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서울대, 카이스트 전화기 박사 vs 미국 좋합 탑 20 이내 전화기 박사

2025.06.18

5

371

안녕하세요, 현재 석사 재학 중이며 26년 2월 졸업예정자입니다.

카이스트의 경우 현재 26년 봄학기 대학원 공고가 올라온 상황에서 , 여러 고민이 생겨 이곳에 다양한 경험 및 식견을 가지고 계신 분들의 의견을 여쭙고자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미국 전화기 박사의 지원을 하게 된다면, 올해 말부터 원서를 넣을 생각이고 학교는 미시간앤아버, 코넬, A&M과 같은 공대 대학원 10위권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펀딩이 줄었다, 갈 사람은 잘 간다 등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는 걸 알고 있습니다.
혹시, 비슷한 수준의 학교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계시거나 경험이 있으신 분이 계시다면, 본 학교에 지원하는 것이 장기적인 커리어 측면에서 (미국에서 직장을 구할 때) 연봉 등 다양한 측면에서 확실한 메리트인지 궁금합니다.

너무나 당연히 메리트이겠지만, 제 분야가 데이터 , AI 전문 등 다양한 분야에 취업하기 쉬운 분야가 아닌 특수한 분야라 고민이 됩니다.

또한, 미박을 포기하고 서울대, 카이스트 박사를 지원하게 된다면 이게 메리트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학벌은 지거국 석사이며, IF7짜리 논문, 미국 학회 저널 1개는 accepted된 상황이며 논문 1개 작성중인 상황입니다.

많이 부족한 글이고 스펙이겠지만, 두 가지 경우의 수가 모두 가능하다는 전제 하에 답변 달아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거 같습니다.

아무쪼록,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좋은 하루 보내시기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5개

2025.06.18

For USA jobs -> top 50 univ. >>>>>>>>>>>>>>>>>>>> every univ. in Korea (Without loss of generality, Regardless of your major.)

2025.06.18

전화기면 너무 넓은거 아닌가요 분야가
그리고 지원은 다 해보세요, 어차피 어려운것도 아닌데 왜 어딜 지원해야되는지 정해야하는지 모르겠네요

2025.06.18

좁은 분야일수록 미국가야되는게 맞습니다.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