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바이오인포 타대 학부인턴/연구생 지원해도 될까요? 아니면 보충해야 할까요?

2025.07.13

6

599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7.13

컴공이면 컴공으로 가시는 게 낫습니다
인포메틱스 하면 바이오 계열로 연봉 책정되고 썩 좋진 않고
컴공 관련 학위가 있는데 바이오 계열을 하고 싶은 거랑
인포메틱스로 학위를 받는 건 다른 거라
정말 하고 싶으면 컴공 학위를 받고 바이오하시는 md 랑 코웍을 하세요

대댓글 4개

2025.07.14

안녕하세요, 댓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의공학을 목표하고 대학에 진학했는데, 많은 분들이 백석 님처럼 말씀해주셔서 많이 흔들리네요.
개인적으로 ‘컴공 관련 학위가 있는데 바이오 계열을 하고 싶은 것’과 ‘인포매틱스로 학위를 받는 것’의 차이를 더 여쭤보고 싶습니다.
실질적인 석사과정 연구 내용에서부터, 미래의 직무 필드나 연구자로서의 위치 등을 의미하신 것일까요?
얕은 정보지만, 제게 아직 인포매틱스는 도메인 + 테크니션에 가깝다는 느낌이 들어서 사실 지금까지도 의문이 많이 생기기에 너무 궁금합니다. ㅠㅠ
사실 컴퓨터공학을 복수전공으로 하려다, 과목을 수강할 때에 타 전공보다 빨리 선점하는 이점을 누리기 위해 본전공으로 옮겼습니다. 덕분에 동일한 전공생으로서 타 전공생과 동일한 요건 및 성과라는 출발점을 가지긴 했지만 심적으로는 생명 쪽을 본전공이라 느끼고 있어서 더욱 심란합니다..

2025.07.14

현재 인포메틱스는 2000년 초, 10년대를 지나 유전자 정보가 다 밝혀졌고 dna, rna , protein 간 상동성도 어느 정도 알려졌습니다. 이 서열간 비슷한 부분이나 동일한 부분을 이전에는 인포메틱 하시는 분들이 어느정도 해서 다른 곳이랑 코웍하고 논문 냈다면 현재 대ai 시대엔 시뮬레이션, 예측, r studio를 통한 raw data 처리, raw data 기반으로 예측모델 개발 등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만

컴공으로 학위 받고 가면 컴공 연봉 돈 받는 거고 인포메틱스로 가면 바이오 연봉 받는 겁니다

알파폴드가 노벨 생리학 상을 받았다 한들 그 사정을 열어보면 바이오 1인+ 구글 엔지니어 2인 해서 받은 거에요
당연히 인포메틱스랑은 관련이 없죠
바이오 교수가 이래저래 만들어줘, raw data 주고 이게 이 구조래 니가 만든 걸로 돌리면 이거랑 비슷해? 등등
컴공은 컴공으로 일하고 바이오는 바이오로 일한 거에요

그리고 인포메틱스면 wet lab에서 공격 많이 들어옵니다그게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아직 까진 신약개발이 protein target에 있고 앞으로도 가능성은 높지만 추세도 많이 변해서 gene therapy 나 mRna를 타겟으로 하는 쪽으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해서 저분자 물질을 끼워넣어 단백질 기능을 조절한다가 앞으로 얼마나 갈지 모르는 것이고
모든 자연과학, 공대가 아닌, 에서 중요한 것은 reality 입니다. 몇 백 몇 천 예측하면 뭐해요? 그 예측이 실제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가 중요하죠 예측률이 50% 미만이면 예측할 필요가 없겠죠?

2025.07.14

현재 인포메틱스는 2000년 초, 10년대를 지나 유전자 정보가 다 밝혀졌고 dna, rna , protein 간 상동성도 어느 정도 알려졌습니다. 이 서열간 비슷한 부분이나 동일한 부분을 이전에는 인포메틱 하시는 분들이 어느정도 해서 다른 곳이랑 코웍하고 논문 냈다면 현재 대ai 시대엔 시뮬레이션, 예측, r studio를 통한 raw data 처리, raw data 기반으로 예측모델 개발 등 많은 변화가 있습니다만

컴공으로 학위 받고 가면 컴공 연봉 돈 받는 거고 인포메틱스로 가면 바이오 연봉 받는 겁니다

알파폴드가 노벨 생리학 상을 받았다 한들 그 사정을 열어보면 바이오 1인+ 구글 엔지니어 2인 해서 받은 거에요
당연히 인포메틱스랑은 관련이 없죠
바이오 교수가 이래저래 만들어줘, raw data 주고 이게 이 구조래 니가 만든 걸로 돌리면 이거랑 비슷해? 등등
컴공은 컴공으로 일하고 바이오는 바이오로 일한 거에요

그리고 인포메틱스면 wet lab에서 공격 많이 들어옵니다그게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아직 까진 신약개발이 protein target에 있고 앞으로도 가능성은 높지만 추세도 많이 변해서 gene therapy 나 mRna를 타겟으로 하는 쪽으로 넘어가고 있습니다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해서 저분자 물질을
데이터사이언스도 좀 슬픈대 지도교수는 상관 없고 학생만 불쌍해요. Raw data는 md 나 wet lab 에서 줘야되요. 교수님이 좀 인간관계를 잘해서 이번껀 저쪽이 1저자 가지고 다음건 우리가 1저자 가지기로 하거나 공1 가지면 다행인데, 안 그런 경우가 많죠
코웍이라도 물어오는 교수는 다행이죠 요즘엔 r studio도 금방 배워요 어차피 필요한 코드는 인터넷에 널렸으니까요 데이터만 바꾸고 원하는 값만 도출하면 끝이에요
그냥 wet lab에서 다해버립니다

컴공가서 차라리 바이오 관련 tool을 만들 코딩을 배우시는 게 더 가능성 있고 안되면 다른 tool 만들면 되죠
인포메틱스는 그게 안됩니다

2025.07.14

생리학은 기초과학이고 기초과학에서 가장 중요한 건 reality 입니다
현재 나온 ai 기반 단백질 구조 예측은 세포 내 구조를 예측하지 못해요 가장 유사하게 예측은 하죠
이런 거 저런 거 다 때고 생리, 생물학은 다른 기초과학에 업혀가는 학문 입니다. 물리, 화학이 발전하지 않으면 생물학도 발전하지 못합니다
인포메틱스는 거기에 컴공한테도 업혀가는 학문이에요

인포메틱스 하시는 교수님들 학위 까보세요 컴공이나 통계 이실 겁니다 정말로 바이오에 관심 있어서 그러실 수 있지만 아닌 분들이 더 많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2025.07.16

저도 비슷한 상황이었어요 생공 전공하고 컴공 복전하고, 바이오인포 하고싶어서 학연생도 하고 많이 알아봤었는데요… 윗댓처럼 바이오인포가 이도저도 아닌 학문인 것 같아서 대학원은 데싸로 진학했습니다…

별개로 학연생 일단 찔러보셔도 괜찮을 것 같아요 일단 복전이라는 메리트가 있으니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