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1 - 아 스레드에서 이 글 봤는데 뭐 면접 준비도 그냥 이틀정도 했던거같고 메일로만 잘못 전달받은거지 지원자가 따로 확인하려면 확인할 수 있었던 시스템이었던거같은데? 확인 세번은 어떻게 한건진 모르겠지만... 결국 합격자 명단에 본인 없어서 알아챘다고 기사에 나오는데 흠.. 그냥 실질적 피해도 없어서 민사도 못내는데 누가 알아줬으면 좋겠고~ 기사나 내서 사람들한테 나 억울하오~~ 하고싶었던거같음 스레드에 자세히 적었더니 사람들한테 공감 못받으니까 여기에선 두루뭉술하게 적은건가ㅋㅋㅋ자기한테 유리하게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24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5 - 늦으면 시발 가지말던가 이런글 왜올림?
답정너임?
남자 29살(만28) 석사 입학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27 - 어중간하게 학부만 나온 사람은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기에는 애매하고요.
제대로된 이공계 정치인이라 하면 30~40대까지 1저자 논문도 좀 쓰고, 연구비라도 제대로 한번 따본 사람이 되야 의미 있겠죠.
필드에서 축구잘하는 것과 훌륭한 축구감독은 인과관계가 없는 것 처럼, 대통령도 마찬가지 입니다.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논문을 쓰기 위한 제품 개발ㅋㅋ정부 과제로 20억 10억써서 만들면 아무도 안사용 합니다. 상품성이 하나도 없어요.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20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6 - rnd예산이 포퓰리즘이라니요. 이러니 예산 삭감하는거지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12 -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최소한의 각오 정리해줌
1. 평일 9to21 근무
2. 주말 출근 필수
3. 일주일에 최소 2번 이상 밤 새기
4. 논문 하나 보면, 안에 있는 피규어, 수식, 수치 다 달달 외우고, 참고문헌 전부 숙독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8 - 참고 버틴 다음에 너가 지도교수되면 똑같이 혹은 그 이상으로 갚아주면 됨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1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5 - 이런 똥글 쓸 시간에 자기개발이나 하세요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8
부산대학교 화학소재학과 태양광 수소 에너지 연구실 대학원생 모집 (박사/석박통합)
2023.11.09
1. 유기 및 하이브리드 반도체를 이용하여 태양광에너지를 수소 혹은 전기로 변환하는 연구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그린 수소 생산/광전기화학셀/태양전지 등을 개발합니다.
2. 소자/분석 위주의 연구를 진행하며, 특히 photogenerated carrier lifetime을 분석하여 태양광에너지 변환 효율과의 연관성을 연구합니다 (pump-probe spectroscopy).
3. 부산대 태양광에너지 지속가능활용 연구센터에 소속되어 인건비를 지급받고 항온항습 옐로우룸 등의 연구시설을 이용합니다 (https://super-erc.pusan.ac.kr/).
4. 석박통합과정 장학금, 조교 장학금, BK장학금(BK 참여학과) 등의 기회가 있습니다 (https://graduate.pusan.ac.kr/grad/62342/subview.do#q-info).
5. 관련 연구 분야 박사/통합과정 진학에 관심 있으면 컨택 환영입니다 (tackho@pusan.ac.kr).
6. 원서 접수는 12월 4일 부터 이며, 자세한 사항은 대학원 입학안내 사이트 (https://go.pusan.ac.kr) 참조하세요.
7. 아래 연구실 홈페이지도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김GPT 1 8 10581-
0 5 8493
한국에너지공과대학 대학원 김GPT 6 9 5614
한국에너지공과대학 한전공대 김GPT 12 7 5758
서울대 화학부 김GPT 3 11 5902
고려대 공대 석사입학 김GPT 0 11 3895
화학 대학원 김GPT 2 7 9081
부산대 전자공 재학중인데 김GPT 3 15 3358
부산대 대학원 진학 괜찮을까요? 김GPT 1 9 4845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 명예의전당 322 19 58700
대학원생 장시간 근무에 대한 생각 명예의전당 233 57 68868
대한민국 학계는 이게 문제임 명예의전당 246 39 93700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연구실(PI) 홍보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교수로 임용되기 위한 십계명 - 하이브레인 펌
17 - 지잡대 대학원, 교수, 대학원생
87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5 - 서울대가 날 합격시켰다더니, 그냥 실수였다고 취소했습니다.
111 - 여러분 진짜 건강 잘 챙기세요...
13 - 천재란 무엇일까요?
16 - 연구실에 친구라고 부를수 있는 사람이 있나요?
35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4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0 - 이공계 대통령 한번 나왔으면 좋겠네요
13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6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39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0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9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30 - 랩실 출퇴근시간
11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6 - 일본 대학원 연구생 컨택
8 - 40세 여 일자리 구합니다 (사이버불링후 잃어버린 6년)
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4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8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5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3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6 - 인종구성 원래 이런가요
8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8

미국 박사과정 평균합격률 12%, 극악의 난이도죠.
우리의 꿈을 이루는 방법은 "교육"👨🎓 뿐입니다.
2024.04.01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