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연구과제 지원기관 기반으로 랩 판단하는 방법 질문드립니다.

2025.03.12

2

506

거두절미하고 질문드리겠습니다. 많은 가르침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가장 궁금한 건 2번 질문입니다..

1. 취업 시에 연구과제 진행했던 기관에 지원하면 확실히 유리한 면이 있나요?(당연한가..)
2. 만약 그렇다면, alumni 취업 현황과 연구과제 지원 기관의 일치 경향성으로 랩을 판단할 수 있나요?
예를 들어 지원 기관은 정출연이나 주류 대기업인데 취업은 그쪽으로 못 갔다던지 하면 랩의 실적을 부정적으로 해석해야 할까요?
3. 연구 지원 기관이 정부인 것과 정출연인게 무슨 차이인 건가요? 같은 건가요..??
만약 아니라면 정부 지원인 경우 지원 기관에 뭐라고 나오는지 궁금합니다. ex) 그냥 정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개

2025.03.12

1. 케바케겠고, 많은경우 본인이 어필할수는 있겠죠. 그게 얼마나 큰지는 상황마다 다를듯합니다.
2. 아니요
3. 정부기관에서 지원하는건 대부분 국가 RnD예산이 들어간것으로 과제성향이 연구에 맞춰져있어서 편할가능성이 높습니다. 정출연에서 나온건 거의 대부분(아닌경우가 뭐가있을지는 모르겠지만) 위탁과제입니다. 정출연에서 정부기관(대다수의 경우) 혹은 사기업(극소수)에서 과제수주 후, 학교에 특정임무를 맡기고 연 얼마정도로 뿌리는겁니다. 이경우 네트워킹을 통해서 그냥 일거리 주는경우도 있지만, 생각보다 연구실적을 기대해서 학교에뿌리는경우도 많습니다. 그러고 공동교신으로 둔갑해서 본인 과제실적인듯 포장해서 과제마무리하는거죠.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