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저는 강경제 라인에 재학 중이며, 자대 대학원에 진학할 경우 지도교수님과 함께 충분히 탑티어 논문을 작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반면, 타대 대학원은 상향으로는 기술원 또는 yk라인까지 가고 싶습니다. 타대에 가면 자대만큼 논문 실적이 나올 수 있을까? 하는 불안함이 있습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자대는 높은 저점을 가져가는 것 같고, 타대는 저점은 자대보다 내려가지만 논문 실적이 자대보다 조금 모자라도 (실적이 더 많다면 좋겠지만) 학교 네임벨류 덕분에 자대보다 고점이 높을 수도 있나 궁금합니다.
주변 자대 교수님들께서는 AI 분야에서는 학교 레벨보다 논문 실적이 더 중요하다는 조언을 주십니다. 물론 그 말씀에는 충분히 공감하지만, 어쨋든 자대 교수님들 께서는 자대로 오시길 원하실 수도 있고, 혹시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부분이 있을까 걱정되는 마음에 질문을 남깁니다.
AI 분야에서, 강경제 라인 <--> YK·기술원급 사이에 학교 레벨 차이가 있더라도 취업이나 진로에서 논문 실적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보시는지 교수님들 또는 선배님들의 고견을 듣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11.25
저는 상향으로 가시는 것이 오히려 저점을 높인다고 생각합니다. 탑티어가 뚝딱하고 나오는 것도 아니고...
대댓글 1개
2025.11.25
답변 감사합니다!
2025.11.25
"자대 대학원에 진학할 경우 지도교수님과 함께 충분히 탑티어 논문을 작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 이 말은 교수들이 학생 꼬실 때 많이 쓰는 방법이라 신뢰도 전혀 없습니다. 교수님한테 물어보지 말고, 연구실에 이미 탑티어 논문 내 본 경험이 있는 선배들한테 검증 받아보세요. 이게 진짜 신뢰도가 더 높습니다. 여기서도 가능성이 높다는 평이 나오면 고민해보시고, 만약 선배들이 애매하게 말한다면 뒤도 돌아보지 말고, 학교 한 단계 올리세요.
대댓글 2개
2025.11.25
추가로 만약 연구실에 탑티어 논문 내 본 선배가 없다? => 학교 한 단계 올리시길 연구실에서 탑티어를 내 본 적이 없는데 이런 말을 하는 건 교수가 학생 호구 한 명 잡겠다는 겁니다.
2025.11.25
답변 감사합니다... 그렇다면 AI 분야에서 연구 실적도 중요하지만 학교 레벨 올리는 게 좋다고 생각하시는 편이신가요?
2025.11.25
학교레벨과 실적 고점이 얼추 비례합니다. 그리고 실적이 본인이 열심히 한다고 해서 되는게 아니고, 연구 인프라와 동료들 수준, 지도교수의 실력 등등이 다 큰 부분을 차지해요.
2025.11.25
대댓글 1개
2025.11.25
2025.11.25
대댓글 2개
2025.11.25
2025.11.25
2025.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