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이차전지 분야 석/박 및 통합 과정(GIST/전남대 등 연계) 지원자 모집]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2023.08.16
0
196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광주센터 이차전지 연구그룹에서
석/박사/석박통합과정 대학원생 모집합니다.
1. 주요 연구 분야:
- 폐전지 고부가 가치화를 위한 차세대 재사용/재활용(양·음극 리사이클링 및 업사이클링) 및 전지 성능 복원
- 차세대 수계/유기계 이차전지 신소재(양극·음극·분리막 등)/공정(건식·습식)/통합 시스템 개발
- 이차전지 성능 향상을 위한 전기화학 시스템 설계
- 차세대 에너지 저장용 멤브레인 및 전기화학 시스템 개발 연구
1) 차세대 전지용 양/음이온 교환막 및 바이폴라막 개발
2) 친환경 에너지 저장을 위한 멤브레인 기반 전기화학 시스템 개발
- 인공지능 및 머신러닝을 이용한 이차전지 상태 진단 및 예측 연구
1)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 및 전극의 결정구조에 대한 XRD 빅데이터 수집 실험
2) (빅데이터 활용) 인공지능/머신러닝 기반 이차전지 상태 진단 및 예측
2. 모집 요강:
1) 협력 대학의 대학원 진학 후 연구소 파견
2) 협의하에 연구 시작 시간은 앞당겨 조정 가능
3. 연구환경/장학조건/대우:
- 다양한 배터리 분야(양극/음극/분리막/차세대 전지/계산화학/머신러닝/인공지능 등)의 전문가들에게 지도를 받고 협업 연구 가능
- 13개의 연구시설*((구축예정포함)100억 이상 최신 장비 및 시설 확보) 기반 적극적 연구 활동 보장
(*13개의 연구시설 : 1) 유·무기 전지소재 합성실, 2) 분리막 합성·코인셀 제작실, 3) 흐름 전지 ·대용량 셀 평가실, 4) 분석실, 5) 코인셀 평가실, 6) 초저습 드라이룸, 7) 전극 제작실, 8) 인공지능·계산화학 서버실, 9) 전지소재 양산 실증 연구동, 10) 고전압 ·대용량 전지 평가실, 11) 탈탄소 압축 공기 공급동, 12) 특수가스 공급실, 13) 대용량가스 공급실)
- 연수장려금
(세전기준-4대 보험 / 퇴직금 등 포함) 석사-약 2600 만원/년, 박사(코스웍 전 & 후)-약 3200 & 3600 만원/년
(급여기준) 석사-약 2100 만원/년, 박사(코스웍 전 & 후)-약 2600 & 3000 만원/년
- 논문출판 및 국내/외 학회 참가 지원, 수당 지급
- 타지역 학생 기숙사 제공가능 (협의 필요)
4. 졸업(연수)생으로 연구 후 그간 진로 현황:
졸업생 배터리 3사 취업(SK ON, LG Energy Solution, Samsung SDI)
인턴 포함-Hyundai Motor, SK Innovation, SK ON, LG Chem, LG Energy Solution, Samsung SDI, Umicore 등 입사
5. 협력 대학:
- GIST, 전남대학교 등
1) 학위 기관 협의 가능
2) 석사/박사과정 또는 통합 지원 가능 (석/박사 통합 과정 진학 우대)
6. 소재지:
광주광역시 북구 삼소로 270번길 25
7. 학생연구원 지원자격:
- 학사/석사 졸업예정자 또는 학사/석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입학기준 타 기관 및 산업체에 취업되지 않은 자
- 관련 전공: 공학계열(신소재, 재료, 화학, 물리학, 화학공학, 에너지공학, 전자공학, 기계공학, 컴퓨터공학 및 이외 전공도 협의 가능)
8. 지원방법 및 문의:
- jyma@kier.re.kr (메일 참조 2개 등록: jiwo1165@kier.re.kr, nun20@kier.re.kr)로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자유양식) 제출 후 협의
https://www.kier.re.kr/board?menuId=MENU00787&siteId=null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11
15
7452
김GPT
카이스트 전전 컷2
17
3048
김GPT
이차전지 연구실1
2
4989
김GPT
한국에너지공과대학 대학원6
9
3179
-
7
9
1422
김GPT
K대 서류컷2
8
4016
김GPT
지방대 석사 진학 고민중입니다.1
10
3820
김GPT
이차전지/배터리 석전연0
4
1302
김GPT
UNIST 전기 1차 지원0
10
1940
-
99
19
43241
명예의전당
대학원 옮기길 정말 잘 한 것 같습니다.79
4
22160
-
205
25
13787
학생 모집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학생 모집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댓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