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2 - 타대 출신이 자대생 무시하네 ㅋㅋㅋ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1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44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42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6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4 - 그리고 특임교수 돈 안받아요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8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0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8 - 난 주말에 연구하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강제하는건 문제가 있을듯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0 - 닥쳐 좀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9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6 - 아니 누가 쉬지 말랬나요? 주말에 공부도 안 하고 꼬박꼬박 쉬는 애들은 애초에 학문하고 어울리지 않는다는거지요. 도피성 진학해서 주말마다 노는 애들 괜히 찔려서 튀어나오네.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1
29살 지잡대 그 이하인 저는 대학원 포기하고 취업이 더 빠르겠죠?
2020.10.07

안녕하세요.
우선 여기 글 들 보면서 정말 인생 열심히 사시고 이른 나이부터 일찍이 철이 드신거 보면 참 부럽기도 하고 제가 너무 작아보이네요.
우선 전 가정형편이 너무 어려워서 공장에서 일을 하게 되었구요.. 그래서 지거국 3학년 1학기까지하고 자퇴를 하였고 현재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어릴때 공부를 중도 포기해서 그런지 학위에 참 미련이 남아 여기 커뮤니티에는 너무 저급 스펙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염치 없이 질문 글을 올려보겠습니다.. 이런 스펙 올렸다가 욕먹을까 두렵네요.
지금 스펙은
28살, 지거국 자퇴후 학은제 학사학위 취득, 유관경력x, 토익 700, 정보보안기사, 정보처리기사, 지식경제부 주관 아이디어 대회 수상, sk e&s 아이디어 대회 수상을 소지하고 있습니다.
학점은 지거국 3학년 1학기까지 3.5였고, 학은제로는 4.2의 학점을 받았습니다.
번외로 대학생활때 2~3년 동안 연구실 생활을 하였습니다. (학부생이라 연구실적같은건 없고 공모전이 다입니다.)
특히 제가 가고싶은 분야는 융합보안 대학원인데 기사 자격중 중에 정보보안기사는 제일 어렵고 가장 알아주는 자격증이라고 알고있습니다. (분야는 스마트공장 혹은 스마트시티입니다)
제가 내년초까지 토익 850은 만들수 있을 것 같은데 내년 초이면 29살입니다.. 나이가 참..
이러한 상황에서 학벌을 안보는 공기업을 노릴지 혹은 대학원을 갈지 고민이 됩니다.
맘편히 공기업을 노려도 되지만 학벌이 학은제 학사인게 참 맘에 걸리네요..
1. 위와 같은 스펙으로 대학원을 갈 수 있긴 하나요? spk 아니라도 그 밑 급인 서성한은 가고싶은 욕심입니다...
2. 지금 상황에서 공기업 취업을 노린다 vs 대학원을 가도 늦지 않다.
3. 만약 대학원을 추천하신다면 석사만 간다 vs 박사까지 간다 (제 나이에 입각해서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
4 12 15273 -
1 19 9205
대학원이 제게 맞는 걸까요? 김GPT 2 13 10385
대학원 진학 vs 취업 김GPT 3 9 8944-
0 12 2715
30살 석사 취업 김GPT 0 12 8247-
0 12 5982 -
5 8 6054
대학원vs취업 김GPT 5 9 4216-
100 53 107501 -
418 68 48249
대학원 월급 정리해준다 (공대 기준) 명예의전당 227 76 19346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랩실 출퇴근시간
18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6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8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7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26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2 - 교수님은 정말 좋으신데 방장이랑 사이가 안 좋으면
8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5 - 교수 특
73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6 - 일을 잘 한다는 것.
176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30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9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5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32 - FYI
12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22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10 - 랩실 출퇴근시간
18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6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7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26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2

미국 박사과정 평균합격률 12%, 극악의 난이도죠.
우리의 꿈을 이루는 방법은 "교육"👨🎓 뿐입니다.
2020.10.07
2020.10.07
2020.1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