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2 - 대부분 맞는 이야기이긴 한데요.
조교수 랩에 대해 너무 긍정적인 이야기만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처음 셋업하는 랩에서 고생만 하고 졸업하거나 포닥 때는 좋은 논문 많이 낸 사람이 교수 임용 되고 본인 교신으로는 좋은 논문 못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신생랩 선호하지 않는 거고요.
결론은 일단 최근 퍼블리케이션을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그 랩 멤버가 일저자, 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만 봐야하고,
랩 멤버 수 대비 논문 양과 질이 괜찮은지,
좋은 논문들이 한 두 명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쓰는지 보면 됩니다.
결국 대부분 멤버가 좋은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랩에 가면 본인도 그렇게 되고요. 그 중에서 많이 가르쳐주고 챙겨주는지 자유방임인지는 면담 때 파악하고 본인에 맞춰 선택하면 됩니다.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안물안궁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1 - 학부를 봅니다.
석사졸업후 취업시 학부 학벌도 중요하나요?
10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9 - 가끔은 제안서내용도 이해못하는 심사위원들보면 누가누굴평가한다고 하는 생각이 들죠. 그러다보면 실적순이 차라리 공정하게 느껴짐^^;;;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0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5 - 한국 평가 위원들 제안서 제대로 안 보는 사람들 많습니다. 실적 기준으로 평가하자는 말이 제일 많이 나옵니다. 평가 얼마나 다녀보셨나요 ? 제안서를 아주 엉망으로 쓰면 그건 당연히 안되지만, 어느 정도 평균 이상이면 실적 싸움입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 우리나라에서 교수가 의미 있는 연구로 돈버는 사람이 몇이나 되나? 누가누가 혈세 잘 뽑아먹고 눈먼돈 잘 주워 먹는 가에 따라 수입이 달라지는거지. 그런것 가지고 능력이 좋아 수입이 높은척(실제론 높지도 않음) 하는거 보면....ㅋㅋ 실제로 능력이 출중하면 미국처럼 인더스트리쪽으로 가는게 맞음.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라도 밥통 마저 깨트리는게 맞다고 봄.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0
석사생활,연구실평가,계획 평가,리뷰 부탁드림니다.
2020.09.22

전자쪽 관련해서 석사지원하려는 학생임니다.
1.추석 끝나고 바로연구실 들어가기.
2.석사이후 설카포 박사 준비,그래서 석사 끝나기 6개월전부터 박사지원할려는곳에 컨택해서 관련한것들 미리 기초지식 쌓고,연구 동향알아보기및 박사과정 예약등 그러기 위해선 영어점수및 1년간의 석사 학점만점
3.연구실 이번에 졸업하시는분 너무 많아서 인원수가6-7명인데 뭔가 잘배우고 처신할수있는법
4.연구실 박사와 면담후 자유롭게 공부하고,각자 전자쪽이지만 연구하는것이 다르다는게 뭔뜻임?(옆사람의 연구 뭐하는지 모를수 있다는데 뭔소리임?)자기가 생각있고 처신잘하면 많이 얻어갈수있다고함.
난 연구주제주면 그것만 공부하고역할에맞는거 하는건줄알았는데 아닌가봄?
5.학부인턴있는데 석박통합으로 1년후들오겠다는데
뻥이겠죠? 학점 보니까4점대 넘던데?..
부정적인건 이미 뇌회로를 거침,긍정적인 평가나 계획에대한 것들 느낀점이나,이렇게 하면 좋겠다는것좀 부탁드림.
굳이 비판할려면 정확히비판부탁
-
1 2 8078
컨택했는데 연구실 평가좀 김GPT 1 5 4474
석전연 문의 김GPT 0 3 9248-
0 7 5752
연구실 지원 김GPT 1 2 5680-
0 7 5853
연구계획서 관련 질문드립니다. 김GPT 0 2 6600
연구실 박사의 의견이 김GPT 2 11 2559
교수님 평가에 대한 질문 김GPT 0 6 5924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53 33 21401
인과관계 영어표현 정리 명예의전당 308 24 59775
대학원생은 왜 돈에 대해 초연해야함? 명예의전당 172 87 36595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2020.09.22
2020.09.22
2020.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