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생각하기에 연구활동을 함에 있어서 궁금중 및 호기심을 바탕으로 능동적, 확산적 사고를 하는 것이 중요한데, 저는 이런 부분에 있어 많이 부족한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A라는 물질을 이용하여 성능이 나온 논문을 보면, "아 A를 쓰면 좋구나" 이정도까지 밖에 생각을 하지 못합니다. 다른 사람들은 A를 쓰면 왜 좋지? 다른 논문에서는 어떤 물질을 사용했지? 등을 생각하는데 저는 이게 잘 안됩니다. 이를 3월 초부터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아무런 변화가 없는 걸 보면 제가 연구에 적합한 인재는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매번 합니다.
아직 신입생이니 처음에는 다들 열심히 알려주셨지만, 변함없는 저를 보면서 다른 분들도 슬슬 저를 포기한 것 같습니다. 때문에 연구실 내에서 대인관계도 못지 않으며, 또 대인관계가 좋지 못하다 보니, 무언가를 물어보는데 있어서도 매우 조심스럽습니다.
개인적으로 학부때 나름 공부를 잘한다 생각해서 대학원 생활도 잘 할 줄 알았으나, 제가 생각했던 것과 너무 다릅니다. 제가 대학원을 너무 만만하게 본 것 같습니다.
연구도 어렵고, 인간관계도 못지 못하고, 또 학부연구생 경험도 적어서 실험도 잘 하질 못합니다. 이런 것들이 종합적으로 겹치니, 요즘 자존감도 많이 떨어지고, 매번 안 좋은 생각들을 하게 되네요..
때문에, 자퇴를 고민 중인데, 주변 지인들에게 상담을 한 결과, 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다고, 또 대학원도 사회생활의 연장이라고 아마 다른 곳 가도 비슷할 것이다. 견디다 보면 나아질 것이라 하는데, 솔직히 지금 너무 힘드니 현실을 도피하고 싶습니다.
아마 자퇴를 한다고 하더라도, 막상 할 일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입니다.
물론 최종 결정은 저의 몫이지만, 자퇴하는게 좋을지, 시간을 갖고 계속 다니는게 좋을지 고민입니다..
의식의 흐름대로 써서 글의 흐름이 이상할 수 있지만,,, 다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4.09
두가지 선택지 중 옳은 정답은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본인이 스스로 잘 판단하고 선택해서, 열심히 부딪혀보면 좋은 결과가 있겠죠.
2025.04.09
2025.04.10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