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는 행위임? 우리나라는 왜 그러면 이런걸 자꾸 따짐? 현재 무슨 직장을 다니냐가 중요한거 아님?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6.13
그냥 남들한테 관심좀 끄고 본인 일이나 열심히 했으면 좋겠음
2025.06.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학부 학벌 절대로 무시못함. 그냥 무조건 인정함. 성실성도 그렇고 경쟁에서 이겼다는 증표임. 근데 문제는 그 수준에서 멈춰서 성장을 못하거나 그 우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케이스가 생각보다 많음. 이런 분들이 가진게 학벌이니 그걸로 엄청 우려먹는거임. 물론 이런 사람들은 같은 학교 무리로부터 안좋은 애기도 많이 듣고. 계속 우상향하는 추세를 보이느냐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됨. 그러려면 좋은 학벌에 더 많은 노력을 해야하는건 당연한거고. 학벌이 낮으면 그만큼 출발선상이 뒤에 있으니 불리한건 맞는데, 반대로 생각하면 더 노력하면 증가폭이 커져서 관성이 강해지는 효과도 있죠. 좋은 방향으로 많이 보려고 노력하는게 여러모로 중요할 듯.
대댓글 3개
2025.06.14
미국 와보면 학부학벌 의미 1도 없음 ㅋㅋㅋ 탑스쿨 가보면 무슨말인지 알거암
2025.06.14
탑스쿨은 학부학벌 뛰어넘은 사람들이라 논외인거고ㅋ 평균적인 수준에선 무시못하는게 맞다
2025.06.19
미국 학부학벌 맛을 보면 저런 소린 쏙 들어갈텐데 대학원 들어가놓고 학부학벌 다 아는 것처럼 ㅋㅋㅋㅋ
2025.06.15
어중간한 학벌이 학벌부심 제일 심하고 보통 이런글은 거기도 못 간 사람들의 피해의식인게 보통임
2025.06.17
그냥 학벌도 하나의 스펙일 뿐임. Q1급 논문이 Q2급 논문보다 정성 평가에서 더 좋게 봐주고, 산업기사 자격증보다 기사 자격증이 더 우대받고, 토익 700점보다 900점이 취업할 때 유리하듯이, 그냥 좋은 학교 나온게 안 좋은 학교보다 더 좋은 스펙일 뿐임. 학벌을 무시한다는건 위에 나열한 실적들도 다 무시해야 맞음. 물론 평가에 있어 어떤 직종이냐에 따라 우선순위가 달라지는거고, 예를들어 연구와 관련된 연구원, 교수 등을 뽑는거면 그와 관련된 연구논문 실적을 1순위로 보는게 맞고, 학벌 포함 나머지는 +a 스펙임. 근데 학벌을 연구 실력보다 더 우선 시 보는 사람들이 있다면 그게 잘못된거고. 학벌은 무시해서도 안되고 무시할수도 없음.
2025.06.13
2025.06.13
대댓글 3개
2025.06.14
2025.06.14
2025.06.19
2025.06.15
2025.0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