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현재 4학년 1학기를 마치고 있는 학부생이며, 향후 박사학위까지 취득할 계획입니다. 저는 군대를 가지 않았고 4급 판정을 받아 박사 전문연구요원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현재는 자대 랩에서 연구 중이며, 논문을 2~3편 정도 작성한 상태입니다. 다만 박사과정은 타대 랩으로 진학하는 것을 고려 중이라, 조만간 컨택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고민이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석박사 통합과정의 가장 큰 장점은 졸업이 빠르다는 것인데, 전문연구요원을 병행하게 되면 오히려 졸업이 늦어지는 건 아닌지 걱정입니다.
또한, 타대 랩으로 진학할 경우 “석사보다 석박 통합과정이 입학이 더 쉬울 수 있다”는 의견도 들어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아래와 같은 선택지 사이에서 갈등 중입니다.
1. 타대 랩 석박사 통합과정으로 진학 + 전문연구요원 2. 자대 랩에서 석사 후 → 박사과정은 타대 랩으로 진학 + 전문연구요원 3. 타대 랩으로 석사 진학 후 → 박사과정 연계 + 전문연구요원
혹시 비슷한 경험 있으시거나 조언 주실 수 있는 분 계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6.12
전문연시에 석박통합을 하면 따로 하는거보다 더 늘어난다는 말씀이신가요? 아니면 석박통합을 하는게 나아보이는데
2025.06.12
보통 석사과정/박사과정 따로보다 석박사통합과정이 수료가 더 빠르지 않나요? 예시로 서울대 공대의 경우 석사/박사 따로 하면 수료까지 4년, 석박사통합과정은 3년 소요됩니다. 전문연구요원은 수료 이후부터 복무기간에 산입되니 석박사통합과정이 복무를 더 빨리 시작할 수 있고, 따라서 통합과정으로 진학하는 것 하나만으로 졸업이 늦어질 이유는 없지 않을까 싶습니다.
2025.06.12
2025.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