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포닥과정 거쳐오면서 거기서 수행한 우수한 연구실적들 보면 존경받을만한 분들도 많은데 문제는 그런 사람들 중 실제로 마주쳐서 얘기나눠보면 어? 그정도인가? 싶은사람들 제법 있는듯 내가 박사인데? 내가 포닥인데? 이런 마인드로 찍어누르려고하고 지식 공유하려고 할때 자기기 비전문적인 분야인거 뻔하면서도 전문적인척하는게 눈에보임 도대체 어떻게 박사까지 딴거야?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10.23
1. 저도 해외에 포닥으로 나와있지만, 당연히 다 대단한거 아니라고 생각해요. 여기선 뭐든 학교이름이면 다 될것처럼 얘기하지만, 당장 흔히 말하는 탑스쿨들 홈페이지 들어가보세요. 실험실 인원도 적고, 논문도 잘 안나가는 랩들 생각보다 많아요. 2. 찍어누르는 태도는 어떤 상황이든 잘못된건 맞지만, 생각보다 그냥 귀찮아서 얘기 안하는 경우도 많아요 (물롬 누굴 가르쳐야 한다거나 할때 이러면 안되져). 줄줄 내 연구분야 얘기 해봐야 사실 그쯤되면 남들은 이해조차 못하는 경우가 태반이라..(타분야에서 오는 인사이트 이런건 그냥 말한다고 될건 아니니까요)
대댓글 1개
2025.10.23
2번내용때문에 그런생각이 들었습니다. 사실 자기 전문분야에 그러면 인정이죠, 근데 자기 전문분야도 아니면서 그 분야 실적까지 낸 사람에게 내가 해외까지 갔다왔는데 내말들어라 이러는거는, 그리고 여담이지만 자기가 해외갔다왔다는 명분으로 똥군기까지 잡으니....그래서 몇글자 끄적거렸습니다
2025.10.23
탑스쿨 해외포닥 2년반 넘게했습니다. 탑스쿨이여도 해외포닥 해보면 "이친구는 어떻게 해외포닥 왔지?" 혹은 "어떻게 n년간 연장했지?"라는 사람들도 꽤많습니다. 물론 제 전문분야가 아니면 함부로 판단할수없다는걸 알지만, 2-3년간 딱히 열심히도 안하는것같고 실적도 없는 친구들보면 그런 선입견은 어쩔수없습니다. 반대로 웬만한 조교수보다 뛰어난 것 같은 눈에띄는 포닥들도 있습니다. 이런 친구들은 높은확률로 빠른시일내에 미국 좋은학교에 임용되더라고요. 개인적으로 저또한 해외포닥 했지만 박사과정도 아니고 "나 OO대학에서 포닥했어!" 이런건 의미 전혀없는것 같습니다. 저또한 해당학교 출신이라는 생각자체를 안하고있고요. 기관보다 해외포닥 과정중 어떤 결과를 냈는지가 훨씬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탑스쿨 해외포닥 나오는것 자체가 쉽지않고 경쟁이 치열해서 해외포닥 경력이 있다는것 자체가 "어느정도"는 실력을 반증할수있다고도 생각되지만 글쓴이분 말대로 꼭 그렇다는건 아닙니다.
대댓글 1개
2025.10.23
진짜 성과내는게 중요한거 같습니다. 우리나라도 박사 쉽게따는 사람들 많고한데 해외도 마찬가지아닐까 싶습니다. 근데 자기가 전문적으로 한 분야도 아닌데 자기가 전문가인마냥, 그것도 실무경험과 실적 충분한 사람들을 해외 출신이라고 찍어누르는게 아니꼬아보여서 글을 쓰긴했습니다
2025.10.23
존중받아야 함. 그리고 존중해주는 태도도 필요함.
대댓글 1개
2025.10.23
ㄲ
2025.10.23
근데 포닥인데라고 하면서 찍어누르나요? 아직 확실히 자리를 안 잡아서 대부분 겸손하실텐데..
2025.10.23
제생각에 그건 해외냐 국내냐보단 인성문제임.
댓글분들이 다 잘말해주셨지만, 포닥은 위치상 당당하기가 어려운 위치임. 후배들에게도 미안한 부탁 자주해야하고 선배/교수님들에겐 뭐라더 잘보여야하고. 그와중에 본인 연구 잡무 일상 임용지원 등 신경써여랑게 너무 많음.
그과정에서 연구적으로 위치로 까내리려한다? 그건그냥 인맥으로만 올라가서 내세울게 없는 사람임. 해외포닥이 무조건 존중받아야할건아니지만, 국내든 해외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서 실적내려는 그 시도 자체가 멋지고 존중할 부분이 있다 생각함.
2025.10.23
대댓글 1개
2025.10.23
2025.10.23
대댓글 1개
2025.10.23
2025.10.23
대댓글 1개
2025.10.23
2025.10.23
2025.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