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독일 석사 박사 유학

2025.04.29

2

117

저는 현재 독일에서 소위 TU9이라 불리는 대학에서 전자통신공학 석사 후 동 대학에서 박사 논문 제출하고 심사 기다리고 있는 상황입니다.

개인적으로 독일 유학에 대한 글이 없는것 같아 제가 경험했던 부분에 대해 정보 전달 목적 및 혹시 독일 유학을 생각하고 계신 분들께 결정에 도움이 될까 싶어서 몇 자 적습니다.

우선 독일의 경우 석사는 학사의 연장선 개념이 큽니다. 정규과정의 경우 2년으로 커리큘럼상으론 학기당 30 ECTS를 취득하도록 되어있습니다. 다만 수업의 경우 출석의 의무가 있는게 아니라 수업을 듣지 않고도 시험에 통과만 한다면 학점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드물지만 매 학기 30 ECTS 이상 취득하여 정규과정 내에 졸업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석사 중 소위 Hiwi 라고 불리는 대학 내에서 실험실 관련 업무를 도와주는 아르바이트를 할 수 있는데 이 경우 현재 시간 당 14.59€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희 학교의 경우 보통 매 월 40시간 계약을 하는데 이론적으로 최대 80시간 까지 계약이 가능합니다. 물론 Hiwi 급여가 한달 독일 생활에 충분하지는 않습니다만 어느정도 충분히 도움이 되기는 합니다. 추가로 회사에서 Dual Studium 혹은 Werkstudent 등 월급 받으면서 학기중에는 공부하고 학기 이외의 기간에 회사에서 근무하는 형태의 경우 생활비는 어느정도 충족 된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학교별로 주 별로 등록금은 차이가 있지만 대략적으로 학기마다 400유로를 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등록금이 최소한 해당 주 혹은 독일 전역 기차 및 대중교통 요금을 포함하기 때문에 그 값어치를 한다고 생각합니다.

박사과정의 경우 공대를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TV-L 13 계약으로 진행됩니다. 독일 박사과정은 연구원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박사과정이지만 교수가 따온 프로젝트를 맡아서 진행하게 되고 그에 따른 월급을 받게되는 형식입니다.

학교 및 과 혹은 교수마다 계약 형태가 75% 100% 등으로 다르지만 100% 계약의 경우 초봉 기준 월 2800€ 정도 세후로 받게 됩니다. 추가로 회사 및 다른 연구소에서 박사과정을 하시는 것도 가능합니다.

박사과정 기간은 매우 상이할 수 있는데 저희 부서의 경우는 5-6년 정도 기간이 평균 기간입니다. 물론 이 기간동안 일하면거 월급은 계속 받게 됩니다.

추가로 매년 30일 휴가가 산정되고 휴가 사용에 제약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가령 휴가 20일을 쓰고 한 달 휴가도 가능합니다.

독일 박사과정의 장점 중 하나로는 영주권 취득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100% 계약의 경우 독일어가 어느정도 가능하다면 21개월 이후 기초라면 27개월 이후에 영주권 취득 자격이 주어집니다.

미국 석사 박사가 주는 메리트보단 덜하겠지만 그래도 분야별로 어느정도 최신 연구동향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많다고 생각합니다.
혹시나 미국 석사 박사를 너무 많이 필요한 금액으로 인해 고민중이시라면 개인적으로는 독일 석사 박사도 나쁘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 경험은 비단 저의 개인적 경험이고 모든 독일 석사 박사 생활을 대변할 수 는 없겠지만 위 글이 누군가에게는 독일 생활을 한 번 고려할 수 있게끔 하는 계기가 된다면 기쁠것 같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4.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문제는 독어죠 뭐…

2025.04.29

독어는 학사로 시작할때 중요합니다. 여전히 많은 수업이 독어로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석사부터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많은 랩이 이미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안됩니다.
그리고 그 기간동안 스스로 공부하면 되고요 꾸준하게 2~3년하면 간단한 의사소통은 하더군요

박사과정으로 독일에 오는것 추천합니다. 연구 환경이 확실히 한국에 비하면 좋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어서 펀딩부담도 많이 없습니다
단순 랭킹으로 비교하면 영미권 대학보다 못해보이겠지만, 그 속을 들여다 보면 비슷한 경우가 많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