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tro에 GPT의 문구가 그대로 들어갔엇던 논문. 이 논문은 Intro에 "Certainly, here is a possible introduction for your topic" 이 문구가 그대로 들어가 화제가 됐엇던 논문입니다. (journal: Surfaces and Interfaces, IF: 5.7)
결과: 논문 retraction (게제 철회). 출반사에서 줄 수 있는 가장 강도 높은 처벌이죠 (말그대로 너님 잘못한거 박제). 충격적인건 retraction의 메인 이유가 chat gpt 사용유무가 아닌, 데이터 복/붙에 있습니다. 이 논문은 Fig 1, 2에 전에 퍼블리쉬된 논문의 figure들을 그대로 가져다써서 retraction되었습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2468023024002402?via%3Dihub)
2. 결과 전 마지막 문단에 GPT의 글이 적나라하게 박제된 논문 이 논문은 한 문단이 통채로 GPT에 문구로 장식이 되어있습니다. (이미지 첨부, 출처: 하이브레인넷)
결과: 논문 is removed from the Journal. 논문 게제 철회와 달리 removal은 저널 측에서 웬만하면 해주지 않습니다. 논문 삭제요청은 저자들에 의해 만들어졌는데 그 이유가 'because informed patient consent was not obtained by the authors' 입니다. 즉, 논문 게제전 환자동의를 받지 않았다는게 그 이유인데 이는 논문 삭제의 이유가 됩니다.
조심스럽게 추측해보자면, 저자측에서 꼼수를 쓴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Chat gpt 사용은 저널 규정에 위반이긴 하나 게제 철회 혹은 게제 삭제의 이유가 될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저널 규정에 따라 상이)". 즉, 적당한 사유가 없다면, 저 논문은 저자들을 평생 따라다니며 괴롭힐 수 있습니다.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1930043324001298#sec0004)
얻을 수 있는 교훈: Proof-reading 잘하자!!! 규정을 어기거나/실수했다간 평생 박제 당한다.
에디터도 에디터고 리뷰어도 개판이네. 저걸 못 걸러냈다고? 리뷰어도 챗지피티 돌리나보네. 진짜 개병신들이 학계를 어지럽히는구나. 환자 동의도 받았다고 바로 밑에 버젓히 써놓고서 나중에는 환자 동의를 받지 않아서 삭제해달라고? ㅋㅋㅋ 저런 암세포같은 조까튼 연구자들. 또 얼마나 많은 연구자들이 비슷한 짓을 하고 있을까. 학자로서 최소한의 자존심도 없는 것들.
2025.02.28
대댓글 1개
2025.02.28
대댓글 1개
2025.02.28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