구하는 곳입니다. 님은 연구대상으로 지원가능합니다
서울대 오징어심리학과 대학원 어떤가요?
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이아몬드양자시스템 & 디바이스 연구실 학생 및 박사후 연구원 모집
2024.07.23

• 아래 내용의 일부를 포함한 다이아몬드 NV센터를 활용한 양자컴퓨팅 및 양자통신 구현을 목적으로 한 요소기술 연구 개발
1) 분산형 양자 컴퓨팅 시스템 기술 연구
2) 다이아몬드 나노디바이스를 활용한 NV센터 기반 양자중계기 /양자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 연구
3) 다이아몬드 나노포토닉연구: 반도체 공정을 활용한 다이아몬드 나노 구조를 제작하여, 상기 연구 주제들에 적용하는 연구
• 상기 연구활동을 통한 연수 내용
- 공정: 반도체 공정 전반을 활용한 Optoelectronics 소자의 제작(E-beam/Photo Lithography를 포함한 8대 공정 필요)
- 양자 시스템 구축 및 측정: 양자 컴퓨팅 및 통신 시스템 개발.
- 양자 시스템 응용: 다이아몬드 큐비트 시스템의 응용 연구(e.g., 양자 머신러닝 활용 연구 등 지원)
• 공동연구: Harvard University, Colorado University, 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등
○ 모집과정 및 인원
• 박사후 연구원: 대학원 졸업 예정자/박사 학위 소지자.
• 대학원생: 석사, 석박통합, 박사과정
- 전자/전기공학과, 물리학과, 컴퓨터공학 등 전공자 환영, 전자기학, 광학, 반도체 공정, 프로그래밍, 양자역학 관련 과목 수강자 우대
- 박사 혹은 통합과정 지원자 우대
- UST 혹은 KIST학연과정 지원 가능(고려대, 경희대 등과 연계)
○ 제출서류내용
• 이메일(dykang@kist.re.kr)을 통한 간단한 CV 제출 후, 진학 종류에 따라 제출서류 안내 예정.
○ 지원내용(혜택)
• 근로 계약 실시, 국내 최고 수준 (KIST 규정)에 맞춰 지급
○ 전형일정
• 상시모집. 25년 3월 입학 희망자는 긴급히 연락 바람(24년 8월 초 학연제도 서류 마감, 10월 대학원 접수 필요)
○ 기타
자세한 사항은 Personal page( https://sites.google.com/view/dykang/opening ) 및 이메일을 통해 문의 바람.
딥러닝한다고 하는랩 유심히 보세요 김GPT 19 12 14599
한양대 전자 합격했넹... 김GPT 2 13 9825-
0 5 9187 -
10 5 4254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ㅅㅎㅎ 교수님 김GPT 4 10 3889
인하대 학부생 어디까지 가능할까요? 김GPT 1 19 2734
중앙대 기계과 ㅇㄱㅇ 교수님 랩실 김GPT 0 2 6679
S대 기계 전산유체역학 연구실 김GPT 0 3 820-
0 2 4874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명예의전당 82 18 10936-
230 30 90245
나때문에 엄마가 포기한 것들 명예의전당 160 23 24375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카이스트, ‘QS 제재’ 담당교수 징계 감경 ... 정작 부하직원은 퇴사
19 - 여초랩에 들어가면 안되는 이유
52 - 포항공대 전전 회설 ㅅㅅㅇ 교수님 랩실
20 - 확실히 취업에서 석사 실적은 의미없나봐요
27 - 자신의 무능함을 인정하지않는 교수
19 - 포닥 오퍼메일 받고 거절하면...
11 - 석/박사중에 ADHD 이신분들이 꽤 계신가요?
13 - 서울대 오징어심리학과 대학원 어떤가요?
11 - 팩트는 김박사넷도 인성파탄자 집합소가 되어가고 있단 거임
6 - [김박사넷 신춘문예 도전작] 연구와 바다
14 - 인생이 회피와 책임전가인 너
14 - 안녕하세요. 카이스트 합격 후기입니다
12 - AI 대학원 인공지능 상위 대학원 경쟁률 요즘 말이 안되네요.....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만 51세 여성 지인이 미국 박사유학 상담을 해온다면... 뭐라고 말해줘야 하나요?
69 - 2026년 가을학기 미박 현실적으로 가능할까요?
10 - 아무리 강사라도 상명대 출신이 서울대 교단에 서는 건 말이 안되지 않나???
68 - 신생랩 교수님 논문이 적어요
25 - 공익을 과연 가는게 맞을까요?(현재 3학년 재학중)
20 - 학술적 파시즘이 보이는게 걱정됩니다.
12 - 아이큐 높은 사람들 보셈
20 - 그냥 궁금해서 여쭤보는건데요
12 - 지거국 3학년입니다 서울대 교수님께 석사 제의?를 받았습니다
16 - 게임관련 일반대학원은 절대로 안 가는 걸 추천함
14 - 기여도 없는 선배가 공동1로 들어가는게 맞는건가요?
9 - 광명상가에서 카이스트 대학원 가는게 가능한가요?
9 - UST는 왜 평가가 안좋나요?
12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