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질문] 어차피 여기가 연구자판 디씨라길래 걍 편하게 물어볼란다

뉘우치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5.02.17

21

6367

복잡계에 대한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일반물리학 -> 통계역학/열역학 -> 고체역학 순으로 청강하면 되는 부분임?

어차피 인생 먹고 사는거 수학과 물리학은 기본적으로 전공기초 수준으로 해야한다는데

수학은 통계에서 베이직한 수준은 배웠다고 생각해서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1개

2025.02.17

내가 복잡계 전공자는 아니지만, 네트워크 이론 등이라면 고체물리는 필요 없고,
통계/열역학 사이에 고전역학을 넣는게 맞을듯.
개인적으로는 해밀턴 역학까지는 알고있는게 맞지않나 싶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17

디씨라 생각하시니 편하게 답해줄게요 생활과윤리 공부하고 오세요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17

수학과 물리학은 기본적으로 전공기초 수준으로 해야한다는데 수학은 통계에서 베이직한 수준은 배웠다고 생각해서

가 말이 된다고 생각하냐 ㅋㅋㅋ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