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물리학과 학부생 타대 대학원 진학

2025.07.13

8

709

안녕하세요. 중경시 라인 물리학과 재학 중이고 이제 3-1학기를 마친 학부생입니다.
현재 석사 진학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석사 진학 후 취업이 목표입니다.
석사 준비에 여러 고민이 많아 조언을 구하고자 조심스럽게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현재 학점은 3.88/4.3, 4.15/4.5 이며 전공학점은 3.86/4.3입니다. 빅데이터분석/AI 분야 부전공 중입니다.
부전공 학점은 4.0 이상입니다.
주변 친구들은 대부분 반도체 분야를 희망하지만, 저는 반도체 분야에 흥미가 별로 없고 복잡계 물리, 복잡계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AI 분야, 양자 컴퓨팅에 흥미가 많습니다. 그래서 대학원을 진학한다면 해당 분야 랩실에 지원하고 싶습니다.

1. 제 학벌과 성적이면 어디까지 노려볼 수 있을까요? 사실 학비 문제로 카이스트, IST, 서울대, 자대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비 지원이 가능한 랩실을 찾고 있습니다.
현재 위 대학 중 복잡계 물리 연구실, 데이터 사이언스 연구실, 양자 컴퓨팅 연구실 위주로 찾아보고 있습니다.
자대 물리학과에는 적합한 연구실이 없어, 자대로 진학한다면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 랩실로 가야할 것 같습니다.

2. 제가 관심 있는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
복잡계 물리, 복잡계 네트워크, 데이터 분석, AI 분야, 양자 컴퓨팅
취업이 목표인 제 입장에서 전망을 보았을 때 양자 컴퓨팅 분야는 아직 밝아보이진 않는거 같습니다.
물리학과에서 데이터 사이언스 쪽 연구실을 갈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복잡계 네트워크에 관심이 많은 만큼 GNN, 네트워크 사이언스 연구실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3. 한학기 학부연구생 경험이 있습니다. <코딩을 이용한 스핀트로닉스 분석>과 <논문인용네트워크 분석>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자대에 양자 컴퓨팅 랩실은 없어 자대 학부연구생으로는 양자 컴퓨팅 경험을 쌓긴 힘들 것 같습니다.
앞으로 어떤 경험을 쌓는게 좋을지 조언 구하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5.07.14

현재 관심가는 연구 주제에 대해 석사 후 취업을 위해 연구 중심 대학에 진학하는 것이 가능할까 모르겠네요.

대댓글 3개

2025.07.14

AI 쪽으로 IST 연구실에 연락을 해보면 어떨까 합니다.

2025.07.15

답변 감사합니다!
추가적으로 질문 드리자면 더 높은 카이스트, 서울대, 포스텍 쪽은 가능성이 희박할까요..?
또한, 자대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 연구실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2025.07.18

일단 서카포 자연과학 쪽은 석박 통합을 선호하기 때문에 힘들 것 같습니다.

공대 쪽은 성적에서 밀리지 않을까 싶네요.

데싸는 들어 가면 그다음 길이 그냥 열리는 건 아니잖아요? 도메인부터 정해야 그 다음이 뭔지 감을 잡죠.

2025.07.14

해당 스펙이면 좀 아깝긴 하지만, 급여가 나오는 UST도 하나의 선택으로 남겨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부정적인 여론이 강함은 유의하셔야 합니다.

대댓글 3개

2025.07.15

조언 감사합니다! 만약 경제적 문제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어느 학교까지 노려볼 수 있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2025.07.15

해당 스펙에 영어도 되신다면 어디든 1차 커트라인(이력서)은 넘을 것 같습니다. 다만 대학원은 가장 중요시하는 것이 인성과 적성인데, 이를 스펙이 아닌 다른 것으로 증명하셔야 합니다. 가장 대표적인게 자대, 학연생, 인턴 같은 것들이죠. 특히 높은 랩일수록 이런 경향이 강합니다.

이러니저러니 말해도, 티오 잡으면 거기서 끝입니다. 역량이 충분하시니 걱정마시고, 본인 관심사에 맞는 가장 적절한 곳을 중점으로 이곳저곳 서칭하시면 되는 간단한 이야기일 듯 합니다.

2025.07.16

감사합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준비해보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